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정보기술을 활용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에 대한 서평

        선민서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1

        본고에서는 한국학 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취 를 거두어온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의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을 통해 최 근의 디지털 인문학의 성과와 한계를 가늠해보고자 했다. 본서에 구현된 디지털 정보 기술을 통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로 첫째, 근대한국학 하위 개념의 해체와 재구 축, 둘째, 근대한국학 연구 영역의 확장 가능성 시사, 셋째, 디지털 정보기술의 적용 가능성 확대를 찾을 수 있었다. 반면에 디지털 정보기술을 통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한계로 디지털 정보기술의 미발달에 따른 이른바 ‘분석 불가능한 데이터의 문제’가 나타났다. 또한 인문학적 해석의 불충분에 따른 한계로 즉 ‘과잉 해석되거나 방치된 데이터’의 문제를 찾을 수 있었다. 향후 디지털 정보기술을 발달시키고 단기간에 연 구 성과를 제출해야만 하는 강압적인 연구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울증적 주체로서의 6·25 석방포로 -김광주의 『석방인』, 김송의 「저항하는 자세」, 손창섭의 「생활적」을 중심으로

        선민서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7

        Kim Gwang-Joo's 『The Releaser』, Song Kim's 「Position of Resistance」, and Son Chang-Seop's 「Living」 show the gloomy inner landscape of released POW. In 『The Releaser』, Park Chul feels compulsion to prove his existence because of the people who are trying to verify his ideology. Kim Gwang-joo reproduces the figure of a freed prisoner who is engulfed in anti-communism to prove himself that he is not a reds. In 「Position of Resistance」, Sang-Gyu sees the barbed wire as a hallucination even after escaping from the camp. The government advocates the theory of North Korean unification and focused on its strategy toward the US. The public sympathizes with the government's policy and is engrossed in protests against the armistice talks. Kim Song captures the state of a released prisoners who has lost his course in life. In 「Living」, Dong-Joo loses his mind after being suspected of being a suspicious person. He is alienated from refugees from the north in the refugee camp. Son Chang-seop embodies the unfortunate inside of a released POW who has fallen into a position of distrusting himself. 1953년 6월 18일에 일어난 반공포로 석방 사건 이후에 김광주, 김송, 손창섭은 6·25 석방포로를 우울증적 주체로 다룬 일련의 소설을 발표했다. 김광주의 『석방인』(1953.7.10-12.31), 김송의 「저항하는 자세」(1954.9), 손창섭의 「생활적」(1954.11)에는 석방반공포로의 우울한 내면 풍경이 나타난다. 『석방인』에서 박철은 사상검증을 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존재증명에 대한 강박을 느낀다. 빨갱이가 아니라는 자기증명을 위해 반공주의에 매몰되는 석방포로의 모습을 김광주는 재현한다. 「저항하는 자세」에서 상규는 포로수용소에서 탈출한 이후에도 환각으로 철조망을 본다. 북진통일론을 주창하며 대미 전략에 골몰하는 정부와 휴전회담 반대 시위에 몰두하는 대중은 그를 방치한다. 김송은 삶의 진로를 잃어버린 석방포로의 상태를 포착한다. 「생활적」에서 동주는 수상한 사람으로 의심을 받은 끝에 정신이 무너진다. 피난민의 이북 출신의 난민들로부터 그는 소외된다. 손창섭은 자기를 불신하는 처지로 전락한 석방포로의 불행한 내면을 형상화한다. 남한 정부는 미국의 정전협정 시도에 반발하며 반공포로들을 석방했다. 반미 민족주의에 이들을 이용하기도 했다.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사용가치가 떨어지자 이들을 방치했다. 정부가 안정적인 주거와 일자리를 보장하지 않은 탓에 석방포로들은 생활 불가능자로 전락했다. 일부는 도민증이나 시민증을 발급받지 못했다. 강제로 징집되거나 불완전한 전향자로 간주돼 군입대를 금지 당하기도 했다. 일괄적으로 농촌으로 보내지거나 상경 금지 조처를 듣는 석방포로도 있었다. 이들은 시민으로서의 자유를 박탈당했다. 남한사회에서 석방포로는 반공적 주체가 되지 않는 이상 생존하기 어려웠다. 반공애국청년 담론은 부자유한 처지에 있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은폐한다. 그러나 당대 소설은 6·25 석방포로들의 우울한 내면을 가시화했다.

