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자율과정 편성·운영 방안

        백경선(Baek Kyeong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2009 개정 고등학교 교 육과정에 신설된 학교자율과정을 통해 수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방송고의 학습방식, 학습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학교자율과정을 1) 일 반 고등학교 형태의 다양한 진로집중과정을 설치하는 방안, 2)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 에서 시사점을 추출하여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방안, 3) 특수한 분야에 우수한 재능을 가지고 있거나 그 분야에 대한 심화 학습을 필요로 하 는 학습자를 위해 교과중점과정으로 편성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방송고가 국가․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면서도 학습자의 다양한 교육과정적 요구 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1) 원격 수업의 다양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과 부설 고등학교 유형의 다양화, 2) 학교 밖 학습의 정착과 질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 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to meet various curricular needs in cyber high school through the school autonomous course newly added in the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of 2009. Taking the study method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of cyber high school into account, the study proposed ideas for the school autonomous course as follows: 1) creating diverse pathway-focused courses centered around academic high schools, 2) organizing the curriculum in a way that enables both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of Victoria, and 3) organizing subject-specialized courses for those who have great talent or require intensive study in certain areas. The study also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help cyber high school embrace the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meet the various curricular needs of learners: 1) Conten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types of annex high schools should be diversified for the diversification of remote lectures, and 2)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devices to establish out-of-school study and control its 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형식과 구조 및 내용의 변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교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개념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지역과 학교 규모 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2) 교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이 교육과정 자율화의 선결 조건이 되어야 한다. (3)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규제가 아닌 지원재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4)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실행 여건 조성을 병행해야 한다. (5)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출발점이 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가 성과를 높이고 우려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under the premise that both of curriculum form and structure in national level and contents have been changed, as well as the school based curriculum would be accelat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examined the no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in the docu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elementary teachers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egional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was suggested as followed; (1)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needs the discriminative approach regading region and school scale. (2) The improvement curriculum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prerequisites. (3) Both of the organization .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chool inspection data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should not be the regulation about organization . manageme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the role of support-materials. (5) The evalua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should become the start poi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In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ectation and worries about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t the same time. Therefore, continuos supplementation would be followed, boosting up the outcome and diminishing the worrie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고등학교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편성,운영 방안과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 제언

        한혜정 ( Hye Chong Han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이러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차기 교육과정 개정의 정책적 지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일반고 직업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에 기반하여 일반고 직업교육의 의미를 설정하고 그 유형을 직업소양교육, 직업기초교육, 직업전문교육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직업교육의 시작 시기, 운영 기간 및 단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국 일반고의 11%에 해당하는 144개교 교사들의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자문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일반고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을 제시한 후, 이러한 방안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정책제언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일반고(자율 고등학교 포함)와 특목고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직업소양교육 2단위 이상 편성ㆍ운영을 의무화 또는 권장하는 지침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고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 중 직업 과정과 관련된 기존의 지침을 ‘일반고에서 진로 집중 과정의 하나로서 직업에 관한 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직업 과정의 보통 교과 필수 이수 단위는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필수 이수 단위에 준한다. 이와 관련된 세부 지침은 시ㆍ도 교육청에서 정한다.’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 보통 교과 내 교양 교과에 직업과 관련된 윤리, 안전, 가치 교육을 다루는 과목(예: 직업윤리와 안전)을 신설하고 고등학교 보통 교과 편제표를 이에 준하여 개정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organize and implement the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for enhanc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o designate the strategic policies for the next curriculum reform. This study initially defines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divides it into the three types based on the analysis of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experts`` opinions. This study determines how each type of vocational education can be concretely undertaken based on a survey of the teachers at 144 general high schools, which is 11% of the total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s. This study then designates the three support strategies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form: 1) two units of general work education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should be compulsory for general high schools, and voluntary for special-purpose high schools; 2) the present standards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related to vocational course for general high schools should be revised; and 3) a new curriculum to teach high-school students about occupational ethics, values, health, and safety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초기 적응활동에서의 국어,수학 기초 학습에 대한 고찰

