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새부리(Ansaipyuri)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탐구

        배재욱(Bae, Jae Woog) 주안대학원대학교 2024 주안신학논단 Vol.2024 No.2

        영남지역 최초의 복음 전도자인 배위량 선교사는 대구·경북지역의 문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대구·경북지역의 교회는 3.1운동 시기에 큰 역할을 감당했다. 그런데, 대구·경북지역에서 3.1운동이 일어난 발상지는 배위량의 제2차 순회전도 여행한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가 대구·경북 지역 교회에 끼친 영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의 일기에 나타나는 마을 이름인 ‘Ansaipyuri’(‘안새부리’)는 선교·문화사적인 의미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이 마을이 배위량의 선교활동에서 중요한 열쇠어(Schlüsselwort)가 되고 한국 초기 선교 역사를 이해하는 데 기본적이고, 중요한 토대를 이루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안새부리(Ansaipyuri)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탐구”를 통하여 다음 2가지 소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1. 안새부리에 대한 연구가 왜 필요한가? 2. 안새부리가 어디인가? 3. 안새부리가 왜 신촌리 안마을인가? “안새부리의 위치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이해”를 통하여 안새부리의 위치를 찾고자 배위량의 일기 본문을 분석하고 인문학적인 분석과 현장 탐방를 통하여 “안새부리(Ansaipyuri)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탐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팔조리의 출발점은 팔조령에 그 기원이 있다. 자연부락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팔조리는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볼 때, 상당히 늦게 형성된 마을이므로, 팔조리를 1893년 4월 21일에 배위량이 잠을 잤던 마을인 안새부리로 보는 것은 역사·지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 그리고 몇 가지 정황상 팔조리가 배위량이 말하는 안새부리라는 주장은 역사적인 근거가 매우 빈약하다. “안새부리의 위치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이해”를 통하여 안새부리의 위치를 찾고자 배위량의 일기 본문을 분석하고, 현장 탐방과 인문학적인 사고를 통하여 “안새부리(Ansaipyuri)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탐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배위량은 안새부리(Ansaipyuri)라는 산골마을에서 1893년 4월 21일 밤에 잠을 자고 이튿날 아침에 팔조령을 넘어서 대구를 향하였다. 역사·지리학적인 판단으로 볼 때 안새부리는 ‘신촌리의 안 마을’로 추정할 수 있다. 1893년 4월 21일에 배위량이 여행한 경로는 청도 읍치에서 나와 ‘왼쪽으로 난 길’을 따라 학산리 방향으로 향하다가 토평리와 고철리를 거쳐 당시에 차북면 소재지인 상당동(현재 신촌리 상당마을)을 거쳐 청도 역사의 현장인 ‘신촌리 안 마을’로 와서 하룻밤을 쉬어 갔다고 본다. 옛날부터 ‘새벌’로 불리던 신촌리는 배위량이 처음으로 청도를 방문했던 1893년 당시에는 ‘새불’ 또는 ‘새부리’로 불렸고, 지금은 그 말의 후기 변화 형태인 ‘새월’이란 지명으로 불린다. 이런 논증에 따라 ‘안새부리’는 ‘신촌리의 안동네’로 추정된다. Missionary Bae Wi-ryang(William M. Baird, 1862-1931, 베어드) was the first evangelist in Youngnam province. Missionary Bae Wi-ryang was the first evangelist in Youngnam province. He is a pathfinder who greatly influenced the culture of the Daegu-Gyeongbuk area. Church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way, the birthplace of the 3.1 movement in Daegu-Gyeongbuk area is almost the same as the area where Bae Wi-ryang’s second round trip traveled.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infer the influence he had on the churches in Daegu-Gyeongbuk area. The name of a village in his diary, ‘Ansaipyuri’, is significant keyword (Schlüsselwort) in missionary and cultural history. The name of this place is an important keyword in Bae’s missionary activities and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early missionary history in Korea. In this paper, through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xploration of Ansaipyuri, I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wo subtopics. The first is: “Why is the study of Ansaipyuri necessary?” The second is: “Where is Ansaipyuri?”. The third is: “Why is Ansaipyuri an inner village of Sinchonri?” In order to locate Ansaipyuri through a historical-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of Ansaipyuri, I analysed the diary texts of Bae Wi-ryang and conducted a historicalgeographical exploration of Ansaipyuri through field visits. The origin of Paljori is the starting point of Paljoryeong. Paljori, which does not have a natural village name, is a village formed quite late in various circumstances. So it is not timely for Paljori to become ‘Ansaipyuri’, the village where Bae Wi-ryang slept in a mountain village called Ansaipyuri on 21 April 1893 and left for Daegu the next morning, crossing the Paljoryeong. In some contexts, the claim that Paljori is the amount of coordination ‘Ansaipyuri’ is very poor in historical basis. Based on historical and geographical research, Ansaipyuri is believed to be the ‘inner village of Sinchonri’. The route taken by Bae Wi-ryang on 21 April 1893 is believed to have been from ‘Cheongdo-eupchi’(‘청도 읍치’[邑治]) to Haksanri along the road on the left, then through ‘Topyeongri’, ‘Gochulri’ and ‘Sangdang-village’, the seat of the district office of ‘Chabuk-myeon’, to an ‘inner village in Sinchonri’, the historical site of Cheongdo, where he stayed overnight. Sinchonri, which called ‘Saebeol’, When Bae Wi-ryang first visited Sinchonri in 1893, it was later ‘saebul’ or ‘saebuli’, and now ‘Saewol’, a later form of the place name. From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Ansaipyuri’ was an ‘inner village of Sinchonri’.