      • KCI등재

        1980년대 후반 소설의 거창민간인학살 형상화 양상과 기억투쟁

        선민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0

        This study deals with the Geochang genocide in the late 1980s by Noh Soon-Ja's “Mountain Crying”(1986) and “Echo of Anger”(1987) series, Kim Young-Hyun, “The Sound of Unbleaching Crying”(1987), Kim Won-Il, Winter Valley(1987), and Jo Jeong-Rae's Taebaek Mountains Chapter 4(1989). I examined the aspects of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that appeared in these novels. These novels practiced the struggle of memory by presenting a counter-memory in resistance to the military's government-controlled memory that attempted to conceal and distort the Geochang genocide. According to Vamic D. Volkan, a psychoanalyst who studied the collective psychology of genocide victims, if a certain generation cannot overcome historical trauma, that trauma is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Writers use traumatic events as their matter of subject to express identity of victim and form alternative narrative memor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n society was discovered in the late 1980s as a trauma that has not yet been resolved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80s, the Geochang genocide was shed new light by a group of novelists. In the process, writers suffered from the regime's persecution and censorship, which attempted to cover up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and the resulting self-censorship. Noh Soon-Ja, Kim Young-Hyun, Kim Won-Il, and Jo Jeong-Rae overcame the fear of censorship caused by the regime's red complex and created works that dealt with the Geochang genocide, thereby narrating the identity of the victim community called Geochang people. Geochang people's identity as a victim was depicted by Noh Soon-Ja as a 'suffering people,' Kim Young-Hyun as a 'generation of fathers of May 18,' Kim Won-Il as a 'human victim of ideology,' and Jo Jeong-Rae as a 'conscientious nationalist.' The identity of the victims expressed in their works became the foundation of a counter-memory to the military's memory of control. The author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Geochang from various angles by forming and transmitting the victim's identity. The process by which artists appropriate the symbolic identity of Geochang people in different ways makes it possible to seek a new community. Through this struggle of the memory, these novels provided an opportunity to mourn the victims of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소재로 다룬 노순자, 「산울음」(1986-1987) 연작, 김영현, 「불울음소리」(1987), 김원일, 『겨울 골짜기』(1987), 조정래, 『태백산맥』제4부(1989)에 나타나는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했다. 이들 소설은 거창사건을 은폐하고 왜곡하려는 군부의 관제기억에 저항해 대항기억을 제시함으로써 기억투쟁을 실천했다. 제노사이드 피해자들의 집단 심리를 연구한 정신분석가 바믹 볼칸에 의하면 특정 세대가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그 트라우마는 다음 세대에게 전승된다. 작가들은 트라우마적 사건을 소재로 삼아 피해자 정체성을 표현하고 대안적인 서사적 기억을 형성한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은 1980년대 후반에 남한 사회에서 아직 해소되지 못한 트라우마로 발견되었다는 점에 본 연구는 주목했다. 1980년대 후반에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은 일군의 소설가들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다. 그 과정에서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은폐하려는 정권의 핍박과 검열, 그에 따른 자기검열에 작가들은 시달렸다. 노순자, 김영현, 김원일, 조정래는 정권의 레드 콤플렉스에 따른 검열의 공포를 극복하고 거창사건을 소재로 다룬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거창인이라는 피해자 공동체의 정체성을 서사화했다. 거창민의 피해자 정체성을 노순자는 ‘수난 당하는 민중’으로, 김영현은 ‘5·18의 아버지 세대’로, 김원일은 ‘이념에 희생된 인간’으로, 조정래는 ‘양심적 민족주의자’로 그려냈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피해자 정체성은 군부의 관제기억에 대한 대항기억의 토대가 되었다. 작가들은 피해자 정체성을 형성하고 전승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거창을 고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작가들이 거창인이라는 상징적 정체성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유하는 과정은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억투쟁을 통해 이들 소설은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의 피해자들에 대한 애도의 계기를 마련했다.

