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또 보알(Augusto Boal)의 ‘조커 시스템(Joker System)’ 연구

        서나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조커 시스템’과 ‘관객-배우(spect-actor)’로 대표되는 아우구스또 보알의 배우 개념을 고찰한 다. 관객과 배우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혹은 참여로서의 관객의 역할을 적극 이용하는 공연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 오늘날의 연극적 상황에 있어서 보알의 배우 개념에 대한 재고는 연극과 배우 예술 전반 에 걸쳐 의미 있는 사고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알은 그의 후기 저서에서도 ‘창의적 참여는 우리 세계의 다양한 가능성들을 상상하는 인간 능력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이러한 독려는 그것을 하 는 욕망을 자극시킨다.’고 주장하며 ‘관객참여’에 대한 우위를 양보하지 않았다. 즉, 관객들이 적극적으로 예술 생산의 전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예술의 가장 중요한 지점으로 계속해서 상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조커시스템과 관객-배우 개념은 관객 참여 연극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전반에 걸쳐 배우가 누구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응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1장에서는 먼저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론 일반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해 나갈 것이다.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연극론을 상세히 고찰하고 조커시스템과 관객-배우의 출현의 배경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조커시스템을 분석한다. 조커의 개념과 역할, 그 미학적 의의를 따져보고 전통적 연극에서의 배우 개념 과 비교해 본다. 또한 조커 시스템의 한계를 언급한 논의들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관객-배 우의 역할과 의의를 살펴보고 과연 이들을 ‘배우’라는 개념의 테두리 안에 넣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다. 결국 이 논문은 아우구스또 보알의 배우 개념 고찰을 통해 동시대 배우의 개념과 역할 에 관한 자리매김을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this thesis, I examine Brazilian theatre practitioner, Augusto Boal’s ‘Theatre of the Oppressed’. For many years, theatre practitioners and others the world over used Theatre of the Oppressed as a tool for social change. His project and method are a umbrella term for a community of techniques as ‘rehearsal for the revolution’. In his theatre work, the oppressed practice techniques to overcome their oppression and oppressors in their lives. Especially, I focus on two major concepts, ‘Jocker System’ and ‘Spect-Actor’. Using ideas from both concepts, I propose the identity and role of the actor in contemporary theatre. First of all, I analyse his ‘Jocker System’, in which all the actors play all the characters. Boal insisted that in jocker system, we eliminate the actor’s mediation in the presentation of character to spectator, in which all styles are permitted. Then, I consider the spect-actor’s concept, the goal of his theatre. This concept evolved organically from simultaneous dramaturgy. Although an limitation of his theory, his project and concept of the actor can provide some identification to the contemporary actors and theatre practitioners.

      • KCI등재

        신앙과 예술: 기독교 예술에 관한 성경적 이해

        서나영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4

        본 논문은 기독교 신앙으로 예술을 보는 성경적 관점의 구체적인 렌즈를 제공하여 한국 개혁주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기독교 영성을 가진 예술 문화를 이룩해 가는 데에 필요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독교 예술’을 정의하는 것은 역사를 걸쳐 다양한 문화들과 엮어진 예술의 방대한 범위와 기독교 교리와 신학들의 폭넓은 가르침과 경험이 교차됨으로 명백함을 기대할 수 없는 문화양상의 한 갈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현재의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기독교 예술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문화 선교적 역할의 중요성과 함께 견고하고 건강한 한국 개혁주의 신학의 사명 때문이다. 특히 통일한국을 눈앞에 맞이한 한반도의 기독교 문화 예술은 북한을 향한 문화선교의 선두주자로써 중대한 교회적 사명을 안고 있다. 또한 기독교 예술은 앞으로의 한국 개혁주의 교회의 방향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문화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진단과 구체적인 제안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독교 예술에 대한 성경적 원리를 연구하여 개혁주의 교회가 지향해야 할 일반은총(common grace)과 기독교 영성의 대립(antithesis)과의 적절한 관계를 예술에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 작품들이 기독교 예술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접근방법을 소개하여 그리스도인들의 단단한 영성의 예술 문화의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concrete lens of Biblical view of art through Christian faith in a search to find a practical way for Korean Reformed churches and Christians to develop artistic culture with Christian spirituality. Defining ‘Christian art’ is a branch of culture that can not be expected to be indisputable because of the vast range of ar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diverse cultures throughout history and the broad teaching and experience of Christian doctrines and theologies. Nonetheless, current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of the mission of a solid and healthy Korean Reformed theology, together with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ultural mission carried out through Christian arts activities. In particular, as unification of Korea draws near, South Korean Christian culture and arts have a significant church mission as a leader of cultural mission to North Korea. In addition, Christian arts is a dynamic culture that can play a decisive role i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Reformed Church, and hence finding it necessary to establish biblical and theological diagnosis and concrete proposal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biblical principles of Christian arts to apply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on grace which the Reformed church should aim for and the antithesis of Christian spirituality to arts. On basis of this, the three approaches to how art works can turn into Christian arts are introduced by the way of proposing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t culture within solid Christian spirituality.

