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사회복지 지방분권 1년의 평가와 대안

        백종만(Jong-Man Pai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7 비판사회정책 Vol.- No.23

        이 논문은 사회복지 지방분권정책을 평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재정분권정책의 내용을 분석하고, 재정분권정책이 초래한 문제와 그 원인을 분석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국고 보조사업의 지방이양과 분권교부세의 도입을 축으로 하는 복지재정분권정책은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의 부족과 지방간 복지격차의 확대를 초래하여 지역간 형평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분권교부세 제도는 복지재정에 대한 중앙정부의 책임을 지방정부에 전가하고, 폭증하는 복지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복지수준의 지역격차를 확대할 수밖에 없는 내재적인 모순을 지닌 정책으로 분석되었다. 복지재정분권을 통해서 지역복지 발전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서비스 공급은 지방정부가 결정하되 재정은 중앙과 지방이 분담하는 분권정책이 추진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 포괄보조금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가능한 정책믹스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n personal social services in Korea, discuss its’ negative social effects, and suggest some alternative solutions. In 2004, many of national personal social service programs subsidizing by national categorical grants have been transferred to provincial government, and a new tax revenue allocated to local government-so called ‘general grants for decentralization’-has been invented to finance those transferred programs. But the new tax revenue program has some intrinsic defects in fully subsidizing those transferred programs. So many of provincial officers and researchers criticize that this new tax revenue program will not and can not meet basic needs of people, living in poor provinces. Finally, I suggest ‘block grants’ as an alternative solution. Block grants has some merits in solving our current problems such as, budget deficiency, shortage in infra structure, etc.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백종만 ( Jong Man Paik ),양난주 ( Nan Joo Yang ),최균 ( Gyun Choi ),장영신 ( Young Sin Ja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2

        본 연구는 1998년부터 시행되어 온 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모형에 기반하여 작동해 온 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주체들이 평가에 대해 갖는 이해관계 분석 그리고 평가제도 내용면에서는 목적, 방법 및 절차(평가주체, 평가대상, 평가도구, 평가기간), 그리고 결과와 활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틀로 지난 15년간 3년마다 이루어진 다섯 차례의 평가제도에 대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노인, 장애인, 아동 분야의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의 책임자를 다섯 그룹으로 구성하여 초점집단 면접을 수행하였다. 내용분석과 초점집단면접자료를 분석하여 현재 사회복지시설평가제도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변화하였음을 밝히고 시설운영 중심 평가에서 서비스 질을 중심에 둔 평가가 수행 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상설평가전담인력과 기구 설립의 필요성, 시설유형별 평가방식과 평가지표의 분화, 평가수행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등을 개선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context of rapidly changing social service provision in Korea. The evalu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introduced in 1998. All the organizations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have been regularly assessed by law since then. This 15 year-old evaluation system has been criticised for its ineffectiveness. This study analyses the system based on the assessment framework consisting of demands by stake holders, purposes, methods and procedures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results and their use. Content analyse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system covers broad indice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s. Six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a new evaluation system prioritiz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 KCI등재

        ZnO-Zn<sub>2</sub>BiVO<sub>6</sub>-Mn<sub>3</sub>O<sub>4</sub> 바리스터의 미세구조와 전기적 특성

        홍연우,하만진,종후,조정호,정영훈,윤지선,Hong, Youn-Woo,Ha, Man-Jin,Paik, Jong-Hoo,Cho, Jeong-Ho,Jeong, Young-Hun,Yun, Ji-S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1 No.5

