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규모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송수구를 활용한 화재진압 연구

        서주완(Joo Wan Seo),천정훈(Joung Hun Cheon),문명기(Myeong Ki Moon),이승철(Seung Chul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짓는 건물의 지하주차장은 점점 심층화, 대형화로 복잡해지고 있으며, 화재하중도 높아 연소 확대 방지를 위한 초기 화재진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상반되게 밀폐구조의 폐쇄성과 화재 시 농연으로 소방대원의 진입 및 진압여건이 점점 어려워져 화재 초기 자동소화설비인 스프링클러헤드의 이른 개방과 충분한 살수밀도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완공예정인 대규모 지하주차장(방호구역 3,000 ㎡, 5개 이상)을 선정, 건물 스프링클러펌프가 기계⋅전기적인 원인 등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를 가정하여, 스프링클러 송수구로 소화수를 공급하여, 말단헤드1개 방수 시까지 시간측정과 2개 헤드 살수밀도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요결과로서 A완공현장에서 소방펌프차로 스프링클러 송수구 0.7 MPa로 송수하였을 때 바닥으로부터 3m 헤드 높이에서, 말단헤드 1개 개방 시까지 1분 30초 소요되었으며, 동일압력으로 말단헤드와 인접헤드 2개를 개방하였을 때 살수거리 395 cm, 채수량 14.5 L [시험장치(가로 √1,000mm, 세로 √1,000mm)] 측정하였다. 채수통의 채수량 차이는 4배 이상이었으며, 소방펌프차 2,800 L의 용수를 사용하고, 소방차로 공급되는 보수량은 3,000 L 정도였다. 따라서, 송수구역이 5개 이상의 대규모 지하주차장은 주차장의 배관체적에 따라 소방차 2대 이상의 소화용수와 2분 이상의 송수시간이 헤드로 공급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이에 대규모 지하주차장에서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송수시간 단축과 살수밀도를 높이는 다양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층건물 화재대비 중계대형 실험연구

        서주완(Joo Wan Seo),김현성(Hyun Sung Kim),박태영(Tae Young Park),송병준(Byung Joon Song),정윤철(Yun Cheol Jeong),김종진(Jong Jin Kim),천정훈(Jung hoon Chun),정영태(Young Tae J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짓는 건물은 고층화, 대형화로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화재하중도 높아 고층건물의 연소 확대 방지를 위해서는 연결송수관설비를 활용한 진압전술이 필요하다. 2022년 소방청 통계연보 소방장비 현황에 의하면, 소방서의 화재진압차종은 소방펌프차, 소방물탱크차 등이며, 화재를 진압하는 대다수의 소방차는 A-1소방펌프(규격방수압력 0.85 MPa의 규격방수량 2.8 ㎥/min이상, 고압방수압력 1.4 MPa의 고압방수량 2.0 ㎥/min이상)을 사용한다. A-1소방펌프의 특징은 우햐항 펌프성능시험곡선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건물 화재 시 건물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증압용 펌프)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하여, 소방차 1대 고압방수압력(1.4 MPa, 1.6 MPa) 단독방수와 소방차 2대를 직렬로 중계(2대 동일 특성이 같은 A-1펌프 사용, 2대 특성이 다른 펌프 사용)하고, 소방펌프 2대의 압력변화를 다양하게 하면서 소방차 1대 단독방수일 경우와 압력유량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고압방수압력(1.4 MPa, 1.6 MPa)에서 소방차 2대의 특성이 같은 펌프와 특성이 다른 펌프 모두 압력과 유량이 소방차 1대 단독방수보다 높았다. 단독방수 시 방수구를 막고, 압력상승 후 1.4 MPa, 1.6 MPa로 개방하였을 때 실질적으로 방수압력이 급격히 떨어졌다. 소방펌프중계효율은 중계차(방수하는 차로 물을 보내주는 차)와 방수차(물을 직접 방수하는 차)의 압력편차가 크거나, 중계차의 압력이 방수차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때 중계효율이 낮았다. 따라서, 고층건물 화재 시 또는 훈련 시에 건물 송수압력 범위를 확인하고, 1.4 MPa이상 시 소방차 2대를 각각 규격방수압력 부근에서 압력편차를 적게 한 중계방수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가스계소화약제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국내적용방안 고찰

