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실행기능 : 종합주의력검사와 스트룹검사, 아동 색선로검사,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관련성

        서종만,김효원,여진영,변은하,정석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 신경정신의학 Vol.51 No.2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위에서 언급하였듯이ADHD군과 임상대조군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대조군을포함하지 않았다. 둘째, 임상대조군에 다양한 진단을 가진아동청소년이 포함되었으며, 각각의 질환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행기능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틱장애나 학습장애를 가진 경우를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여 이러한 효과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정신장애의 진단과정에서 구조화된 진단면접도구가 사용되지 않았다. 본 연구와 같이 특정질환에서 신경인지기능 검사의 역할을 평가하는 연구에서는 진단의 정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for School-Age Children-Present and Lifetime Version과 같은 구조화된 진단면접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진단과정의 객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많은 수의 표본을대상으로 종합주의력검사와 기존에 타당도가 알려져 있는실행기능검사의 결과를 ADHD 아동청소년과 ADHD가 아닌 아동청소년 사이에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ADHD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종합주의력검사의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연구, 유전학연구, 뇌영상연구 등 ADHD 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종합주의력검사를 활용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Comprehensive Attention (CAT), Stoop Color-Word (STROOP), Children’s Color Trails (CCT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s (WCST) in evaluating the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A total of 197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mean age 10.4±3.2 years, 173 boys) and 62 without ADHD (mean age 11.8±3.5 years, 48 boys) have completed the Swanson, Nolan, and Pelham-IV questionnaire (SNAP-IV), and also the CAT, STROOP, CCTT and WCST. Results: The selective, sustained, divided attention and Flanker tests of the CA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between the ADHD and non-ADHD groups. The results of the CCT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e CAT only in the ADHD group. The results of the STROOP were associated with selective, sustained, divided attention and Flanker tests. The results of the WCS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the Working Memory subtest of the CAT only in the non-ADHD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AT has strong discriminant validity and moderate concurrent validity. The CAT could be a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executive function of ADHD.

      • KCI등재

        사망유형 분석을 위한 자살위험요인 탐색 :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중심으로

        서종,김나애,김경일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can classify the cause of different types of deaths, including suicide, through case-controlled psychological autopsy study. The criteria for judging suicide patterns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important areas, referring to prior study results from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Sneedman, 1976; Litman, 1968; Seo Jong Han et al., 2012; Seo Jong Han et al., 2018). Four areas were divided into: problems in life or adaption, suicide/death attempts in the past,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al deaths such as family, friends or other acquaintances. We 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122 cases of suicide and 40 cases in the control group. The suicide cases group was divided by generations to see if there were an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suicide between gener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job, education and economic conditions, social network, past self-suicidal attemp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urrounding factors were highly related to suicides. Each factor was compared to a national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 overseas study, and additional specif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 related to each factor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통해 자살을 포함한 사망 유형의 구분 및 자살의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할 위험요인을 찾아보았다. 국내외의 심리부검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하여 자살 유형 판단 기준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Shneidman, 1969; Litman, 1968; 서종한 등, 2012; 서종한 등, 2018) 그 안에서 자살사 사례군 122건과 대조군 40건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자살 사례군을 세대별로 나누어 각 세대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는 자살 요인의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살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로 1) 직업, 교육, 경제적 상태, 2) 사회적 관계망, 3) 과거 자해 및 자살시 도, 4)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5) 주변인 등의 요인들이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은 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상황과 비교되었으며, 구체적 정보 및 시사점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모바일 기기에서 흐르는 듯한 진동 감각을 이용한 2차원 방향정보 전달

