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에코뮤지엄의 수용과 적용 과정: 철암빌리지움에서 철암탄광역사촌까지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Cheoram in Gangwon-do is the place where was once very active as a coal mining area in the 1970s and 1980s, but experienced a decline, suffering a crisis of being turned into an abandoned mine since the 1990s. Cheoram Villageum is very noteworthy in that it has embraced the concept of the ecomuseum among the voluntary movements of residents to revitalize the community. This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the ecomuseum concept in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hole current activities of the coal mining town of Cheoram, which has marked a very important beginning in the history of ecomuseums in Korea, starting from Cheoram Villageum. This leads to how ecomuseums earlier in Korea were introduced and how their experimental efforts had an effect on the local areas. Since the ecomuseum is a concept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axis of local culture as it is born and grows like a living organism,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transition of change while watching it for a long time. The course of examining changes in Cheoram begun in 1998 may be a significant study in its own right. Cheoram Coal Mine History Town currently in operation is also researched and analyzed using the MACDAB index. In addition, while thinking about future improvements, it is suggested that Cheoram Coal Mine History Village establishes itself as a genuine ecomuseum and exchanges with ecomuseums around the world that started in mining towns. 강원도 철암은 1970~80년대에는 탄광지역으로 매우 활성화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폐광지역으로 전락하는 위기를 겪으면서 지역 전체가 쇠퇴를 경험한 곳이다.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 펼쳐진 자발적인 주민운동 가운데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수용한 철암빌리지움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는 가히 국내 최초의 에코뮤지엄 개념의 수용과 적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철암빌리지움에서 시작되어 한국의 에코뮤지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작을 알린 바 있는 철암의 탄광촌이 현재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초기 에코뮤지엄이 한국에 어떻게 소개되었으며, 실험적인 노력을 경주한 사실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에코뮤지엄은 생명체와 같이 탄생하고 성장하면서 지역문화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개념이기에 장시간 지켜보면서 변화의 추이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1998년도부터 시작된 철암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철암탄광역사촌의 전시를 통하여 현황을 조사하고, 에코뮤지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MACDAB 지수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향후 보완점에 대해서도 고민하면서, 철암탄광역사촌이 진정한 에코뮤지엄으로 자리 잡고 광산마을에서 시작된 전 세계의 에코뮤지엄과 교류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기억의 보존과 상처의 치유를 통한 창조적 모험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3 博物館學報 Vol.- No.24

        에코뮤지엄은 생태를 의미하는 에콜로지(ecology)와 박물관을 의미하는 뮤지엄(museum)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그것은 인간을 포함하고 자연?생태와 산업을 포함한 문화?유산을 모두 아울 러서 특정 유산지역을 뮤지엄의 범주로 지정하고 지역 전체가 유기적으로 구성되며 주민이 자발적으 로 운영에 참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에코뮤지엄이 태동하여 용어로 정리되고 실험적 모험 을 시도하여 탄생된 나라는 프랑스이다. 프랑스 박물관학자 조르주 앙리 리비에르(George Henri Rivi?re)는 스웨덴의 ‘스칸센’(Skansen) 야외박물관(open air museum) 개념을 프랑스에 적용시키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하였다. 그는 지역의 전통가옥과 지역의 생태환경과 전통까지 박물관의 영역으로 흡수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지역 전체가 박물관이 되는 것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위그 드 바린 (Hugues de Varine)이 에콜로지와 뮤지엄을 합성하여 만든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이 에코뮤지엄이다. 에코뮤지엄의 설립 취지나 주요 테마에 따라서 운영방식에 따라 대체로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농촌형 에코뮤지엄, 산업유산형 에코뮤지엄, 자연환경형 에코뮤지엄, 역사문화형 에코뮤지엄, 테 마파크형 에코뮤지엄의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크뢰조-몽소(creusot-montceau) 에코뮤지엄은 이 가운데 산업유산형 에코뮤지엄에 속한다. 산업유산형 에코뮤지엄은 지역의 지나간 시대의 산업유산 과 관련된 지역자원을 복원하고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되는 방 식의 에코뮤지엄이다. 크뢰조의 철강 산업을 배경으로 한 슈나이더 가문의 베르리 성을 중핵박물관 으로 하고 석탄채굴과 광산업이 발달한 레 민의 각 사이트를 연결하여 지역민의 자긍심을 갖게 하고 방문객에게 자신들의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취지를 갖고 있다. 산업 시대의 크뢰조-몽소는 유리, 철강, 광산, 벽돌공장 등 다양한 산업의 동력 구심점에 있었으 며, 지역의 주민들은 노동과 헌신으로 자신들의 삶을 영위하여왔다. 산업시대가 막을 내리자 지역의 경제는 침체일로를 걷기 시작하였으며, 젊은이들은 고향을 떠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향하 게 된다. 더 이상 광물을 캐지 않는 광산을 비롯한 산업시대의 유산은 지역의 쇠퇴를 말해주는 상처 로서의 기억이었다. 그러나 용