        박순경 ( Soon Kyung Park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환으로 금년부터 단위 학교 자율로 적용된 입학초기 적응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이 제공한 13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수업 시수와 교재 분량, 국어와 수학 기초 학습에 대한 처방 방식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지역 간의 차이와 국어과 수학의 학습 범위와 수준에서 차이를 발견하였다. 반면 1학년 담당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와 면담에서는 입학초기 적응활동에 대한 인식과 기대, 학습자간의 격차에 관한 의견에서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입학초기 적응활동에 대한 지나친 기대가 과부하를 초래해서는 안 되지만, 국어와 수학에 관한 기초 학습은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과의 교량 역할을 하는 점에서 입학 초에 다루어야 할 ‘최소필수 학습요소’의 범위와 수준을 누리과정과의 연계 하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도 입학초기 적응활동은 초등학교 생활에의 적응과 함께 기초 학습 기능 형성이라는 양대 축을 공고히 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지역간, 교과간, 학습자간의 차이를 줄이고 국가사회적 책무로서 공정한 출발점 형성을 위해서 최소한의 기준 설정 등 실효성 높게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o provide more autonomy for schools, the orientation program for primary school entrants was newly positioned in the area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ut most MPEAs(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provided learning materials for the entrants and their teachers. In relation to the new measu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13 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s` manuals afforded by 13 MPEAs repectively.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o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13 materials in volume and time-allotment. And those materials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scope and depth of prescriptions for basic skills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econd, in spite of the entrants` preschool experiences, there were considerable gaps in learning readiness among them. To alleviate these differences and gaps, it is important to make standards of entry behaviors in primary school subjects and to delineate the scope and level in each subject, being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uri program and primary curriculum. These tasks are required to stimulate the national accountability of offering proper learning opportunities prior to school entrance and optimal starting-point of primary education. Above all, the minimum essential skills i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are required for all students to start and lead his or her learning.

      • KCI등재후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조직학습 역량구축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 학교조직을 중심으로

        조대연(Cho DaeYeon),백경선(Baek Kyeong-S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조직학습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이론모형을 설정하고 단위학교의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11개교와 중학교 11개교의 교사 69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주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조직학습 역량구축에 대한 5가지 구성요인(공유된 비전과 협력, 리더십, 개인개발, 의사결정 참여, 피드백)을 개념화하고 각 구성요인 별 문항(총 28문항)들을 개발 한 후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2) 문항들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구성요인 25개 문항을 확인하였고 각 요인별 신뢰도 분석(.72-.94)을 통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3) 5요인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요인별 단일차원성과 상관분석을 통해 요인간 상호 적절한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모형적합도 지수들 역시 매우 양호한 수준을 보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단위학교의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를 측정하는 5요인 모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 및 실천적 측면에서 몇 가지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capac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 settings.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was deeply reviewed in order to build a theoretical model. 694 school teachers from 11 elementary and 11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participated.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sider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BR>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1) 5 latent variables (shared visions & collaboration, leadership, personal development, participating in decision making, feedback) and 28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2) both content and face validation were examined by a panel of experts, a field study, and a pilot test. 3) 5 factors were produced with 25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3 items were excluded). Also items in each factors showed appropriate Cronbach"s alpha values, which means internal consistency of items in each factor was established. 4)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nd all path-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fit indexes showed quiet good(CFI=.952, NFI=.932, IFI=.952, GFI=.902, RMSEA=.056).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heory in the HRD field.