        서종만,최승문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사람이 쥐었을 때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두 개의 진동자를 이용하여 1차원 상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듯한 진동 감각(이하 Tactile flow)을 구현하였다. Tactile flow는 잘 알려진 촉각적 착각 현상 중 하나인 phantom sensation의 원리를 기반으로, 두 진동의 물리적 강도를 조절하여 구현하였다. 1차원 상에서 선형으로 움직이는 1차원 Tactile flow가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Tactile flow의 진동 강도 조절 방식, 지속 시간 및 방향을 변화시켜가며 사용자 인지 실험을 진행하여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네 방향의 1차원 Tactile flow를 조합하여 2차원으로 확장된 Tactile flow를 구현하였으며 인지 구분 실험을 통해 의도한 2차원의 방향정보 표현 및 전달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creating continuously moving vibrotactile sensations (i.e. "Tactile flow") in 1-D using two vibrotactile actuators in a mobile device. Also we found that the Tactile flow can deliver 2-D directional information by combining four 1-D Tactile flows. Tactile flow is implemented by controlling amplitudes of vibro-actuators, based on well-known tactile illusion called "phantom" sensation. We tested whether such sensation can also be elicited in a mobile device via a phychophysical experiment. Experimental conditions differed in vibration rendering method, the duration of a vibrotactile signal, and the direction of sensation movement. After that, we tested the human's discrimination ability of 2-D Tactile flows which is composed of four 1-D Tactile flows.

      • 覆益子 抽出物의 勃起不全 改善效果에 關한 硏究

        서종,강정준,정지천 대한한방성인병학회 2000 韓方成人病學會誌 Vol.6 No.1

        Rubi Fructus(RF) have tested to study the effects concerning urethral nitric oxide synthas activity and nitrite in rats. In vitro, the urethral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was not noted, but the level of urethral lipid peroxide was decreased in the level of Dose of extract prepared from RE In vivo, after the extract was administered to the animal model for fifteen days, the urethral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and level of nitri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rmal rats. and the level of lipid peroxid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e extract of RF will be able to restore erectile dysfunction of rats.

      • KCI우수등재

        면담기반 사이코패시 성격 종합평가-기관평가척도(CAPP-IRS) 도구 타당화 연구

        서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6 No.1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Psychopathic Personality-Institutional Rating Scale(CAPP-IRS) in Korea. Eighty nine inmates at correctional prisons across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compared the CAPP-IRS’ psychometric properties to those of the Psychopathy Checklist-Revised(PCL-R) and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PPI-R). As a result, the CAPP-IRS showed good to excellent interrater reliability and good test-restest reliability. The CAPP-IRS also showed overall good associations with interview-based PCL-R and self-reporting based PPI-R, which means good concurrent valid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CAP-IRS approved clinical utility for the assessment,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Korea. 본 연구는 면담 기반의 사이코패시 성격 종합평가 도구(CAPP-IRS)를 국내에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CAPP-IRS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 교정시설 수용중인 재소자 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이 동시에 이뤄졌다. 그 결과 양호한 수준의 CAPP-IRS 평가자간 신뢰도(ICC)를 보였으며 검사-재검사(test-retest) 수준도 두 시도 간 높은 관련성을 보여 신뢰성이 양호했다. 준거 척도의 수렴도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면담 기반의 한국판 PCL-R과 자기보고식 한국판 PPI-R간 상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두 준거 척도 간 수용할 만한 연관성을 보여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도구를 활용하여 치료 효과성, 일반인, 여성에 대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임상장면에서 치료자가 사이코패시의 변화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이코패시의 평가, 진단, 치료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줄 것으로 보인다.