      • 배위량의 2차 전도 여정과 순례길로서의 가치

        배재욱(Jae-Woog Bae) 영남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 목회 Vol.45 No.-

        부산항을 통해 미지의 세계인 한국으로 와서 이 땅에서 선교하고자 노력했던 배위량(裵偉良/윌리엄 M. 베어드/ William M. Baird, 1862~1931)은 1893년 4월부터 5월까지 경상도 땅 일원을 탐방하여 선교지부를 개척하고자 경상도 지역 순회 전도여행을 떠나 1,240리나 여행하면서 순례했다. 배위량은 1894년 4월 22일 많은 위험과 고통을 감내하면서 모든 어려움을 모험과 인내와 열정으로 극복하고 대구에 도착했다. 그는 나중에 남성로에 있는 대구제일교회 옛 본당의 교회 부지를 구입하여 경상도 선교의 기틀을 닦았다. 그가 주님의 복음을 이 땅에 전하고자 다녔던 그 길을 다시 찾는다면 인생의 목적을 깨닫지 못하고 방황하는 우리 한국교회의 젊은이들과 한국교회에게 주는 좋은 선물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세속화의 물결 앞에서 한국교회의 정체성을 지키고, 한국교회를 건강하고 새롭게 하는 길이 될 것이다. 배위량은 “믿음으로 호랑이 굴속에 뛰어든 선교사”처럼 위험과 고난을 감수하는 모험을 감행했다. 그의 2차 전도여행은 동래 - 밀양 - 청도 - 대구 - 상주 - 안동 - 의성 - 신령 - 영천 - 경주 - 울산을 거쳐 동래에까지 이어졌다. 그 후 그는 자신의 선교 터전인 부산 선교지부에 머물렀지만, 부산에서 대구로 이주하여 대구에 정착하는 것으로 제 2차 전도여행의 결실을 맺었다. 배위량의 길은 섬기는 마음으로 그리고 헌신하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만들어 가야할 것이다. Bae We Ryang (William M. Baird, 1862~1931) came to the unknown world of Korea through Busan Harbor for missionary work. He visited all of Gyeongsang Province from April to May in 1893, and made a pilgrimage, going on a 486.981818km evangelical journey to make a local branch of the mission. Although Bae We Ryang endured many hardships, he overcame his difficulties with his adventurous spirit and passion, and arrived in Daegu on April 22, 1894. He established the Gyeongsang Province ministry by buying the land, on which the old main hall of Daegu Jeil Church on Namsung Street is built, for his church site. Bae’s mission of spreading the Lord’s Gospel is an inspiration for the Korean Church and its youths. Looking to Bae’s example, the Korean Church can find its identity and stand strong against the waves of secularization. Bae We Ryang carried out his mission, enduring risk and hardship, like “a missionary who put his head into the lion’s mouth by faith.” After his second evangelical journey through Busan - Dongnae - Miryang - Cheongdo - Daegu - Sangju - Andong - Uiseong - ShinRyoung - Yeongcheon - Gyeongju - Ulsan - and Busan once more, he settled down in Daegu again. Bae We Ryang’s mission was to prepare a strong foundation and be an example for the Korean Church; following Bae, the Korean Church should also strive to serve and be an example for the Korean people with dedication.

