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라코사마이드와 관련된 발프로산 독성 1례

        백지혜(Ji Hye Baek),김건하(Gun Ha Kim),변정혜(Jung Hye Byeon),은소희(So Hee Eun),은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2

        발프로산은 소아에서 널리 쓰이는 항경련제로 다양한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이 보고되어 왔다. 반면, 새로운 항경련제인 라코사마이드는 약물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열성 질환 이후 나타난 라코사마이드와 관련된 발프로산 독성(고암모니아혈증)에 대해 보고한 두번째 증례이다. 라코사마이드를 증량한지 18일후 과도한 기면이 발생했으며 당시 혈중 발프로산 농도(>150 μg/mL)가 상당히 높았고 이후 3일뒤 혈중 암모니아 수치(232 N­μg/dL )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라코사마이드와 발프로산을 중단하고 엘카르니틴을 추가한 이후 4일만에 혈중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화되고 환자는 의식이 명료해졌다. 발프로산의 독성이 새로운 항경련제의 추가나 발열과 연관되어 안정적인 치료 중에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약물 농도 및 부작용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Valproic acid (VPA) is a widely used anticonvulsant drug having various adverse effect and drug interaction. In contrast, newer antiepileptic drug, lacosamide has been known to have minimal drug interaction. We report the second case of lacosamide-associated valproic acid toxicity presenting as hyperammonemia following febrile illness. Prior to hospital admission, this 13-year-old girl had been treated with multiple antiepileptic drugs including valproic acid for 11 years with no any adverse effect. Lacosamide had recently been added due to poorly controlled seizures. The patient presented with excessive drowsiness 18 days following an increase in lacosamide dosage up to 7.5 mg/kg/day. Laboratory tests revealed elevated levels of VPA(> 150 ug/ml) and hyperammonemia (232 N-μg/dL). Eight days prior to admission, the patient suffered a 1-day fever as a result of influenza A infection and did not take an antiviral agent. Lacosamide and valproic acid treatments were discontinued, while treatment with L-carnitine was added. After 4-days, ammonia levels decreased to 144 N-μg/dL, and the patient became alert. In conclusion, valproic acid toxicity may occur at any time during the stable course of medical treatment, though patients may be more susceptible following the addition of new anti-epileptic drugs or febrile illness.

      • KCI등재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음악활동 경험의 의미

        백지혜(Baek, Jee-He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서 심미적 음악활동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유아음악교육 교과목 수강생 30명 중 음악교수 불안 도구를 기초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 6명과 음악교수불안이 높은 예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 반성적 저널, 음악자서전,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태도는 음악의 역동성의 경험정도, 창의적 표현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음악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은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관계 없이 모든 예비교사들이 음악을 아름답게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 불안에 따른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는 유아로 대입하여 즐겁게 경험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또한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경험한 음악의 의미를 교사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응용하려는 교수법적 태도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심미적 음악활동은 예비교사의 음악과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미적 음악활동의 확산과 직전교육에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meaning of aesthetic music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usic teaching anxiety.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were sampled by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qualitative component of the study included interviews,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showed similar attitudes for beautiful musical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experiences of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expressions. (2)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music teaching. Consequently,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ample aesthetic music progra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NACA0015 익형의 압력항력 감소를 위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피드백 유동 제어

        백지혜(Ji-Hye Baek),박수형(Soo-Hyung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9 No.9

        본 연구에서는 실속 받음각 근처에 발생하는 익형 위의 유동박리를 억제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기반의 피드백 유동제어를 NACA0015 익형에 수치적으로 적용하였다. 익형 위 박리영역 크기의 축소화라는 제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익형의 박리 지점 근처에 인위적 외란(Blowing & Suction)제어 신호를 적용하였다. 유동의 운동을 나타내는 시스템 모델링 단계에서 압력데이터에 적합직교분해(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를 적용하여 유동제어에 필요한 운동 모드를 추출하고 유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해된 모드를 기반으로 NARX(Nonlinear AutoRegressive Exogenous) 구조의 인공 신경망을 학습하여 유동의 운동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피드백 제어루프에 작동시켰다. 예측된 제어신호를 CFD 해석에 적용하였으며 제어 유/무에 따른 공력특성을 분석하고 익형 주변의 고유 공간모드의 변화를 비교하여 제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피드백 제어는 약 29%의 압력항력 감소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익형 뒷전의 큰 압력회복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Feedback flow control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for NACA0015 Airfoil to suppress flow separation on an airfoil. In order to achieve goal of flow control which is aimed to reduce the size of separation on the airfoil, Blowing&Suction actuator was implemented near the separation point. In the system modeling step, th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pressure field. Then, some POD modes that are necessary for flow control are extracted to analyze the unsteady characteristics. NARX neural network based on decomposed modes are trained to represent the flow dynamics and finally operated in the feedback control loop. Predicted control signal was numerically applied on CFD simulation so that control effect was analyzed throug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 of aerodynamic force and spatial mod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control. The feedback control showed effectiveness in pressure drag reduction up to 29%. Numerical results confirm that the effect is due to dramatic pressure recovery around the trailing edge of the airfoil.