      • 정신분열증 가해자의 살인 전 스트레스요인과 살해수법

        서종 한국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 No.2

        This study was subjectively designed to analyze the issued thirty-three events to find out the perceived type of stress and level of stress in schizophrenic murder. And then, we examined the seven main murder patterns of schizophrenic murder. The stress perceived in homicidal schizophrenics were divided into nine stress factors such as conflicts with parents or family members, failure and frustration in occupation, not promoted, marital discords, unrealistic contents of thought. and so on. Especially, dominant stress factors happened before murdering were conflicts with parents or family members and unrealistic contents of thought. The murder methods of schizophrenic were characterized with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attern of murder, tools used, victims' body-condition, people targeted and peculiarities. Specifically, there were over-killing modes with tough tools such as the kitchen knife and hammers placed at home, the family members or parents targeted, the deep scars intensively distributed on the head and chest, the peculiarities like the eyeballs extracted from the face and amputated cord of victims' ankles, largely many defensive scars existed on arm and wrist, and so on. Based on these results, schizophrenic murders previously may experience a few murder-triggering stresses for a long time and revealed their own killing methods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가해자가 살인행동을 보이 전에 지각된 스트레스 유형 및 지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으로 이슈화 된 대표적인 사건 33건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신분열증 가해자가 살인 시 보여주는 주요 범행수법을 살펴보았다. 정신분열증 가해자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유형은 자신의 발병과 재 입원, 사회적 대인관계(친구문제), 직업상 실패나 좌절 혹은 승진 누락, 경제적인 요인, 부모의 다툼과 갈등 및 가족 내 문제, 결혼 문제, 퇴원 안됨(면회안옴), 망상을 포함한 비현실적 사고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살인 전 범행을 하게끔 촉발시켰을 것으로 추정되는 스트레스 요인은 유의미하게 그 대상이 가족 구성원 중 특히 부모였고 부모의 다툼과 갈등 및 가족 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가해자가 보인 살해수법 중 공통적으로 보이지만 일반살인 범죄와는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은 살해동기, 범행특성, 살해 후 반응, 피해자 특징, 가해자 특성, 범죄현장 및 살해 후 가해자 신체적 상태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열증 가해자는 살인 행동을 보이기 전 범행에 필요한 사건 촉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나 수법적인 측면에서 일반살인 범죄와는 다른 측면 즉 과잉살해, 잔혹성 및 특이성 등을 보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사이코패스 개념, 믿음, 태도에 관한 연구 : 사이코패스성격장애종합평가(CAPP)를 중심으로

        서종한 ( Jonghan Sea ),신강현 ( Kanghyun Shin ),김경일 ( Kyungil Kim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2

        본 연구는 국내 일반인들이 사이코패스에 대해 갖는 원형성을 살펴봄으로써 사이코패스성격장애종합(CAPP)평가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0차례의 번역과 역번역을 실시하여 최종 번역본을 완성하였다. 또한 남성과 여성 사이코패스에 대해 갖는 원형성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일반 대중들이 사이코패스 갖는 인식, 태도, 가치 등 신념에 대해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021명의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분석 결과, 사이코패스증상이 이와 상관없는 증상과 유의미하게 높은 원형성을 보였고 2개의 외국 집단과 비교한 결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또한 여성이 남성사이코패스보다 수다스런, 의심하는, 감정 안정성이 부족한, 가식적인, 불안정한 자기개념 등에서 차별성을 보였다. 일반인들이 사이코패스에 대해 갖는 태도는 사이코패스가 더 심각한 수준의 폭력 잠재성이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그리고 옳고 그름을 이해할 수 없어 일종의 정신병자 내지는 사회악 혹은 악마로 규정하며 앞으로 변화될 여지가 없는 불변의 특성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따라서 더 강력한 사법적 치료와 통제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고 일부 이들의 친사회적 기술 등은 인정하고 있지만 직업이나 인생에서 성공하지 못할 것으로 보았다. 사이코패스 범죄에 대한 불필요한 두려움과 불안감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관련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향후 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validity of CAPP(Cooke et al., 2004) through prototypicality analysis (Kreis et al., 2012). We conduct ten-(back-)translation procedures of the original version of the CAPP until completed. Then we explore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psychopathy through prototypicality analysis. Moreover, various perception, attitude, and beliefs concerning psychopathy in lay people were comprehensively explored. Thus this study surveyed 1,020 lay people regarding various perception, attitudes, and beliefs they had concerning psychopathic personality (i.e., psychopathy).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Smith et al. (2014) was used, which consists of 5 domains(criminality, rehabilitation potential, ethological underpinnings, moral judgement, legal sanctions) and 28 items as a form of question toward lay people. Principally in concordance with previous results of earlier studies using lay people raters, they rated most of the 33 CAPP items and 6 CAPP domains as at least moderately prototypical, and compared to two abroad samples(e.g., Spain, North America), it displayed very similar pattern among 33 CAPP symptoms which were different from 9 foils. Also, female psychopath were significantly rated more prototypical in 4 symptoms such as Garrulous, Lacks emotional stability, Insincere, and Unstable self-concept. Lay people viewed psychopath as much severe violent in criminal potentiality, as not capable of determining right from wrong, and as generally ‘insane’ or ‘evil’. It means they recognized that psychopath can not change or rehabilitated. Accordingly, they endorsed that psychopathy should be incarcerated and even acknowledging some pro-social features in psychopathy, they not successful in life. These perceptions and belief may contribute to excessive fear of psychopathic crime and negative attitude in dealing with psychopathy.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added for later research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