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 청소년에서 시신경유두 드루젠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서두리,박성희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9

        목적: 소아, 청소년 환자의 시신경유두 드루젠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을 분석하고 대조군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소아, 청소년 환자 중 직상 검안경 검사 및 안저 촬영에서 시신경유두 비측 상승 또는 경계 부위 흐림이 나타났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동일한 연령대의 환자 중 정상적인 시신경유두를 보이며 빛간섭단층촬영을 포함한 안과 검사상 굴절이상 외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았던 군을 대조군으로 포함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시신경유두 비측 상승 또는 경계 부위 흐림이 나타났던 84안 중 29안(16명)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망막하 종괴의 형태로 시신경유두 드루젠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13명(18.8%)은 양안에서 시신경유두 드루젠이 발견되었다. 시신경유두 상승 또는 경계부흐림을 보였던 환자 중 시신경유두 드루젠을 진단 받은 군(Group 1), 시신경유두 드루젠이 없었던 군(Group 2), 그리고 정상 대조군(Group 3)은 구면렌즈 대응치의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Group 1은 정상 대조군인 Group 3에 비해 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이측 부위 두꺼워짐이 나타났으나 Group 2와는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청소년에서 묻혀 있는 시신경유두 드루젠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나타나며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망막하 종괴를 확인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Purpose: To analyze the features of optic nerve head drusen (ONHD) observed on th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diagnosed ONHD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with the control group.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with nasal elevation or marginal blurring of the optic nerve head on either direct ophthalmoscopic examination or fundus photography. Patients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f the same age who had normal optic nerve heads and no abnormal findings except refractive errors under ophthalmic examination including OCT. Results: There were 29 eyes (n = 16) with ONHD as a subretinal mass-like lesion on OCT among 84 eyes with nasal elevation or marginal blurring of the optic nerve head on OCT. Thirteen patients (18.8%) were diagnosed with ONHD in both eyes. The following 3 groups were compared: group 1, showing nasal elevation or marginal blurring of the optic nerve head on OCT and diagnosed with ONHD; group 2, without ONHD; group 3, normal controls. The spherical equival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p < 0.001). Compared with group 3, group 1 showe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ening of the temporal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1 and 2. Conclusions: Buried ON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ay be asymptomatic and the diagnosis can be made when a subretinal mass-like lesion is detected on OCT.

      • KCI등재

        버찌 착즙액 단독 혹은 토마토 분말과 혼합하여 제조한 저지방 돈육소시지의 품질평가

        서두리,진구복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ith various levels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omato powders as a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In study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s(p>0.05), except for Hunter L(lightness) and Hunter a(redness). Model sausages containing pressed cherry fruit extract(T1, 0.5% and T2, 1.0%) decreased lightness, whereas redness of REF(156 ppm sodium nitrite) was not different from T2(p>0.05). However, those with cherry fruit extract at 1% were proper to improve the hunter color values, especially redness values. In study 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el sausag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pressed cherry fruit extract and tomato powders in selected nitrite contents, except for color and cooking loss(p>0.05). In color values, REF was the highest level, and T2, T4, and T5 was significantly low level in lightness (Hunter L). T2 was the highest value in cooking loss(%) among other treatments. The redness values(Hunter a) of T5(75ppm, nitrite, 1% pressed cherry fruit extract and 0.5% tomato powder) were not different from REF which had highest redness values(P<0.05).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pressed cherry fruit and tomato powder might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partially replace with sodium nitrite in pork model sausages.

      • 고해상도 인공위성데이터로부터 지상좌표 결정을 위한 궤도모델링 및 RFM기법 적용

        서두천(Doo-Chun Seo),양지연,이동한,임효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8 항공우주기술 Vol.7 No.2

        고해상도의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지상좌표를 해석하는 센서모델링 기술은 위성영상자료의 활용 확대 및 신뢰성 확보에 가장 중요한 연구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연구과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기본을 하여, 고해상도 인공위성에서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GPS, Star-tracker, Gyro 등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위성의 위치, 속도, 자세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자료로부터 지상좌표를 해석하는 direct sensor model(DSM)과 위성의 궤도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궤도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하여 물리적 센서모델로는 지형보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rational function model (RFM)의 적용하여 지상좌표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Generation of accurate ground coordinates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re becoming increasingly of interest.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is to compute satellite direct sensor model (DSM) and rational function model (RPM) for accurate generation of ground coordinates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Being based on this we presented an algorithm to be able to efficiently ground coordinates about large area with introducing RFM(rational function model) method applied to rigorous sensor modeling standing on basis of satellite orbit dynamics and collinearity equation, and sensor model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like IKONOS, QuickBird, KOMPSAT-2 and others. The general high resolution satellite measures the position, velocity and attitude data of satellite using star, gyro, and GPS sensors.