      • KCI등재

        배위량의 순회전도가 영남지역의 3.1만세운동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

        배재욱 ( Bae Jae Woog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1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3.1운동은 민족사적으로 중요하고 획기적인 일이다. 이 사건으로부터 파생된 민족정신은 구국운동으로 번져갔다. 한국교회는 3.1운동의 준비단계에서 거사 실행단계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배위량의 열정적인 복음 전도 활동이 영남지역의 3.1만 세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에 대하여 탐구했다. 배위량은 1891년 1월 29일에 부산항에 도착함으로 한국과 처음으로 인연을 맺었던 인물이다. 그는 부산에서 선교 지부를 개척할 땅을 사기 위하여 1891년 2월 25일에 부산으로 내려왔다. 배위량은 영남지역의 3.1만세운동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영남지역에서 행한 그의 선교 사역이 영남지역의 3.1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초점을 맞춘다면 그가 3.1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배위량과 영남지역의 3.1운동의 관련성을 찾고자 한다. 그는 부산에 터전을 마련하고 1891년 9월 24일부터 부산 선교 지부 건물을 짓기 시작하여 1892년 6월에 완공했다. 배위량은 처음에는 부산을 중심으로 하여 1) 순회전도, 2) 사랑방 전도, 3) 수세자들과 초량교회 설립, 4) 한문학교 설립 등을 통하여 한국 선교의 기틀을 놓았다. 배위량은 부산과 대구를 근거지로 하여 원대한 선교 계획으로 일했다. 배위량은 1896년 4월에 평생 살 생각으로 대구로 이사하여 대구를 근거지로 영남지역을 선교하고자 했다. 하지만 미북장로교 선교부는 그의 임지를 서울로 옮기도록 하였다. 그래서 배위량은 대구에서 서울로 이사를 가야 했다. 그의 후임인 안의와(安義窩=아담스, James Edward Adams, 1867∼1929), 장인차(張仁車=존슨, Dr. Woodbridge O. Johnson, 1869∼1951) 그리고 부해리(傅海利=브루엔, Henry Munro Bruen, 1874∼1959)는 배위량의 선교 정신을 이어 받아 영남지역 선교를 위하여 많은 역할을 감당했다. 영남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은 대구와 부산 등 도시에서 먼저 시작되어 농촌으로 확대되어 전국에서 가장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는 운동이 되었다. 그런데 영남지역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를 선도했던 그룹은 기독교 인사들과 학생들이었다. 대구 3.8운동은 대구 교계 지도자들에 의하여 계획되고 시작되었다. 배위량의 제2차 순회전도 여행길은 영남 북부지역을 복음화시키는 단초가 되었다. 영남지역의 3.1운동은 기독교 지도자들과 신자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했다는 데서 다른 지역과 다른 특색을 가진다. 배위량은 영남지역 전 지역을 대상으로 다니면서 순회전도를 감행했다. 이 점에서 영남지역의 교회 탄생은 배위량과 깊이 연관되고 영남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은 순회전도 여행을 다닌 지역과 관련된다. 그래서 영남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에 대한 연구에서 배위량과 관련된 개연성을 찾는 것이 영남지역의 3.1운동의 특색을 찾는 데 중요한 길이 될 것이다. The centenary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falls in the year of 2019. The March First Movement is an important and epoch-making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 The national spirit derived from this incident spread to a save-the-nation movement. The Korean Church took a leading role from the preparation stage of the uprising to the execution stage.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ores how the passionate evangelical activities of Bae We Ryang affected the March First Manse (“hurrah”) Movement in the Gyeongsang (or Youngnam) region. Bae We Ryang was the first person to make a connection with Korea by arriving at Busan port on January 29, 1891. He came down to Busan on February 25, 1891 to buy land for a missionary branch in Busan. Although Bae’s misssionary work may not be directly related to the March First Manse Movement in the Gyeongsang region, his import- ance should not be overlooked in focusing on how the results of his missionary work affected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region. The author attempts to seek relevance between his role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in Gyeongsang region. After he set up a base in Busan, he began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Busan Mission Branch on September 24, 1891 and completed it in June of 1892. Bae We Ryang first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in Korea by conducting missionary work mainly in Busan through 1) Itinerating travel; 2) conducting guests to a reception room in a house; 3) establishing Choryang Church with all the baptized persons; 4) establishing a Chinese literary school. He did missionary work with Busan and Daegu as centers having a far-reaching plan in mind. Bae We Ryang moved to Daegu in April 1896, hoping to preach the gospel there all his life, but before long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PCUSA) made him move to Seoul and Pyongyang. His successors, James Edward Adams (1867∼ 1929), Dr. Woodbridge O. Johnson (1869∼1951) and Henry Munro Bruen (1874∼1959) were given many missionary roles to evangelize people in the Youngnam region. In the Youngnam region, the March First Movement starting first in cities such as Daegu and Busan expanded to rural areas and then became the most powerful movement in the country. The demonstrations in the Gyeongsang region were led by Christian leaders and students. Daegu’s March Eighth Movement (대구 3.8운동) was planned and started by Daegu’s Christian religious leaders. Bae’s second missionary journey has been viewed as a major source of evangelization for the northern part of Youngnam areas.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Gyeongsang region, Christian leaders and believers played pivotal roles. Bae preached the gospel throughout the entire Youngnam region and the birth of churches there could all be deeply related to him. The March First Movement in Youngnam is connected with the regions where he made his rounds for the gospel. Therefore, it remains an important source for research in relating Bae We Ryang with studies o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Youngnam region.