      • KCI등재

        음악활동에서 발현되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분석

        백지혜(Baek Jee He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활동에서 발현되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여 좋은 음악수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두 명의 유아교사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월 사이 11회의 음악활동과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두명의 교사가 음악활동 실제에서 발현한 음악교수내용지식은 1)교과내용 지식으로는 확고한 음악교육에 대한 신념, 음악을 위한 음악활동과 음악을 통한 음악활동의 균형, 적합한 음악교육 청사진 수립의 어려움에 대한 지식을 나타냈으며, 2)교육학적 지식으로 음악적인 교수행동, 효율적인 교수매체, 다양한 반복 제공의 지식이 보였 으며, 3)상황적 지식으로 발달에 적합한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외부적 환경에 대한 바램과 다양한 인적·물리적 환경의 활용의 지식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음악교수 내용지식의 중요성과 역할을 논의하며 음악이라는 영역특수적인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존재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eaching music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Eleven musical activities and interviews of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PCK components such as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pedagogical knowledge’ and ‘the contextual knowledge’. First,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was characterized by ‘well-established teacher’s belief about music education’, ‘musical activities for music itself’, and ‘annual instruction design based o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usical activities.’ Secondly, ‘The pedagogical knowledge’ was categorized as ‘musical teaching behaviors’, ‘e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various repetition activities’. Finally, ‘The contextual knowledge’ was characterized by ‘constant teacher’s reflection on musical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application of human-environment resources’. To round it all up, the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PCK) plays a crucial role in teaching music in kindergarten and in doing so, domain-specific MPCK should be embedded in mus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음악적 사고 이해를 위한 발명악보에 관한 고찰

        백지혜(Baek Jee-Hea),조형숙(Cho Hyung-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발명악보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그 의의를 밝히고, 발명악보에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과정을 고찰하였다. 발명악보를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과정의 특징은, 유아는 음악을 기록할 수 있는 기보자(notator)이며, 음악을 기록하는데 있어 가사와 연주행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직접 고안한 상징기호를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정교하게 음악적 정보를 기록한다. 이러한 기보적 전략은 음악적 경험과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아는 자신의 발명악보를 보고 다시 연주하는 해독의 능력 또한 갖고 있다. 발명악보의 의의로서 발명악보는 자발적으로 음악개념을 발견하도록 하고 다양한 음악적 역할을 수행하여 음악적 문해양식의 발달을 준비하도록 돕는 동시에 음악적 사고를 격려한다. 또한 유아에게 음악적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자에게는 유아의 음악적 사고를 관찰하는 도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때, 유아교육 현장에서 발명악보의 다각적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 The present review on invented notation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nvented notation and to explore the invented notation's pedagog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children's the process of musical thinking invented notation reflects on was also reviewed. In doing so,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of musical thinking children posses was found as follows: (1) a child can be considered to be as a notator who is able to recode music; (2) during the musical thinking, a child is more likely to focus on lyric and performance gesture; (3) a child can creatively make use of self-invented symbol to delicately record musical information; (4) the exposure to musical experience can develop the notational strategy; and (5) a child can decode his or her invented notation and then play it. As fo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vented notation can help children naturally discover their musical concept and develop their musical literacy. Performing musical roles, futhermore, children can facilitate their musical thinking. That is, the invented notation can provide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musical thinking and it can be an window for researcher and teacher to observe the process of musical thinking the children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