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백목원(Baik Mok-Won),권순희(Kwon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체 개발한 평가 도구로 북한 이탈 고등학생 82명과 일반 고등학생 82명에게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실시 기간은 2015년 5월 20일부터 2015년 5월 30일까지이다. 국어 평가 도구는 신뢰도(Cronbach s α) .70 이상, 변별도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국어 능력에 있어 이질 집단으로 드러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점수에 있어서는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12.8점이 낮았다. 문항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함께 평가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wo groups of participants consisting of 82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and 8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respectivel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0/May/2015 to 30/May/2015.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 presented a reliability (Cronbach’s Alpha) of over 0.70, and an item discrimination index of over 0.40, indicating that the tool was appropriate in terms of the two aspects. Conducting an independent-samples t-test on the assessment scores of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they were revealed to be nonequivalent in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average score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was 12.8 point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rom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thes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variations in item difficulty,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shown. The areas in which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were Korean grammar and language awareness, literatur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and the ability to identify test question types. Convers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basic native language competence and factual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measured through the analysis of assessment items, the following needs to be implemented: firs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at catalogue the differences in vocabulary, grammar, and literacy works used in textboo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econd, the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third, the development of manuals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 testing systems and test items, along with subsequent education on practices for test, considering that assessments in South Korea are conducted throughout the stages of one’s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어 수업 방안 연구

        백목원 ( Baik Mok-won ),권순희 ( Kwon Soo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4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교육 도구의 활용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논의가 모아지고 있다.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국어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프로그램을 탐색해 보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국어교육에서 ‘AI 소양 교육’과 ‘AI 활용 교육’이 모두 논의 되어야 하나 본고에서는 ‘AI 활용 교육’을 우선 논의한다. 첫째, 도서관 검색 AI를 활용한 독서 교육 방안으로 <도서관 정보나루> 빅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와 트렌드를 분석하여 최근 시의적 요구가 높은 독서 주제를 찾고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포털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육 방안으로 <네이버 데이터 랩>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쓰기 키워드 및 예상 독자를 탐색과 함께 비판적 문식성을 키울 수 있는 활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 크리드(KREAD) >의 독해 지수를 이용하여 독서 부진 학생을 발견하고 해당 연령에 맞는 적절한 독서 능력을 키울 수 있다. AI 교육이 교육 현장에 들어오기 시작한 때에 맞추어 국어교육에서도 본격적인 AI 활용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s online classes have been extended for a long time, interest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I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trends and demands of the times, and to discus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 AI literacy education; education about AI > and < AI application education; education with AI > should be discussed. In this paper, < education with AI > is discussed. First, by analyzing the needs and trends of library users using ‘Library Information Naru’ big data, it is possible to find reading topics with learners demands and develop reading programs. Second, you can use ‘Naver Data Lab’ to search for writing keywords and prospective readers on the online platform. Third, by using ‘KREAD’, it is possible to find students with poor reading through reading comprehension index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ading ability for their 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specific plans for full-scale AI-us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at AI education began to enter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국내‧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백목원(Baik Mok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고는 국내 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하여 중학생의 상호 문화 인식 고취를 목적으로 한다. 그간 독서 교육을 통한 다문화 인식 개선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 었으나 그 제재로 다문화 관련 소설을 선정하는 경우가 많아 기존의 편견이 재생산될 여지가 있다. 이런 독서 제재를 벗어나 인류 문화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국내 외 전래 동화를 선택하여 그 이야기 속에 면면히 흐르는 인류 공통의 가치와 원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런 독서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문화를 성찰하고 기저 유사성의 원리에서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호 문화 인식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을 대상 으로 하여 국내 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활동안을 고안하였으며 실제 수업을 실시하여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다문화 인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인지/정의/행동’ 중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전래 동화를 활용한 독서 활동이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nter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ding activities with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reading education, but prejudices are being reproduced since multicultural related novels a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common values and prototypes of human beings in the story by choosing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that present the roots of human culture through these limited reading subjects. Through this reading activity, they can reflect on their own culture and cultivate intercultural awareness to accept other cultures from the principle of underlying similar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 intercultural education activity was planned through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 reading activities and actual classes were conducted to verify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multicultural awareness test showed significance found in behavioral areas among the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domain. It confirms that reading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

        고등학교 3학년 국어 수업에 나타난 특권화 양상 분석

        백목원(Baik, Mok-won),권순희(Kwon, Soon-hee) 국어교육학회 2017 국어교육연구 Vol.63 No.-

        This study conducted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Wertsch’s theory, which linked Bakhtin’s concept of voice to speech genres and privileging. After dividing classroom 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to categories of voice and privileging and examining them,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 had a voice of a student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a voice of a parent, and a voice of an ordinary person in addition to a voice of a teacher. Such various voices were not polyphonic as Bakhtin insists, rather they turned out to be monophonic voices that were privileged to a specific speech genre so that teacher could establish rules for students and add values to students’ utterance with an identity as someone that is supposed to educate students preparing for a college entrance exam. As for students, they were found to have a voice of a student preparing for a college entrance exam, a voice of a teacher and a voice of a parent. These voices reinforced their identity as a student prepping for college, and, when in a place where only a specific speech was privileged, the students tended to accept a speech genre that was widely used in the classroom.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eacher should change their view on teaching. Second, students need to increase their critical awareness of speaking appropriately to a certain situation, or conventional speech, and improve meta-cognition for listening and speaking when exposed to a new speech. Finally,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privileging, which could promote peopl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horizont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that puts a high value on individual identity.