        This study introduces a new investigation report on the micro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y changes of $ZnO-Zn_2BiVO_6-Mn_3O_4$ (ZZMn), where 0.33 mol% of $Mn_3O_4$ and 0.5 mol% of $Zn_2BiVO_6$ were added to ZnO (99.17 mol%) as liquid phase sintering aids. $Zn_2BiVO_6$ contributes to the decrease of sintering temperatures by up to $800^{\circ}C$, and segregates its particles at the grain boundary, while $Mn_3O_4$ enhances ${\alpha}$, the nonlinear coefficient, of varistor properties up to ${\alpha}=62$. In comparison,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increased from $800^{\circ}C$ to $1,000^{\circ}C$, the resistivity of ZnO grains decreases from $0.34{\Omega}cm$ to $0.16{\Omega}cm$, and the varistor property degrades. Oxygen vacancy ($V_o^{\bullet}$) (P1, 0.33~0.36 eV) is formed as a dominant defect. Two different kinds of grain boundary activation energies of P2 (0.51~0.70 eV) and P3 (0.70~0.93 eV) are 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sintering temperatures, which are tentatively attributed to be $ZnO/Zn_2BiVO_6$-rich interface and ZnO/ZnO interface, respec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s a progressive method of manufacturing ZnO chip varistors by way of sintering ZZMn-based varistor under $900^{\circ}C$. However, to procure a higher reliability, an in-depth study on the multi-component varistors with double-layer grain boundaries should be execu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 탐구 수행일지에 나타난 초등 과학영재의 지식생성과정 분석

        양일호 ( Il Ho Yang ),임성만 ( Sung Man Lim ),명종 ( Myoung Jong Paik ),최현동 ( Hyun Dong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이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작성한 탐구수행일지에서 나타나는 지식생성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한 결과, 첫째, 영재학생들은 다양한 지식생성과정을 보여주었으나, 귀납적 과정과 귀추적 과정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또한 매우 단순한 사고과정만을 보여주었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지식 생성 과정은 제한된 범위의 관찰과 경험 상황을 바탕으로 한 단순 반복적인 도식적 문답 과정이 많으며, 단순 반복적인 도식성은 간단한 변인 선택 및 고안, 제한된 범위의 관찰, 주관적 사고로 인한 편견 개입, 탐색이나 결점 찾기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더불어 추론의 비약이 자주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gifted students` knowledge-generation processes by analyzing students` inquiry journal. As a result, first, science-gifted students showed various knowledge-generation processes, but they were limited to inductive thinking and abductive thinking, and their thinking processes were very simple. Second, most of the knowledge-generation processes of science gifted were simple, repetitive and diagrammatic processes because of observation and empirical situation of a limited scope. And a simple and repetitive diagram was generated by a simple variable selection and design, observation in limited scope, unbiased intervention by subjective thinking, and absence of exploration or finding errors. And they showed often a logical leap of reasoning.

      • KCI등재

        비영리민간부문 활용의 근거 :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focusing on personal social services

        백종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2 사회복지정책 Vol.15 No.-

        본 연구는 비영리 민간을 사회복지서비스의 주된 공급자로 활용하고 있는 우리 나라 사회복지서비스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책을 합리적으로 수립하고 집행·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여 정책 논쟁의 초점이 불명확하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 나라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특성과 정책 추진 방향이 비영리 민간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부가 비영리민간부문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로 활용하는 이론적인 근거를 샐러먼(Salamon)의 파트너십 이론을 통하여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 파트너십 이론은 기존의 복지국가이론, 시장실패이론, 정부실패이론, 계약실패이론 등이 비영리민간부문과 정부부문간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는 협력현상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취약성을 극복하고 있으며, 비영리민간 부문을 활용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정책 수립과 집행·평가에 유용한 정책적인 함의를 제공해 주는 이론이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파트너십 이론의 연역적 추론을 통하여 우리 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에서 비영리민간부문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정책과 비영민간의 사회복지사업 활동에 관한 규제정책 수립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Korea, non-profit sector has played the primary role in providing personal social services. Also government has maintained the policy which supports(and/or regulates) the activities of non-profit sector. However, there were little fundamental discussions and studies about theoretical bases of utilzing non-profit sector in providing personal social services. Therefore, when some policy agenda are under the debate, the focuses of policy issues are easily blurred. This study examines that non-profit sector has maintained the primary role in providing personal social services in Korean since 1940's, and also examines that government has supported and regulated non-profit sector. Although there are many theories - such as welfare state theory, government failure theory, market failure theory and contract failure theory - which explain why non-profit sector or(and) government sector has played primary role in providing social provisions, those theories don't reasonably explain such governmental collaborations with non-profit sector which occurs frequently in many welfare states. In this study, 'partnership theory' between public sector and non-profit sector, developed by Lester Salamon, is introduced and argued that this theory is successful in explaining why and how both sectors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to determine regulative and supportive policies concerning personal social servic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