      • KCI등재후보

        무대 위 배우의 현존과 시간 -니체의 초인(?bermensch)개념을 중심으로-

        서나영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3 모드니 예술 Vol.9 No.-

        20세기 이후 배우의 연기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계속되어 왔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심리적 내면연기로부터 메이어 홀드와 그로토프스키의 신체 중심 연기, 브레히트의 서사극 연기에 이르 기까지 배우 훈련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해 왔고 수많은 연구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 다. 하지만 연기, 혹은 연기 현상에 대해 근본적으로 해명하고 철학적, 미학적으로 자리매김 하 는 시도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배우는 누구인가?’, ‘배우는 어떻게 무대 위에 실존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명확하게 답하지 못한 채 이뤄지는 방법론적인 연구들 은 단기간의 훈련 효과는 급하게 가져올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배우상(想)은 물론이고 연기 훈련 의 지향점, 더 나아가 예술 교육의 미래를 제시 할 수 없게 된다.

      • KCI등재후보

        “죽음과 예술”에 관한 개혁주의 신학적 고찰: 17세기 바니타스 정물화를 중심으로

        서나영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6 No.-

        T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theological lens,” necessary for Protestant Christians under the tradition of the Reformation to appreciate art in today’s world, where art with the theme of “death” is prevalent. In order to trace the Christian significance of the material “death,” which seems unfamiliar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beauty, this work examines the examples of art in the Bible, catacombe art in the early church, the Middle ages, and the art of the Renaissance. The Background to analyze the genre of Dutch “vanitas still life paintings” by Reformation artists, will provide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themes such as the passion and death of Jesus Christ, the suffering and death of martyrs, hell and judgment, Satan and monsters, and sorrow and vanity. Vanitas still life painting depicts the “vanity and emptiness” of Ecclesiastes with withered flowers, everyday tables, skeletons, and animal carcasses, and is full of symbolic meaning to see “grace” inherent in daily life and to have “hope of resurre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artistic language left by vanitas painters and to inform its value through Christ-centered deep meditation derived from the theme of death by today’s Christians. Focusing on the works of masters who struggled to incorporate the theology and spirituality of Protestantism into everyday paintings, this work questions what the life of the body should be like for the splendid glory of salvation through paintings, and invites us to realize the power of the unique “blood of Christ” that can reach the eternal God through “death and futility,” and important topic for Christians to learn. 본고는 “죽음”이라는 주제의 예술이 만연한 오늘날, 종교개혁 전통 아래 있는 개신교 그리스도인들이 예술을 감상함에 있어 필요한 “신학적 렌즈”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예술과 아름다움이라는 긴밀한 관계에 낯설어 보이는 “죽음”이라는 소재가 기독교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추적하기 위해 성경 속 예술, 초대교회의 카타콤베 예술, 중세와 르네상스의 예술이 다룬 그림의 예들을 살핀다.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순교자들의 고통과 죽음, 지옥과 심판, 사탄과 괴물, 슬픔과 허무함 등의 주제가 표현된 발자취를 따라, 종교개혁 미술가들이 이룬 네덜란드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 장르를 분석할 배경을 제공한다. 바니타스 정물화는 전도서의 “허무함”을 시든 꽃, 일상의 식탁, 해골, 동물의 사체 등으로 그려 매일의 삶 속에 내재하는 “은총”을 보고 “부활의 소망”을 갖고자 하려는 상징적 의미로 가득하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죽음이라는 주제로부터 파생되는 그리스도 중심의 깊은 묵상을 통해, 바니타스 화가들이 남긴 예술 언어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보여준다. 개신교의 신학과 영성을 일상의 그림에 녹이려 고군분투했던 거장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림을 통해 구원이라는 찬란한 영광을 향한 육신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질문하며,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배워야 할 중요한 주제인 “죽음과 허무함”을 통해 “영원하신 하나님”께 이를 유일한 “그리스도의 보혈”의 능력을 깨닫도록 초대한다.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연극 교육과 테크놀로지