      • KCI등재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양상

        백목원(Mok-won Baik),권순희(Soon-hee Kw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면담 자료에 나타난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사의 체화된 정체성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중등학교 교사 3명의 면담과 교실 수업 담화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Tan et al.(2013)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기준과 Gee(2000)의 본성적 정체성, 친화적 정체성, 제도적 정체성을 하위 분석틀로 삼았다. 분석 결과 P교사는 ‘제도적 정체성을 위해 본성적 정체성 변형형’, R교사는 ‘제도적 정체성 인식형’, H교사는 ‘친화적 정체성에서 문화 지체 현상 발현형’으로 드러났다. P교사와 R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일치형으로, H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불일치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교사에 의해 말해진 정체성과 교사의 ‘행위’로 드러난 정체성의 관계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analyzing the Narrative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and class discourses of three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criteria and the Nature-identity, Institution-identity, and Affinity-identity were used as sub-analytical frame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eacher P was a ‘transformation of nature-identity to institution-identity’, teacher R was ‘institution-identity recognition type’, and teacher H was ‘a type of cultural retardation from affinity-identity’. Teacher P and teacher R were analyzed as a type of coincidence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and teacher H was analyzed as a type of mismatch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The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told by the teacher and the identity revealed as the teacher’s ‘act’.

      • KCI등재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 분석: `구의역 사건`을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unkyoung ),백목원 ( Baik Mokwon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인터넷 포털 뉴스의 제목, 기사, 댓글, 대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 주체 간의 소통 양상 및 담화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의역 사건`을 키워드로 하는 네이버 뉴스(2016. 5.28.~6.6.)의 제목 667건, 최다 댓글 제목의 기사문 10편, 각 기사문의 댓글 중 상위 추천 댓글 300편, 그리고 최다 공감 댓글의 대댓글 189편을 추출하였다. 제목과 댓글은 IOEA(정보, 의견, 정서, 행동), 기사는 V2P(목소리, 권력-입장), 대댓글은 2P(권력-입장)의 분석틀로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제목은 정보에서 정서로, 기사는 [약자-비판]에서 [강자-비판] 및 [약자-옹호]로 변화하였다. 반면 댓글은 의견에서 행동으로 변하였고, 대댓글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강자-비판]으로 그 양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생산과 소비의 구조는 기존의 일방적인 하향식 관점이 아닌, 미디어 수용주체의 역할이 강화된 상향적 관점, 더 나아가 양방향적인 소통의 담화구조로 보아야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미디어 담화구조에서 수용자를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행동하는 `주체`임을 밝혔고, 둘째, 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비판적 관찰자를 기르던 기존의 국어교육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하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은 물론 미디어 교육에 있어서도 큰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 and discourse structures among media agents by analyzing the headlines, articles, comments, and replies regarding news on web portals. For this study, a Korean web portal, Naver(May 28~June 06 in 2016), was utilized to extract 667 headlines with the key phrase the `Guei Station Accident`. Then, the 10 articles that had the highest number of comments, the top 30 commen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each article above, and the 300 replies to the top 189 comments were analyzed. The headlines and the comments were analyzed with IOEA(Information, Opinion, Emotion, Action), and the articles and replies were analyzed with the analysis frameworks V2P(Voices and Power-Position) and 2P(Power -Posi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eadlines presented a tendency to shift from information to emotions, while the articles changed from criticism of the weak to criticism towards the strong and defense of the weak. The comments presented a tendency to shift from opinions to action, whereas criticism towards the strong was continuously shown in the replies from the beginning. This implies that the traditional top-down media structure, where a small number of producers hierarchically disseminate content to the masses, has turned into a discourse structure of bottom-up and, by extension, into a mutual communication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a receiv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light of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edia receiver is the main agent actively criticizing and generating action in the media discourse structure; secondly, this study tries to critically analyze the discourse structure of a web portal. Most of all, this is an important study that paves the way for changing the traditional media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whereby a critical observer was simply churned out, to `Acting Media Literacy(AML)` education in which media receivers can become principal agents.

      • KCI등재
      • KCI등재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김윤경,백목원,정경화,류선옥,황혜린,임영주,권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 연구이다. 10년 이상 경력의 중학교 국어 교사 2명, 고등학교 국어 교사 2명, 총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녹화하면서 참여관찰하였다. 이 수업을 전사, 분석하였다. Saldaña의 1차/2차 주기 코딩 방법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11을 활용하여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수업 대화를 그 목적에 따라 학습 대화와 생활 대화로 나누어 설계하였으며, 학습 대화는 전달-소통의 축으로, 생활 대화는 과업-관계의 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명의 교사 중 2명은 A형(전달-과업 중심), 2명은 B형(소통-과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C형(전달-관계 중심)과 D형(소통-관계 중심)은 나타나지 않았다. A형과 B형 모두 과업 중심의 생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수업 대화가 과업 중심적 대화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있으며 관계 중심적 대화가 현격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사를 매개로 한 학생과 세계와의 인격적 만남이므로, 관계 지향의 교사 대화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교사 대화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in-class conversation methods. A total of 8 classes of 4 Korean language teachers − 2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high school teachers − that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recorded and observed. Their classes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aldaña’s first and second cycle coding,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Nvivo11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conversations during class were divided into learning conversations and living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 learning-related conversations were then analyzed by the delivery–communication axis while the living conversations were analyzed by the task-relationship axis. As a result, 2 out of the 4 teachers were found to be Type A (delivery-task) and 2 were Type B (communication-task). No one belonged to Type C (delivery-relationship) and Type D (communication-relationship). Most of the high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A while the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B. Both Types A and B were found to have living conversations focusing on tasks, and such results prove that conversations during class tend to be task-focused, which conversely evidences a significant lack of relationship-focused conversations in Korea.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 medium. This study thereby argues that teachers should use more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in the classroom. In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action should go hand in hand to improve teachers’ class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