      • KCI등재

        건축공사 옥상 도막방수 공법의 LCC 분석 - 품질확보를 위한 사전대책을 중심으로 -

        배재욱,신승문,김상갑,구충완,홍태훈,구교진,현창택,Bae, Jae-Wook,Shin, Seung-Moon,Kim, Sang-Gap,Koo, Choong-Wan,Hong, Tae-Hoon,Koo, Kyo-Ji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4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촉구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방수공사는 이러한 삶의 질과 직결되는 공종임에도 불구하고, 미연에 하자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대책보다는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하자발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대책을 고려한 LCC 분석모델을 개발하고, 각 대안별 생애주기비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전대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전문가 면담을 통해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사전대책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각 대안별 비용항목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가장 경제성이 있는 최적안을 도출하였다. 사전대책을 실시하는 경우 초기투자비용이 추가 발생하지만 하자발생 후 전면 보수 시 발생하는 재투자비는 절감되므로, 궁극적으로 생애주기비용 측면에서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the society is being developed, the desire about life quality is also growing. Even though the process of waterproof work has very close relation with these life quality, we always focus on management after problem than the precaution of problem. So this process has the highest rate of mengel. We develop LCC analysis model considering the precaution and try to show the necessity of the precau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every alternative proposal during LCC. By studying of the previous work 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we deduce the problem of waterproof work in construction area. By discussion with an expert in this process and research, we make solutions about precaution and set the cost items in every alternative proposal about these solutions. We understand the effect of each elements through sensitive analysis of the cost items, and find the economically best suited solu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요한복음 15장 12-17절에 나타난 ‘예수의 친구’ 됨에 대한 고찰