      • KCI등재

        고무 씰링 재료에 대한 CO₂ 침지 영향에 관한 고찰

        서두현(Doo-Hyoun Seo),장갑만(Kap-Man Jang),이진한(Jin-Han Lee),이광원(Kwang-Won Rhie) 한국가스학회 2014 한국가스학회지 Vol.18 No.5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는 제철, 철강, 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CO₂를 포집 및 저장하는 기술로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CO₂를 감축시키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CCS 포집 기술과 저장 기술은 집중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있으며, 현재 실증단계에 있다. 그러나 상용화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포집, 저장 기술을 비롯하여 수송기술까지도 구성 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수송기술은 CCS 특성상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수송기술이 적합하지만, CO₂ 파이프라인 운용 사례가 부족하여, 파이프라인 또는 구성 요소(밸브 등)에 대한 적합한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₂ 파이프라인에 사용 가능한 고무재질을 알아보고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무 재질을 CO₂에 침지하여 압력?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which is technic to capture and storage the carbon-dioxide is the method that reduces the carbon-dioxide from the industries to prevent earth from the global warming. In order to apply to the practical site, it is inevitabl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amage in the pipe or components by carbon-dioxide. In this paper, the immersion test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suitability of the rubber which is used to seal or connect the pipelines because the rubber has not been validated. Also, the immersion test is carried out in a certain condition(pre- and supercritical state).

      • KCI등재

        정상운영기간동안의 KOMPSAT-3A호 주요 영상 품질 인자별 특성

        서두천 ( Doochun Seo ),김현호 ( Hyun-ho Kim ),정재헌 ( Jaehun Jung ),이동한 ( Dongha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6

        KOMPSAT-3A는 2015년 3월 발사하여 약 6개월의 기간 동안 초기 검보정을 수행한 이후 지난 8년 동안 성공적으로 KOMPSAT-3A 자료를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영상 자료는 지도제작, GIS, 국토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성적, 정량적 정보 추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KOMPSAT-3A의 영상제품군에서 추출되는 정보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영상 품질과 인공위성 하드웨어 특성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KOMPSAT-3A의 탑재체, 자세제어 센서들의 노후화에 따른 영상 품질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영상 품질 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OMPSAT-3A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발사 전후의 검보정 주요 과정 및 대표 영상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측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사 후 초기 LEOP Cal/Val이 완료된 이후 측정된 영상 품질 인자별 성능값과 최근 2016년부터 2020년 5월까지 KOMPSAT-3A호의 주요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The LEOP Cal/Val (Launch and Early Operation Phase Calibration/Validation) was carried out during 6 months after KOMPSAT-3A (KOMPSAT-3A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A) was launched in March 2015. After LEOP Cal/Val was successfully completed, high resolution KOMPSAT-3A has been successfully distributing to users over the past 8 years. The sub-mete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data obtained from KOMPSAT-3A is used as basic data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extrac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mapp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national land management, etc. The KARI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periodically checks and manages the quality of KOMPSAT-3A’s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hardware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tellite data of KOMPSAT-3A.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aging of satellite hardware, payload and attitude sensors of KOMPSAT-3A, continuous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the Cal/Val work-flow defined in the KOMPSAT-3A development phase was illustrated for the period of before and after the launch. The MTF, SNR, and location accuracy are the key parameters to estimate image quality and the methods of the measurements of each parameter are also described in this work. On the basis of defined quality parameters,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and measured during the period of after LEOP Cal/Val.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MTF, SNR, and location accuracy of KOMPSAT-3A from 2016 to May 2020 were described as well.

      • KCI등재

        수전해 수소충전소 부품별 유해위험요인 분석

        서두,이광원,김태훈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6

        In order to invigoration the hydrogen economy, production of hydrogen needed for hydrogen charging stations and hydrogen fuel cells is needed. Generally, it is reforming used to coal fuel or natural gas. Other technologies include water electrolysis using pure water. Among these water electrolysis technologies, development is mainly carried out using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lysis). In this study, the company aims to identify potential harmful hazards to PEM electrolysis hydrogen stations in the development stage among hydrogen charging stations. In order to find the hazardous factors in the facilities of the electrolysis and hydrogen charging stations, we were analyzed by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FMEA). 제조식 수소충전소에서 생산되는 수소가스는 일반적으로 석탄연료의 개질 및 부생가스 등을 활용하지만 순수물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의 경우 청정한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순수한 물로부터 수소를생산하는 기술 중에는 향후 가격 및 성능 경쟁에서 우수한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lysis)을 이용한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충전소 중 개발단계에 있는 PEM 수전해 수소충전소에 대해 잠재된 유해위험요소를 확인하여 안전한 수소생산 및 수소충전소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유해위험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수전해 수소충전소의 설비 및 장치의 안전성이 우선 확보되어야하기에 FMEA(Failure Mode & Effect Analysis)를 수행함으로써 수전해 및 수소충전소의 설비에서의 유해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 자동 기준점 추출을 위한 고해상도 영상 메칭기술 개발

        서두천(DooChun Seo),정재헌(JaeHon),양지연(JiYeon Yang),박지용(JiYong Park),최혜선(HeaSun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3

        본 연구는 고해상도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 및 지도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기술인 매칭기술을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매칭기술은 고해상도 영상의 기하보정에 필요한 지상기준점 자동으로 추출하여, 영상 기하보정을 요구정확도에 부합되도록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