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 고분벽화(古墳壁畵) 연화문(蓮花紋)에 나타난 조형적(造形的) 미감(美感)연구

        변종필,박현영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연화문의 시기별 변화과정에서 보이는 독창적 조형성이 고구려인의 삶과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시작으로,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화문에서 찾을 수 있는 조형적 미감을 밝히는 것에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 연화문의 사상적 배경은 어떤 특정한 사상하나로 전체를 파악할 수 없을 만큼 재래신앙, 불교적, 도교적, 선불혼합적인 것 복합적인 내세관이 혼유하고 있다. 이러한 내세관은 고구려인들의 삶과 철학이었고, 그 시작은 삶과 죽음이라는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물음으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아울러 연화문은 고구려인들의 내세관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상징적 기호이자 그들만의 정신문화적 표현이다. 고구려 연화문의 계열별?표현양식에 따른 조형적 특징은 크게 집안계열과 평양계열로 나누어 접근 할 수 있는데 두 계열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연화문 표현이 사실적이냐, 도안적이냐로 볼 수 있다. 집안계열이 자연의 형태를 닮으려는 사실적 미감에 기초했다면, 평양계열은 장식적 부분에 치중한 도안적 미감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고구려 연화문의 조형적 미감은 시기와 분포계열에 따라 다향한 표현양식으로 나타나는데, 그 표현양식의 특징들 속에서는 고구려만의 독창적 조형미감들이 담겨져 있다. 아름다운 선과 형, 독창성, 역동성, 사실성, 여기에 고졸미, 토속미 등에 이르는 고구려만의 다양한 미적 표현은 고졸한 자연미, 원숙한 조화미, 함축적 단순미라는 세가지 미감으로 접근 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화문은 고구려인의 자연에 대한 사실적 미의식에 접근하는 방법이자 자신들의 상징적 내세관을 담아 강조한 문양이며, 마음으로부터 형성화된 문양이다. 오늘날 고구려 고분벽화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퇴색되고, 의미없이 사라질 수 있는 위기의 현실 속에 있지만, 1500여 년 동안 지켜온 고구려인의 심미의식이 벽화라는 우리문화예술의 寶庫를 통해 끊임없은 민족성으로 이어져 왔음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자연의 영속성으로부터 받은 영감을 자신들의 삶과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 정신적 표상이자 조형적 기호로 발전시켜온 고구려인들의 연화문은 하나의 창조적 모티브로써 현재까지 그 미적 아름다움이 향유되고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This paper analyses that unique figurativeness found the processing changes of the times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is reflect in living and spirit and that the figurative sense of beauty found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Phenamenal backgound of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is mixed metaphor with compositive view of the world to come which is traditional religion, Buddhism, Taoism, and mixed goodness and Buddhism. View of the world to come which is living and philosopy of the Goguryeo is caused with living and death, essential questions of human. The patterns of lotus flowers are the view of the world to come of the Goguryeo`s the symbolical sign and the expression of spiritual culture, themselves.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Goguryeo`s patterns of lotus flowers distinguish from Jipan series and Pyungyang series whose difference are realism and design. Jipan series is a realistic esthetic sense to be the form of nature and Pyungyang series is close to designable esthetic sense focused on decoratation. According to period and distributed series,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are appeared by various forms of expression included the Goguryeo`s unique of a figurativly esthetic sense. A variety of Goguryeo`s aesthetic expession is natural beauty, maturity of symmetry, and connotative beauty of simple.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are approaching method to realize aesthetic consciousness, incorporating their symbolical the view of the world to come, and a pattern figured from mind. I can feel Goguryeo`s consciousness of aesthetic appreciation maintained during 1500 years decended eternally ethnicity through thesauruses of cultural art, although Goguryeo`s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have faded and are in adversity to be vanished. I also realize that patterns of lotus flowers at Goguryeo`s have been participated in aesthetic beauty as a creative motiv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a spirit emblem and a formative symbol which their living and life was drawn in inspiration given from perpetuity of nature.

      • KCI등재

        태아 성감별고지 금지의 위헌성 검토

        변종필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8 比較法硏究 Vol.9 No.1

        This paper brings focus into a question, whether the rule is unconstitutional or not, that prohibits doctors from telling others unborn child's sex before birth. According to the law(art. 19-2Ⅱ by old one and art. 20Ⅱ by existing one) of medical treatment, doctors ought not to tell pregnant woman and her family etc. what sex unborn child is. In 2008.7.31. Korean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e rule not suitable to the constitutional law. Namely the court said that it is actually unconstitutional, but must be preserved until the legislature makes a new law instead of it. I agree with the court's attitude basically, in that the rule restricts the fundamental rights of pregnant woman and her family and doctors more than allowed by constitutional law. But I do not agree with the pronouncement of 'unsuitable to the constitutional law'. I think that the court should have pronounced only 'unconstitutional'. Because the rule is not justifiable in the respect of legislative purpose. It is very questionable whether the action to tell pregnant woman and her family unborn child's sex can be the one to be responded to by criminal law. I think such a response is not valid. According to the existing criminal law punishment is also imposed on killing unborn child. It is very undesirable for a nation to use criminal law or punishment as major instrument for balancing sex ratio. It is the matter of social policies, not the one of criminal law.

      • KCI등재
      • KCI등재

        반인도적· 국가적 범죄와 공소시효

        변종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6 비교형사법연구 Vol.8 No.1(2)

        요컨대, 진정소급효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공소시효가 이미 완성되어 소추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뒤 뒤늦게 소추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여 이를 소급적용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형벌을 사후적으로 가능케 하는 새로운 범죄구성요건을 제정하는 것과 실질상 마찬가지인바, 이는 국가형벌권의 객관적 한계를 규정한 형벌불소급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국가형벌권은 시간을 초월한 추상적인 국가권력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적 측면에서 그 시발점과 종착점이 정해져 있다. 소급효금지원칙이 국가형벌권이 개시되는 한계를 규정하고 있다면, 공소시효는 형벌권이 마감되는 종국적 한계를 정해준다고 할 수 있다. 부진정소급효는 - 일정한 신뢰이익의 침해를 수반함에도 불구하고 - 어쨌든 이 한계범위 내에서 다시금 그 한계를 연장하는 것이지만, 이와는 달리 진정소급효는 공소시효의 완성으로 이미 형벌권행사의 시간적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서 기존 법률에 의해 확보된 시민의 신뢰보호이익 및 이로 인한 법적 안정성을 또 다시 새로운 법률로 부정하는 형태인바, 이는 결국 법을 법으로써 부정함으로 법치국가의 자기정체성을 부인하는 꼴이다. 나치범죄의 사후적 처리를 위해 우리보다 훨씬 더 심도 깊은 논의와 노력을 기울였던 독일 역시 1964년 '공소시효산정법'에서 일정기간 동안 공소시효를 정지하는 규정을 두면서 이미 시효가 완성된 행위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는 규정을 함께 두었음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박물관․미술관 창의적 체험활동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박물관․미술관 창의적체험활동사업단 운영사업’을 중심으로

        변종필,강인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8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in Korea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early 2000s as the number of museum and art museum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9, various courses regarding experience-oriente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ve been newly established in school curriculums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 of creativeness and personality, a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reation programs have been demanded to acquire sources for education operations of hands-on field experience. The museum/art museum education can be a robust foundation in establishing its identity and above all in foste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holistic individuals. In that regard, it is important to analyze recognitions about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the role of museum/art museum as well as to identify related vitaliza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