        배재욱 ( Jae Woog Ba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0 No.-

        ‘예수의 친구’ 됨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일반적인 ‘친구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헬라문화권에서 Φίλος (‘필로스,’ ‘친구’)는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다. 요한복음에서 Φίλος 개념은 구약성경과 초기 유대교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친구개념의 주된 기원을 구약성경과 초기 유대교에서 찾고자 했다. 요한공동체에서 예수의 제자들은 ‘예수의 친구’로 인식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예수의 친구’라는 어구를 요한공동체가 신학전문용어로 이해했다는 가정 아래서 친구의 의미를 찾았다. 이러한 전제 아래서 보면 친구란 용어는 요한공동체의 정체성을 암시하는 특별한 용어이다. 그래서 필자는 연구의 방향을 ‘친구’란 용어가 요한공동체의 정체성을 암시한다는 인식하에 진행했다. 요한복음11장 11절은 나사로를 o Φίλος ήμών (‘호 필로스 헤몬,’ ‘우리의 친구’)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요한공동체는 o Φίλος ήμών 이라는 표현을 통하여 예수와 요한 공동체가 가지는 긴밀성을 나타내었다. 요한복음 15장 12-17절에서 ‘예수의 친구’ 됨은 1. “‘계명을 지킴’과 친구(12-14, 17절),” 2. “지금까지 미치는 친구 됨의 결과(15절),” 3. “예수의 선택(16절)에 의한 친구”로 나타난다. 요한은 제자들을 ‘예수의 친구’로 묘사하고 이 표현을 통하여 제자들이 예수와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를 나타낸다.(참조. 요 15:15)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친구를 ‘예수의 선택에 의한친구’란 관점에서 보면 제자들에게 먼저 다가오신 예수의 주도권과 선택 사상을 볼 수 있다. 요한복음에서 친구 됨의 결과는 하나님의 계시를 인식하는 데서 나타나고, 믿고 신뢰하는 관계로 규정되고 나타난다. 요한복음에서 친구 됨의 주도권은 예수께 있다. 그것은 ‘예수의 친구 됨’이 오직 십자가 위에서 이루어진 예수의 희생과 죽음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로마 세계는 Φίλος 개념을 사회학적 측면에서 받아들여 적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한복음 15장 12-17절에서 ‘친구에 대한 사랑의 표현’은 희생적인 예수의 사랑에 기인하므로 구약성경적-초기 유대교적인 배경인 속죄 제사의 관점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예수의 속죄 죽음의 근거 위에서 요한공동체는 예수와 친구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친구 됨에 대한 사랑의 의무를 가져야 할 것을 요구한다. In the Greek culture, Φίλος (‘friend’) means a special relationship. The disciples of Jesus were perceived as ‘friends of Jesus’ in the Johannine community. The concept of Φίλος (‘friend’) in the Gospel of John can be found in the Old Testament, early Judaism, and even within the Greco-Roman context. In the Gospel of John 11:11, Lazarus appears as o Φίλος ήμών (‘our friend’), an expression used by the John community to show their closeness with Jesus. The “friendship of Jesus” in John 15:12-17 means 1. “keeping the commandments” (v. 12-14, 17), 2. the result of friendship so far (v. 15), and a friend chosen by Jesus (v. 16). John’s perception of friends seems to be influenced by a Greek-Roman perspective on friends that the John community embraced and applied to the concept of friends. In John, Φίλος appears in Jesus’ farewell sermon in which we can find what Jesus expects from his disciples. Also in John we can think of the disciples’ special position in their relationship with Jesus through the description of ‘disciples’ as the ‘friends’ of Jesus (see John 15:15). In this respect, we can see the leadership and choice of Jesus who came to his disciple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a ‘friend chosen by Jesus.’ The result of this friendship must come from recognizing God’s revelations and a relationship with trust. Because the leadership in Jesus’ friend ship has its roots in his sacrifice and death on the cross. Since the ‘expression of love for a friend’ stems from Jesus’ self-giving love, the John Community must love one another in order to keep their friendship with Jes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신약성경의 생명 사상에 대한 고찰