        서주완(Joo Wan Seo),송병준(Byung Joon Song),김현성(Hyun Sung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역사적으로 대형 화재(전쟁), 산업⋅환경 변화가 있을 때마다 사회경제변화를 수반하였고, 소화약제도 크게 발달하였다. 대표적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전기 및 인화성 액체화재를 대응할 수 있는 CO₂, 건조화합물, 할론 등 소화약제가 발달하였고,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오존층파괴물질인 CFCs, 할론이 금지되어 대체소화약제가 발달하였다. 20세기 초 CO₂는 자체증기압에 의해 실린더에서 압축액화로 생산되고 운송할 수 있었고, 주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CO₂소화기가 선호되었다. CO₂는 전기 및 인화성 액체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초기에는 50lb실린더에 매우 많은 양의 CO₂가 카트에 장착된 냉장 용기에 저장되었고, 두 차례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CO₂시스템의 자동소화설비가 요구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직전 화염에 탁월한 억제능력을 가진 브롬화메틸, 사염화탄소가 사용되었고, 사염화탄소의 초기소화테스트에서 풀(증발) 화재에 매우 효과적이며, 전기 화재에도 효과가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군육군공병대 개발연구소에서는 CCl₂Br₂테스트를 하였고, 그 결과 불꽃 구역에서 화학반응억제가 다른 가스약제보다 우수하고 브롬화메틸, 사염화탄소보다 독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970년대 중반 CFCs이 대기 중에 수십 년 동안 지구상부에 축적되었고 오존층, O를 일반산소로 변환함으로 써 촉매적 반응으로 오존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1989년 1월 1일부로 몬트리올의정서 발효에 의해 할론소화약제의 사용제한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는 대체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 가스와 그 혼합물, 물 미스트와 같이 청정약제(Clean Agent)로 개발되었다. 1996년 미국 소방방화협회 NFPA에서는 첫 번째 청정제 표준인 NFPA 2001을 발표하고 11개의 청정제를 인정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할로겐화합물인 FK-5-1-12, 불활성기체인 IG-541 등 수 종이 사용되고 있으나, 각 물질별 물성, 환경성, 경제성, 안전성 등이 종합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2020년 소방청 예방행정통계자료에 따르면 특정소방대상물은 2,366,425동, 가스계소화설비 적용 동은 약 3만 2천 여동으로 산업의 다변화와 그로 인한 다양한 사회의 소방 수요로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소화약제의 특⋅장점 비교와 국내 적용방안을 고찰하고자 합니다.

      • KCI등재

        벌집형 고시원 피난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서주완(Joo-Wan Seo),이승철(Seung-Chul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5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 중 화재 시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 벌집형 고시원에 대하여 거주자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해 발화실의 화재특성을 분석하고,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시원과 관련한 소방·건축법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배연창 또는 창문을 설치·개방해서 피난하는 것보다는 소방시설인제연설비(강제 배출)의 동작 및 스프링클러헤드 개방 시 피난허용시간이 32 s ~ 63 s 증가하였다. 피난시뮬레이션수행결과에 따라 영업장에 피난계단을 추가로 설치 한 결과 피난용량의 증가로 거주자의 피난시간이 10 s 단축되었다. 아울러, 소방시설은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비해 유지관리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벌집형 고시원 피난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난계단 설치 수에 따라 숙박형 고시원의 완비증명서 발급기준을 강화하는 제도적인 개선이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evacuation safety of the residents of Go-Si Won, which is knownas the most dangerous commercial building structure. Thus, it aims to analyze the fire characteristics of the ignition roomregarding effective fire escape mean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fire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analyzedunder various conditions at the honeycomb-shaped Go-Si Won. Consequently, the simulation showed an increase in escapepermit duration, which was 32 to 36 s longer when operating the smoke control and sprinkler systems than opening smokewindows. The evacuation time shortens as emergency exit stairs are added. The fire facilities are difficult to operate andmaintain because of malfunction caused by the building’s deterioration. To enhance the evacuation safety of thehoneycomb-shaped Go-Si W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issuance criteria for facility safetycompletion certificat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implemented evacuation steps.