      • KCI등재

        재건의 타자, 마약중독자 - 정비석 소설에 나타난 폭력적 배제와 반공적 동정의 문화정치

        선민서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본 연구는 전후의 재건(再建, Reconstruction) 담론에 의해 수행되는 마약중독자들을 타자화하는 배제와 동정의 문화정치를 규명한다. 타자화 된 아편중독자의 고유한 목소리를 복원하고 해방의 정치를 실천하기 위한 상상력은 요원했다. 정비석의 「女罪囚의 手記」(1957)에 등장하는 소설가는 아편중독자를 살해한 아내의 수기를 읽고 사랑의 정신을 구현한다는 찬사를 그녀에게 보낸다. 서술자는 살인을 당한 마약중독자의 고통보다 그를 죽인 자의 억울함에 동조하며 폭력적 배제를 승인한다. 마약중독자를 재건 공동체로부터 축출하려는 (무)의식이 작동한 결과, 살인행위가 서사 내에서 정당화되고 마약중독자는 공감의 영역에서 배척된다. 『人間失格』(1962)에서 마약중독자는 6·25 전쟁의 상흔을 극복하지 못해 아편중독에 탐닉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전상자(戰傷者)로 재현된다. 이 소설에서 정비석은아편중독자 전체를 공산화된 적으로 간주하는 당대의 반공주의 담론과는 거리를둔다. 그러나 아편중독자를 상이군인으로 재현하고 이들에 대한 반공적 동정의 감정을 조장함으로써 그는 다시금 반공이데올로기로 유인된다. 반공적 배제와 동정속에서 마약중독자들은 균일한 네이션 형성을 방해하는 대한민국 재건의 타자로간주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politics of exclusion and compassion for drug addicts carried out by the post-war reconstruction discourse. In Jeong Bi-Seok's novel "The Handicraft of a Female Prisoner", the narrator sympathizes with the injustice of the person who killed him rather than the suffering of the drug addict who was murdered. In "No Longer Human", drug addicts are represented as war-wounded individuals who die while indulging in opium addiction because they cannot overcome the scars of the Korean War. In the anti-communist exclusion and compassion, drug addicts were regarded as the other by the discourse of reconstruction.