        배재욱(Jae Woog Ba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인간 생명의 고귀함에 인간 자신의 존재의 위대함과 고귀함이 기인된다. 이 고귀한 생명이 지금 여러 모양으로 유린되고 있다. 온갖 사회적인 현상은 인간생명의 고귀함을 유린하고 생명을 물질의 부속품처럼 생각하게 만든다. 종교와 종교 간에, 인종과 인종 간에 끊임없는 갈등이 인간 정신을 멍들게 한다. 인간의 생명 경시 현상이 두드러진 요즘의 시대상은 여러 가지 병폐를 낳고 있다. 이 시대의 사회 현상을 직시하면서 신학적인 생명의 본질 문제뿐만 아니라 포괄적으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생명 문제를 포함하여 인간생명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사회학적으로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교회는 생명을 존중하고 생명의 가치를 지켜 가야 한다. 그 때 하나님의 구원의 은총 아래서 인간은 새로운 생명의 기쁨을 다시 얻게 될 것이다(시 51:10-12). 신약성경의 생명 사상은 구약성경-유대교 생명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생명 사상은 믿음(요 3:15-16, 5:24, 20:31), 하나님 나라 사상(요 3:3, 5), 예수 그리스도(요 1:25, 14:6; 계 1:18), 말씀(요 6:63), 종말론적인 축복(마 7:14; 막 9:43, 45) 등의 사상과 연관되어 있다. ‘생명’ 개념이 공관복음에서는 ‘하나님 나라’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마가복음 9:43-47에서 ‘생명’과 ‘하나님 나라’는 평행을 이루고 누가복음 18:29-30에서 ‘생명’과 ‘하나님 나라’는 서로 연결된다. 예수님의 생명 사상은 하나님 나라에서 구체화되고 현재화된다. 공관복음의 하나님 나라 개념은 생명을 종말론적 축복으로 말한다(마 7:14; 막 9:43, 45). 바울은 예수님이 부활을 통해 ‘생명의 주인’이 됨을 나타낸다(롬 5:15-17; 고전 15:20-23). 고린도전서 15:20-22에서 생명은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설명한다. 바울은 ‘생명의 성령’이란 표현을 통해 성령을 ‘새로운 창조의 원동력’으로 표현한다. 생명의 성령이 그리스도 안에서 죄와 죽음으로부터 자유를 가져왔다(롬 8:21).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생명을 가진 자로서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롬 6:1-14). 요한계시록의 생명 사상은 그리스도론과의 연결이 집중되는 특징과 아울러 내세적(來世的)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신약성경 저자들은 그리스도의 생명 사상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구약성경적-초기 유대교적인 전승을 따르지만 그들의 생명 사상이 구약성경이나 초기 유대교의 생명 사상을 답습하는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구약성경-초기 유대교 배경 위에서 기독론적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데서 신약성경 생명 사상의 독특성을 찾게 된다. 생명 사상의 기독론적인 전이를 통한 이러한 생명 사상의 발전은 초기교회가 제기한 예수님이 누구인가라는 문제에서 시작되고 이러한 문제 제기는 기독론의 성립과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여 자신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셔서 죄로 죽어 가는 세상에 생명의 복음을 선물하셨다. 인간의 생명은 어쩌다가 주어진 것이 아닌 하나님의 선물이고 축복이다. 존귀한 인간의 생명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학 인접 학문과의 대화도 요구된다. 신학은 인접 학문과의 대화를 통해 생명의 사회적인 성격까지 포함하여 다루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 생명 존중의 가치관을 세워 나가는 데 일조하는 것이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하나님의 뜻일 것이다. The greatness and nobility of one’s existence arise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human life. Human life is being violated in various ways at this moment. All kinds of social phenomena are infringing on the value of human life, relegating it to a place of appurtenance. Endless discord between one religion and another, between one race and another are damaging the spirit of humanity. Today, the phenomenon of contempt for human life is all the more apparent; such signs give rise to different evils. As we face up to the social phenomenon of today, the matter requires not only the theological aspect of the essence of life, but a more inclusive approach on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e matter should be treated not only in social scientific terms,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igion. The church must honor life and defend the value of life. That is when humanity will receive anew the joy of life under the saving grace of God (Ps 51:10-12). The idea of life in the New Testament is based on the Old Testament Judaic view of life. In the New Testament, life is related to other themes such as faith (Jn 3:15-16; 5:24; 20:31), Kingdom of God (Jn 3:3, 5), Jesus Christ (Jn 1:25; 14:6; Rev 1:18), Word (6:63), and eschatological blessing (Mt 7:14; Mk 9:43, 45). In the synoptic gospels, the idea of life is used in the similar vein as the idea of Kingdom of God. Life and Kingdom of God are placed parallel to each other in Mark 9:43-47, and in Luke 18:29-30, life and Kingdom of God are interrelated. Jesus’ idea of life is embodied and actualized in Kingdom of God. The concept of Kingdom of God in the synoptic gospels express life as eschatological blessing (Mt 7:14; Mk 9:43, 45). Paul shows that Jesus became the Lord of life through resurrection (ref. Rom 5:15-17; 1 Cor 15:20-23). Through 1 Corinthians 15:20-22, he also shows that life is in Christ. Through the expression “spirit of life,” he shows how the Spiri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new creation. In Christ, the spirit of life brought freedom from sin and death (ref. Rom 8:21). Therefore those who are in Christ must fulfill their duty as those who have received life (ref. Rom 6:1-14). The concept of life in Revelation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its connection to Christology and after-life. The writers of the New Testament followed the early Judaic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in their process of developing Christ’s idea of life. But they continued on to build a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early Judaic foundation to give its concept of life a unique characteristic. Such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life through its transition into christology started with the early church’s question of the identity of Jesus. And such inquiries formed and developed christology. God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to give the world the gift of good news to those who are perishing in sin. Human life is not a mere coincidence, but the gift and blessing of God. Understanding the nobility of human life also requires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adjacent to the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the matter of life’s 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also be treated. To be a part of establishing a value system that gives life due respect would be the will of God who gave us life.