      • KCI등재
      • KCI등재

        간경화증 환자의 상행결장 정맥류 출혈을 응급 대장대시경을 통한 내시경정맥류폐색술로 치료한 1예

        김창래 ( Chang Lae Kim ),김태홍 ( Taehong Kim ),이원혁 ( Won Hyuk Lee ),서주완 ( Joo Wan Seo ),박승하 ( Seung Ha Park ),최준혁 ( Joon Hyuk Choi ),허내윤 ( Nae-yun Heo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2 No.1

        Ectopic varices are rare among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especially in the ascending colon. It is difficult to evaluate massiv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y colonoscopy due to hemodynamic instability and poor bowel preparation. In Korea, there has only been one case report about ascending colon variceal bleeding, in which hemostasis was performed by venous coil embolization. We report another rare case of ascending colon variceal bleeding in a patient with alcoholic cirrhosis,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via two sessions of N-butyl-2-cyanoacrylate injection through colonoscopy. This case suggests that the careful endoscopic approach and hemostasis with glue injection might be an option for treating massive bleeding in the lower gastrointestinal varix. (Korean J Gastroenterol 2018;72:37-41)

      • KCI등재

        Hemobilia의 원인, 임상소견, 치료에 대한 분석

        김태균 ( Tae Kyun Kim ),김동욱 ( Dong Uk Kim ),송근암 ( Geun Am Song ),김광하 ( Gwang Ha Kim ),허정 ( Jeong Heo ),서주완 ( Joo Wan Seo ),오상보 ( Sang Bo Oh ),고정희 ( Jung Hee Koh ) 대한췌담도학회 201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8 No.1

        배경/목적: 혈액담즙증은 발생률이 높지 않아 쉽게 인지되지는 않지만, 위장관 출혈의 감별 진단에 중요하다. 혈액 담즙증의 원인으로는 담석, 염증, 혈관 기형, 악성 종양, 담도 외상 및 의인성 등이 보고되어 왔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혈액담즙증의 호발 원인에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의인성 혈액담즙증의 발생률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국내의 혈액담즙증의 원인과 임상양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혈액담즙증으로 진단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 임상양상 및 치료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의인성 혈액 담즙증의 발생률을 확인하였고 위험인자인 항혈소판제제 복용 여부도 확인하였다. 결과: 혈액담즙증의 원인으로 의인성이 가장 흔했고, 다음으로 간세포암과 같은 악성종양이 뒤를 이었다. 임상양상에서 Quinke의 세 징후가 모두 나타난 것은 19% 정도였으며, 치료는 경도 혈액담즙증의 경우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되었으며, 중증의 경우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의인성 혈액담즙증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시술시혈액담즙증에 대한 빠른 인지와 주의 및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Aims: Hemobilia is a rare condition that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d. However, it is none the less important to includ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With the increasing use of percutaneous liver procedures, there has been increased in the incidence of iatrogenic hemobil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cidence of iatrogenic hemobilia and to identify the et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rapy of Korean patients with hemobilia. Methods : In this study, we reviewed 53 patients with hemobilia diagnosed definitely, for analyzing recent causes, presentations and treatment. In addition, we investigated prevalence of iatrogenic causes and frequency of taking antiplatelet agents. Results : In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most common cause was iatrogenic hemobilia and malignancy including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followed. All symptoms of Quinke`s triad were presented in up to 19 %. In the case of minor bleeding, conservative therapy was enough to recover and severe cases needed angioembolization or surgery. Conclusions: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studied about how to prevent iatrogenic cause, because hemobilia due to percutaneous procedure continues to increase.

      • 난소암 환자에서 F-18 FDG PET-CT로 난소암의 경부 림프절 전이와 산발형 갑상선 수질암이 동시에 발견된 증례

        서주완,박창준,전윤경,김상수,김보현,김인주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12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7 No.1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TC) is derived from the parafollicular or C-cells. As surgical resection is the only curative therapy for MTC, the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for the patient’s survival. F18-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18 FDG PET CT) is a noninvasive imaging method which can be used to diagnose malignant thyroid tumors including recurrent or residual MTC.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is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hyroid tumors. We herein present a 47-year-old woman with ovarian cancer history who was found to have thyroid incidentaloma with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 through F-18 FDG PET CT. Thyroid incidentaloma of the patient was examined by fine needle aspiration and the result of this diagnostic procedure showed suspicious MTC. The patient was subsequently diagnosed as having sporadic medullary thyroid carcinoma and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 due to ovarian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