      • KCI우수등재

        냉전의 대리전으로서의 6·25와 <광장> -중립국 위원회의 실질적 부재-

        선민서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Choi In-Hun(1936.4.13-2018.7.23.) and his novel the Square were born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of the 1950s-60s. And this novel was born in November 1960 in the literary magazine Daw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d the Square as a text of critiqu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s irresponsibility in the period of Korean War, usually called as the 6·25 in Korea, which broke out on June 25, 1950. The cold war ideology was the product of the politics of the great powers of the United States, the England, the France, the Soviet Union, and the Republic of China. The cold war ideology was intensified and finally Korean War broke ou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not invited to the Asian-African Conference called as Bandung Conference in 1955, which was the birthplace of the Asia-Africa Solidarity.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were driven by the cold war ideology. The ‘Korean war as an ideological war’ has brought the devastating sacrifice of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people who participated in it. The narrative that Lee Myeong-Jun was engaged in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t Pyongyang in 6·25 and was imprisoned in Geoje Island P.O.W. Camp shows the severe pain suffered by soldiers during the wartime. The narrative-inside-the-frame of the Square is conducted inside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narrative-outside-the-frame of the Square illuminates Lee Myeong-Jun, a Prisoner Of War(P.O.W.), on the way to the Neutral N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off the Korean peninsula. At Panmunjom, Lee Myeong-Jun refused all repatriation to the North and South, and became the P.O.W.s to go to Neutral Nation and boarded the ship Tagor for Neutral Nations like other P.O.W.s who chose other Neutral Nations. At the stake, in the boat to the Neutral Nations, 31 P.O.W.s to Neutral Nations, except Lee Myeong-Jun, were violating the regulations and leaving the group. But only Lee Myeong-Jun was not tempted by the other prisoners. He was not able to cooperate with the other P.O.W.s in their deviant behavior even if he was threatened by them. In the end, he was isolated from them. At the time of the 1953 Armistice,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decided to form a Neutral Nations Repatriation Committee(NNRC), and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NNSC), which managed the P.O.W.s to the Neutral Nations in Panmunjom and was responsible for their delivery to the Neutral Nations. In the Square, however, there are no members of the NNRC and the NNSC to manage them, except for captains, seamen and 32 P.O.W.s. In the Square, Lee Myeong-Jun's isolation in a ship on the way to the Neutral Nation raises the question of liability to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the NNRC and the NNSC, who professed responsibility for the delivery of the P.O.W.s who chose to go to the Neutral Nations but responsible for them. In 1953-4, P.O.W.s chose to go to the Neutral Nations following the persuasion of the NNSC that they were able to transfer to the Neutral States. Among these P.O.W.s, however, there were those who died without being able to board a ship to Neutral Nations because of the lack of a manager to mediate when ideological conflicts broke out at Dong Lipo Camp, and there were those who tried to head to another Neutral Nations via India, but refused to enter other Neutral Nations. And there were those who was treated as a untouchable, which called as dalit, the lowest rank in the Indian caste system, a result of not being guaranteed a proper life from India government, even if he had not been there for the purpose of staying in India from the beginning. And there was those who applied for a transfer to another Neutral Nations, but he was detained in India for a long time, instead of moving to another Neutral Nations. In the end, there were those who wanted to enter the United States after being refused entry from the Neutral States, but because the US government did not issue citizenship to him, h... 본고는 최인훈(崔仁勳, 1936.4.13.~2018.7.23.)의 <광장>을 6·25 시기 중립국 선택 포로에 대해 국제사회에 책임의 문제를 제기한 1950-60년대 국제정세 비판소설로 재독한다. 냉전이데올로기는 미·영·프·소·중 등 강대국 정치의 산물이었고, 냉전이데올로기를 강대국들은 6·25라는 대리전으로 격화시켰다. 그렇기에 6·25를 적확하게 증언하는 서사는 한반도 영토 내부만이 아니라, 외부까지도 탐색해야 한다. 기존의 <광장>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액자-안-서사에만 천착해왔으나, 본고는 <광장>의 액자-안-서사와 액자-밖-서사를 통합적으로 고찰할 때 그 의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입각점에서 서술되었다. <광장>의 액자-안-서사는 6·25 이전에 경찰력이 시민을 탄압하는 남한의 독재정권과, 전체주의화 결과 인민의 인권을 침해하는 북한의 기득권을 고발한다. 6·25 이후를 다루는 <광장>의 액자-밖-서사는 한반도를 벗어난 서태평양을 배경으로 전개되며 중립국으로 향하는 이명준의 모습을 추적한다. 이명준은 월북자로서 이북에 거주하다가 북한인민군으로 6·25에 참전하여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 수감된 후에 판문점에서 중립국행을 선택해 중립국행 타고르호에 탑승하였다. 타고르호에는 이명준을 제외한 31명의 중립국 선택 포로들이 있었다. <광장>의 액자-밖-서사에서 이명준을 제외한 31명의 중립국 선택 포로들이 규정을 위반하고 단체로 일탈하자, 이명준은 이들의 행동에 반대하다가 고립된다. 중립국 선택 포로들을 관리해야 할 책임자가 타고르호에 부재했기 때문에 이명준은 폭력에 노출된 채로 고립되었고 끝내 죽음을 선택한다. 1953년, 6·25에 대한 휴전협정 과정에서 유엔총회는 중립국 송환위원회 구성을 결정하였다. 한반도에 도착한 중립국 송환위원회는 판문점에서 중립국 선택 포로들을 책임지겠다고 공언하였다. <광장>의 타고르호에 선장과 선원, 중립국 선택 포로들 이외에 탑승했어야 하는 이들은 중립국 송환위원회와 중립국 감독위원회 회원들이었다. 강대국들의 대리전으로 희생된 한반도에 중립이라는 희망을 제시하던 중립국 위원회를 파견한 주체는 누구인가라는 하나의 잊힌 물음이 소설 <광장>을 감싸고 있다. 냉전이 종식되기 전까지 유일하게 냉전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을 막을 수 있었던 중립국 위원회는 그 책임을 다하지 않았고, 그 결과 현실적인 정치 세력이 되는 일에도, 유의미한 중립국의 비전을 유지하는 일에도 실패하였다. ‘법없음의 공간’으로서의 타고르호는 유토피아의 꿈이 디스토피아의 전시장이 되어버린 1950-60년대의 국제사회에 대한 증언의 장소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