      • KCI등재

        초기 유대교, 예수와 바울의 생명 사상

        배재욱(Bae, Jae Woo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1

        It is a miracle that Christianity was born and grew up in circumstances of early Judaism and under the influence of powerful Hellenism. In the midst of expanding Hellenism Christianity kept its identity and continued to grow. It must be an important factor in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ity. The proclamation of Jesus for the Word laid the basis of significant thought for New Testament authors. The understanding for the 'word' is the Christocentric reinterpretation of form consistent with the Old Testament and the literature of early Judaism. The result of this reinterpretation becomes Christianity. The early christianty understood as the gospel, which Jesus proclaimed, and newly understood as divine Power of life, which appears in the gospel. Accomplishment of salvation, which jesus achieves, appear through proclamation for the word, and activities of life is realized to the audience, who listens to the word. In this point be related the origin of life to Jesus, who is the person, who proclaims the word. 'Internal transition', which appears through the proclamation, is possible when man remember God and maintains correctly the meaning of life. This understanding appears also in pauline epistles. Paul describes 'the way of life' in christ throuth the gospel of 'the Son of God' 'Jesus Christ'(cf. Rom. 5:17; 6:4; 8:2; Col 3:3). Paul extends life to the the Holy Spirit throuth the statement for "the Law of Spirit of life in Christ Jesus". Therefore activity of life, which is carried by the Spirit of Jesus, consists of proclamation of the gosp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