        서나영 국제언어인문학회 2022 인문언어 Vol.24 No.2

        After the pandemic, many changes in the performing arts, including the theater education, appeared in various forms. Virtual world implementation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mixed reality (MR), and extended reality (XR) are rapidly changing and providing audiences with a completely different viewing experience. In addition, as IT technology as well as 5G mobile communication, the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rapidly has been changed. The field of theater education is experiencing a similar time of confusion and change during pandemic. This paper starts from a problematic consciousness due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spectatorship based on rapidly changing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spectatorship that technology has actively changed and diagnoses what changes are needed in the theater education field. And it diagnos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ater education through ‘lecture performance’. Above all, the possibility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overriding the position of the actor and the spectator’,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sense is prioritized’, and ‘self-reflective knowledge structure.’

      • KCI등재

        마음의 경건:청교도 영성 안의 찬송과 기도시의 역할 고찰

        서나영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9 성경과신학 Vol.91 No.-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psalms and prayer in the spirituality of the 17th century Puritans to offer the right foundation for the direction of today’s church music and praise, as they face cultural problematic tasks. Therefore, this study traces the Puritan’s firm belief in the music philosophy and the singing of psalms which are found in the mid-sixteenth to mid-sev- enteen century England, which was the period of decline in church music, and right before the birth of hymn story.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rayer which poems used as personal meditations and illuminate the inner piety—the essential role of hymns. By studying the role of the psalms and several hymns attached to the Psalter’s book, as well as the meaning of metrical Psalms, the only song that the Puritans allowed their congregation to sing. The study will explore the explanation for their con- cerns and unique understanding of the Psalm singing, as well as the in- evit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poetry. Seeking to play a role as a worthy and spiritual guidance to move forward, this study re-examines the power of the Psalm singing and discusses its theological conflict with music by drawing valuable conclusions about the role of singing hymns in personal piety, seeking to find the spiritual and healthy guidelines for modern church music and praise as it faces current generation issues. 본 논문은 17세기 청교도들의 영성과 경건생활 안에 시편 찬송과 기도시의 역할을 고찰함으로 시대적 문화적 문제들에 직면한 교회 음악과 찬양이 나 가가야 할 올바른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찬송가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기 바로 전 시대의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중 반의 영국 청교도들 중심으로 교회음악 쇠퇴의 양상과 함께 발견되는 그들 의 음악 철학과 시편 찬송에 대한 굳은 신념을 추적하고, 개인의 묵상으로 사용되었던 기도 시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찬송의 본질적 역할 인 내면의 경건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청교도가 유일하게 회중에게 부르게 허락했던 운율적 시편가들과 시편가집에 부속으로 첨부되어 있던 찬송가의 역할을 조사하고, 찬송에 대한 그들의 우려과 독특한 이해를 설명하여 기도 시의 발전의 불가피함을 함께 연구하였다. 또한 이렇게 영성의 교리적 정서 가깃든시들의행보를엿본다. 그러므로본논문은시편찬송의힘을재조 명하고 그들의 신학적 갈등으로 인해 도출된 음악과 개인의 마음의 경건에 대하여 가치 있는 결론을 도출하고, 청교도 영성을 통해 본 교회음악의 본질 이 시대적 문제들에 직면한 현대의 교회 음악과 그리스도인들의 찬송 문화 가 앞으로 나가가야 할 건강하고 영적인 지표로서의 역할이 가능함을 모색 하였다.

