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김두헌의 가치론적 변증법: 친일 독재 정권을 옹호・정당화하는 실천철학적 논변체계

        선우현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critical fundamental truth of the practical philosophy of Kim Doo-Huhn who has not become known in our Korean society but should be paid respect at any cost in the history of practical philosophy, and whom we should take the important case of a philosophical lesson, focused on ‘the Dialectic of Theory of Value’ which makes up an essential framework of his practical philosophy. 이 글은 세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그렇지만 한국의 실천철학사에서 반드시 유념해 봐야할 인물, 무엇보다 ‘철학적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할 사회철학자로서의 김두헌의 철학(함)의 본질적 실상을, 그의 실천철학 체계의 핵심 얼개를 이루고 있는 ‘가치론적 변증법’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해방 이후 이제껏 70여 년 이상 한국 사회에 군림하며 무소불위의 통치 권력을 행사해온 소위 ‘친일 독재 세력’의 정치적 지배 권력을 비호하고 정당화한 주도적인 이데올로그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그 철학자적 역할을 수행해 나갔던 김두헌의 실천적 철학함 방식과 그 철학적 여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이성옹호의 철학적 전략 : 이성의 자기비판 및 내적 분화 the Self-critique of Reason and its inner Differentiation

        선우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시대와 철학 Vol.16 No.1

        오늘날 이성의 위기는 이성 자체가 지닌 본질적 난점에 기인한다. 하지만 그러한 한계로 인해, 이성을 해체하거나 비이성으로 대체하려는 반이성주의적 시도는 인식론적 회의주의와 윤리적 무정부주의로 귀착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대안이 될 수 없다. 이성은 그 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하고 비판·교정할 수 있는 개념적 존재이며, 그런 한에서 '이성의 자기비판 및 이성의 내적 분화'를 통해 그러한 부정적 속성과 난점을 극복하려는 전략은 현실적으로 최선의 대안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이러한 전략 앞에는 넘어 서야할 또 다른 문제들이 자리하고 있다. 가령, 이러한 자기비판 및 자기 분화를 통해 마련되고 정립된 새로운 이성 개념이 '모든 이의 자유와 권리를 동등하게 존중하고자 하는 의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배제하거나 간과하는 대상과 존재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이성은 배제되거나 제대로 취급받지 못하고 있는 '이성의 타자'를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고 포용하는 이성으로의 지속적인 보완과 혁신, 비판적인 재구성이 요구된다. 그런 한에서 다름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새로운 유형의 이성을 정립해 내는 과제는, 현 단계에서 이성의 자기비판 및 내적 분화 전략이 수행해야할 우선적인 작업으로 주어진다. Nowadays the crisis of reason is due to the intrinsic limitation of reason itself. But the trials to deconstruct that reason or to replace it with non-reason owing to such limits of reason result in epistemological scepticism and ethical anarchism. Considering these negative conditions, such anti-rationalistic trials have no qualification of practical alternative. In spite of inner limitation, the reason is the conceptual being that can recognize, criticize and correct its own problems. Thus the philosophical strategics of overcoming negative attributes and faults of reason itself through self-critique of reason and its inner differentiation' cannot help but be the best alternative realistically. Nevertheless this strategics is in the face of another problems to overcome. For instance, newly constructed reason by way of self-critique and self-differentiation is tend to exclude and pass over the other beings of reason and the subjects which should be worth respecting in aspects of their own liberties and rights. Viewed in this light, the task to construct critically the reason which can esteem and care about the others of reason and the difference is the most urgent work which the strategics of self-critique and inner differentiation of reason must set out at once.

      • KCI등재

        숙고된 자유주의' 의 한 입장으로서 맑스 사회철학 : 그 해석 가능성 검토

        선우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1

        이 글은 사회주의자이자 평등주의자이며 노동자 계급의 '집단적 이익'을 대변한 실천적 이론가로 이해되고 있는 전통적인 맑스상(像)에 반(反)하여, 비록 그가 사회주의 체제로서의 해방사회의 구현을 추구했지만 이는 근본적으로 특정 계급이나 집단이 아닌, '모든 개인'의 자유구현을 염두에 두고 시도된 것이란 점에서 맑스의 사회철학은 '숙고(熟考)된 자유주의'의 한 입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보는데 일차적 관심을 갖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독해된 맑스 철학의 자유주의적 판본, 즉 '맑스적 자유주의'가 지니는 의의와 그것이 우리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반성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했다. '개인의 자유'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조망된 맑스의 사회철학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불평등과 소외를 각각 '인간 상호간의 자유상실적 관계'와 '자유의 상실태'로 통찰하고 있으며 사회적 평등의 확립에 관해서도 '실질적 자유 구현'의 관점에서 논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자유는 사회적 관계의 총체적 변환을 통한 개인들 상호간의'자유롭고 평등한 관계'의 확립을 통해서만 확보될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그러한 평등한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모든 개인이 '자아실현'이라는 참된 의미의 자유를 향유하게 되는 해방사회를 역사발전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맑스적 자유주의는 한국사회와 관련하여, '신자유주의 논리'의 무차별적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폐해를 최소화하고 그에 맞서는 방어논리를 구축하는데 긴요한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적극적 자유'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한국적 현실을 제대로 조망할 수 있는 '대안적 사회철학'의 정립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교훈과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revealing that Marx's social philosophy can be interpreted as a version of deliberated liberalism,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his philosophy makes an attempt of not the fulfillment of the classical interest of particular group the realization of liberty of all the individuals as members of the society, though he tries to pursue the construction of the emancipated human society. And from the point of view as previously stated,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quire into reflectively the version of Marx's social philosophy focusing its significances and roles in Korean society. By being centered on the liberty of individual, newly viewed Marx's social philosophy considers 'social inequality' and 'alienation' in capitalism as 'reciprocal relation of liberty-loss between human beings' and 'loss of freedom' respectively, and takes the construction of social equality into account from the standpoint of 'realization of material liberty'. In addition, it argues that the liberty of individual can be guarante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ree and equal human relation among members of society by transforming totally the social relation. Furthermore it tries to set up the emancipatory society in which genuine liberty as self-realization of all the individuals can be accomplished as the fmal goal of historical development. This Marxian liberalis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inimize bad effects caused by th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the offensive logic of neo-liberalism', and to construct the defensive logic against it in Korean society. Besides, deliberated liberalism can contribute to prepare the concrete programme for realization of positive liberty of all the members of society. Finally Marxian liberalism can give the meaningful lessons and suggestions for the security of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lternative social philosophy which have an insight into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