      • KCI등재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편성 현황 분석 및 시사점 탐색

        한혜정 ( Hye Chong Han ),민용성 ( Yong Seong Min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새롭게 설정된 ``학교자율과정``이 단위 학교에서 어떻게 편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학교자율과정이 그 본래의 취지, 즉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특성화 및 학생의 진로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실현``에 맞게 편성·운영되기 위해서는 어떤 개선 방안이 필요한가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자율학교 비지정 일반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자율과정에 해당하는 64단위의 90% 이상을 주요 교과, 즉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에 배정하고, 그 중에서도 국어, 수학, 영어에 집중 배정하고 있으며, 학교자율과정의 폭이 큰 학교일수록 교과 총 이수 단위 중 기초 교과 영역의 단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학교자율과정``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특성화 및 학생의 진로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실현``이라는 그 본래의 취지대로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자율과정이 그 본래의 취지대로 단위학교에서 활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원의 원활한 수급, 소수반의 내신성적 산출방식 개선 등이 필요하지만 가장 근본적으로는 고등학교에서 특색있는, 혹은 심화된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실이 대학입시에서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학 입학 전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chool-Autonomous-Course`` firstly introduced in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how it has been organized in the curriculums of the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most of 64 units under the School-Autonomous-Course are allocated to academic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Math, and English. The more autonomous high school in organizing curriculum shows this tendency more severely. This result means that the School-Autonomous-Course, which was firstly introduced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for the curriculum tailored to students` needs and aptitudes, has not been used according to its original intention. In order for each high school to use the School-Autonomous-Course according to its original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method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under which high school students can take recognition for taking specialized or advanced courses at high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국제비교 연구

        김사훈(Kim, Sa-Hoon),이동엽(Lee, Dong-Yub),이영아(Lee, Young-A),백경선(Baek, Kyeong-S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교육과정의 미래 방향 탐색을 위해 세계 주요국의 교육과정 등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편제를 수업시수와 연계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데, 이는 각 국가 교육과정 편제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 국가 및 분석 준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된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를 비교·분석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정 편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상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보다 다소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1~2학년의 교과 시수가 비교 국가에 비해 적게 편제되어 있다. 둘째, 국어, 수학의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에 비해 다소 적었다. 이 역시 초등학교 저학년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를 통해 발견한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국어 교육은 프랑스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부터 편제되어 있고, 핀란드는 3학년부터 편제되어 있지만, 학교 선택에 따라 1학년부터 자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캐나다는 4학년, 일본은 5학년에 편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심도 있게 논의될 필요성이 있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Despite increased attention to research that enable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the world's major countrie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s in connection with class hours. Identifying a research target and comparison criteria is the major difficulty because curricular are diverse in each country. Thu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of Korea by comparing with Canada, France, Finland, and Japan. They are offering relatively clear general guidelines. The result firstly showed that class hours in Korea especially for the first two years of elementary school,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econd, annual instructional time of languages, mathematics is allocated less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cross countries are shown as follows. France allots school hours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first year of school.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of Finl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officially begins in the third grade, but it can be started from the first year depending on school management. Canada starts it in the fourth grade and Japan assigns it to the fifth grade.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olicies in Korea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경향 분석

        김영은 ( Kim Young-eun ),허예지 ( Hu Yae-ji ),백경선 ( Baek Kyeong-s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2

        본 연구는 2022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고자 62개교 연구·선도학교의 학생 선택 교육과정 편성, 소인수 과목, 고시 외 과목, 공동교육과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전반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선도학교의 경험 및 연차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본격 적용 전에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운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준비 시간을 확보하는 것,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수요를 반영한 선택 과목을 개설 성과 이면에는 교사의 다과목 지도, 진로·학업 설계 지도, 시간표 편성 등에 따른 추가 행정 업무 등이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업무 효율화, 시간표 작성 등의 시스템 지원, 교·강사의 원활한 수급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데이터의 범위를 확대하고 축적하여 고교학점제 경험과 연차에 따른 종단적 변화나 추이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checks the results of 62 pilot schools operation in 2022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verall change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mall class operation, joint curriculum, and subjects other than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yea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affect the expansion of students' subject choice, the following is suggested. Securing preparation time to strengthen operational capabilities in all schools nationwide before full-scale implementation in 2025, opening elective courses that reflect students’ diverse educational need; to reduce additional administrative tasks and support for work efficiency, system support such as timetable preparation, and support for smooth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ccumulate the range of data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or trend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xperience and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