      • KCI등재

        성도(聖徒)의 여섯가지 노래:88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음악의 역할 고찰

        서나영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6 No.-

        This study warns the crisis of the music and its thoughts that Christians face today and discusses the aesthetics and the role of music which should be taken seriously. The writer of this article sought to reveal the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ology by tracking the origins of human musical senses and creative abilities to study the biblical nature of musical beauty based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s. Hence, this study applies God and his work to the musical beauty and the thoughts of the believers toward music. It then presents the roles of music which can help the reformed church and theology in Korea as well as the religious life of the believers by establishing the authenticity of theological study of music. Specific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beauty and essential qualities of music can be used as a tool that helps the unity of the believers, peda- gogical role with the biblical texts, the personal prayer life for spirituality, the cultural missionary work of the church, the doctrinal study of theolo- gians and pastors, and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sanctifying grace in their life. For this,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provides a biblical frame for the foundation of music aesthetics to summarize the principles of universal music aesthetics, and the following chapters illuminate the six roles of music in Christianity as the “songs of the believer.” 본고는 오늘날 마주한 기독교인의 음악 세상의 위기를 알리고, 기독교 신앙 인이 숙고해야 할 음악의 미학과 그 역할을 논한다. 논자는 인간의 음악적 감각과 창조적 능력의 기원을 추적하여 음악적 아름다움의 성경적 본질은 무엇인지 개혁주의 신앙관으로 연구함으로 음악과 신학의 필연적 관계를 드 러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하나님과 그의 하신 일을 성도의 음악 세계에 적 용하고, 한국의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에, 그리고 성도의 신앙생활에, 음악이 도울 수 있는 역할들을 소개하고 그 정당성을 모색한다. 구체적으로 음악의 아름다움과 본질적 특성들은 성도의 연합과 말씀교육, 영성을 위한 개인 기 도생활과, 교회의 문화선교,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의 교리적 연구와 삶 속의 은혜를 체험하고 성화되어 가는 과정에 도구로 쓰임 받을 수 있음을 주장한 다. 이를위해본고의첫장에음악미학을기초할성경적프레임을제공하 여 보편적인 기독교 음악미학 원리를 정리하고, 다음 장에 기독교 안의 음악 의 여섯 가지 역할들을 “성도의 노래”로 비유하여 조명한다.

      • KCI등재

        음악과 복음전도: K컬쳐 시대 기독교 음악의 현실과 전망

        서나영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3 성경과신학 Vol.108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음악과 복음전도와의 관계를 살피고, K컬쳐라는 새로운 환경과 맥락을 함께 하는 현 시대 기독교음악의 현실을 분석하여, 복음주의에 맞는 음악의 전도사역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전세계의 공용어인 음악이라는 예술장르의 미학적 특성과, 모든 사람은 복음이 필요하다는 명제의 교집합을 성경과 신학 안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성경에 나타난 음악과 시의 역할을 통해 복음을 전하는 훌륭한 도구이자 또 다른 언어가 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성령의 역사와 찬양의 긴밀한 관계의 가능성을 음악을 통한 “인간의 감정”과 “연합”의 관점으로 풀어간다. 또한 음악의 기독교 “반정립”에 의거한 특별은총과 일반은총의 개념을 통해 “기독교음악”의 범위와 본질적 의미를 찾아간다. 두 번째 장에서는 한국대중문화음악의 현상과 겹쳐지고 있는 현대기독교음악의 모습을 분석해, 기독교음악의 “마이크로트렌드”가 어떤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복음전도를 위한 음악 사역의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어. (1) 음악을 통한 복음전도는 문화를 무시할 수 없으며, (2) 객관적 복음 진리와 주관적 경험과 감정, 양쪽 모두의 자리가 필요하고, (3) 직접적 복음전도와 간접적 복음전도, 양쪽 모두의 자리가 있으며, (4) 음악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psalms and prayer in the spirituality of the 17th century Puritans to offer the right foundation for the direction of today’s church music and praise, as they face cultural problematic tasks. Therefore, this study traces the Puritan’s firm belief in the music philosophy and the singing of psalms which are found in the mid-sixteenth to mid-seventeen century England, which was the period of decline in church music, and right before the birth of hymn story.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rayer which poems used as personal meditations and illuminate the inner piety—the essential role of hymns. By studying the role of the psalms and several hymns attached to the Psalter’s book, as well as the meaning of metrical Psalms, the only song that the Puritans allowed their congregation to sing. The study will explore the explanation for their concerns and unique understanding of the Psalm singing, as well as the inevit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poetry. Seeking to play a role as a worthy and spiritual guidance to move forward, this study re-examines the power of the Psalm singing and discusses its theological conflict with music by drawing valuable conclusions about the role of singing hymns in personal piety, seeking to find the spiritual and healthy guidelines for modern church music and praise as it faces current generation issu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vangelism, analyze the current reality of Christian music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K-culture, and explore the direction for evangelistic music in line with the gospel mission. The aim was to discover the intersection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genre of music, which is a universal language worldwide, with the proposition that all people need the gospel within the context of the Bible and theology. In the first chapter, it is mentioned that music can be an excellent tool for evangelism and another language through its role in the Bible as well as in poetry, and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the Holy Spirit and praise through the perspective of “human emotions” and “unity” through music. Furthermore, based on the Christian “antiestablishment” of music, it seeks to find the scope and essential meaning of “Christian music” through the concept of particular and general grace. In the second chapter, it analyzes the appearance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Korea, which overlaps with the phenomenon of popular culture music, and examines how the “micro-trends” of Christian music are unfolding in what ways. Based on this, in proposing the direction of music ministry for evangelism, it suggests that (1) evangelism through music cannot ignore culture, (2) both objective gospel truth and subjective experience and emotion are needed, (3) there is a place for both direct and indirect evangelism through music, and (4) understanding the uniqueness of music is necessary.

      • KCI등재

        아름다움과 안식: 예술의 역할에 대한 신학적 고찰

        서나영 ( Na Young Seo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2

        This study argues that the need of beauty for human is ultimately fulfilled by God in the form of peace here on earth and ultimately heaven. It specifically suggests that memorializing God’s creation of the Sabbath builds the foundation of aesthetic theory. Sabbath was given to humanity before the fall of humanity into sin (Gen 1) and as a commandment (Exod 20, Deut 5) that preceded the entry into the Promised Land; it is a sign of the delights awaiting believers in the new heavens and earth. In the keeping of the Sabbath, therefore, believers celebrate the fact that God's works of creation and redemption are finished. As an aspect of Sabbath, beauty has the analogous meaning of foreshowing the glory of God as a break from the tyranny of this world. The experience of both the Sabbath and beauty are future-directed and lead one beyond his or herself to the transcendent and the eschatological. Christians contemplate the complex beauty of his works and are refreshed in communion with him, and they delight in the splendor of God’s beauty as they anticipate eternity spent with him.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provide a right understanding of beauty and the arts through an observance of the Sabbath. For this reason, a theology of Sabbath is observed in the first part. For the following part, a biblical and theological examination of beauty and art, its essence, and the roles in this world as a facet of the Sabbath is given.

      • KCI등재

        스타니슬랍스키 연기론의 비판적 고찰

        서나영 ( Suh Na-young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7 연극교육연구 Vol.30 No.-

        Stanislavsky’s acting theory, the ‘System’, has made a great impact on actors and the actor training process since the modern age. Although the Stanislavsky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e 1920s, a full-fledged discussion has only begun after the 1990s. The System can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 ‘acting as embodiment’, ‘psychological acting’, and ‘systematic acting with scientific attitude’. This thesis focuses on these three part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t first, Stanislavsky’s idea of embodiment assumes that humans have a unique original nature. More to the point, experiencing helps the actor to fulfil his basic goal, which is the creation of the life of the human spirit in a role and the communication of that life onstage in artistic form. The belief in the life of the human spirit is caused by modern subjectivity. This concept of a natural, intrinsic, universal modern subject never embraces the postmodern subject which is fluid, fragmental and ideological. Secondly, the System is based on dualism, the idea that the mind controls the body. This originated from a nature-culture dichotomy where culture (male, mind, text) controls, shapes, and tames nature (female, emotions, the body). Futhermore, psychology exists outside of ideology, and, therefore, can be applied to any theatrical genre. Although Stanislavsky tried to overcome the mind-body dichotomy through training of his system, he always thought the mind as divided from the body. Lastly, the systematic acting with scientific attitude is also a result of the modernistic concept. With its scientific and systematic language, system never coopts something ‘unstable’, ‘unqualified’, or ‘unborderable.’ More to the point, an organic approach can lead actors to erase themselves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ruth’ was Stanislavsky’s aim for art, and the approach he developed for the act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modern concepts of subjectivity and science. Stanislavsky often discussed theatre and acting as projects that would seek out, discover and celebrate the so-called universal human attributes and values. The language of acting can never be universal. Therefore, we have to continuously challenge the searching for the ‘language of acting which best allows one to actualize a particular paradigm of performance in a particular context for a particular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