      • KCI등재

        실향민문화축제에 나타난 한국전쟁과 분단 그리고 실향의 기억

        배은석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7

        The Korean War has produced a lot of ravages and it is still continuing the tragedy of a new phase of truce and division. In recent days, North Korea's provocative threat and US confrontation have been reported in broadcasting. Our intention to maintai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being discussed by neighboring countries rather than the will of the parties. At this point, we need to review what the Korean War left us. The people of Abai village in Cheongho-dong, a displaced persons‘ village in Sokcho, are a diasporic community of Korean war, displacement, division and disunity. They have lived in the sand dunes to survive only, and now they are showing their culture, gesturing to the whole of the displaced and pledging to unify. It is the hosting of a culture festival for the displaced people. The scene includes memories of displaced people, folk songs in North Korea, sadness of the war, photos of the hometown mountain scenery that has been left, and various forms of cultural contents. This paper intends to study Cheongho - dong Abai Village and the residents' cultural festival as a displaced community.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cultural heritage that can not be neglected, such as Bukchong lion play and the "Finding of a Family with Disabilities" exhibi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in the "Pop Songs at that time", I discovered that the tragedy of war was sublimated into a popular art of pop songs and comforted the people. Now, more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and the memory of war has become fading with time. But the crucial thing that we must recognize is that it is not a painful history of war. We exist in the context of an unfinished war, a truce. Just as Pop Songs has comforted the whole people in the situation of war, the power of cultural contents is transmitted beyond the ag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aces left behind by the war and to embody it as cultural contents. The displaced persons who settled in Sokcho express the pain of war and their cultural heritage through festivals. In this respect, cultural contents of diverse genr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cultural prototype possessed by the disappeared culture festival.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nd complex trials are necessary. 한국전쟁은 한국의 현대사를 파편으로 만들고 휴전과 분단이라는 새로운 국면의비극을 양산하였다. 최근에는 연일 북한의 도발 위협과 미국의 맞대응이 기사화되고있으며,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려는 우리의 의도는 당사자의 의지보다는 주변국들에 의해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점에 다시 한 번 한국전쟁이 우리에게무엇을 남겼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속초에는 전쟁이 남긴 상처를 보듬어 삶을 개척한 사람들이 만든 청호동 아바이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전쟁과 실향, 분단과 이산을 품은 공동체이다. 그들은 오로지생존하기 위하여 모래 둔덕을 일구어 살아왔으며, 이제 그들의 문화를 펼쳐 보이면서실향민 전체를 보듬어 안고 통일을 기약하려는 몸짓을 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실향민문화축제의 개최이다. 그 현장에는 실향민의 기억, 북한지역의 민속, 전쟁의아픔을 노래한 가요, 두고 온 고향 산천 사진 등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로구현되고 있다. 본고는 실향민 공동체로서 청호동 아바이마을과 실향민문화축제를연구하였다. 그 과정에 전쟁이 낳은 비극이 가요라는 대중예술로 승화되어 민중을위로하였고, 기억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속초에 뿌리내린 북청사자놀음, <이산가족 찾기 사진 영상 전시회> 등 결코 소홀히 대할 수 없는 중요한문화유산들이 내재되어있다는 것을 조사하였다. 이제 분단 이후 60여년의 세월이 지났고 전쟁의 기억도 세월에 따라 희미해지고있다. 그러나 우리가 인식해야 하는 중대한 사항은 전쟁이 지나간 시절의 아픈 역사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즉 휴전의 상황에서 존재하고 있다. 전쟁의 상황에서 가요가 전 국민을 위로하였던 것처럼 문화콘텐츠의 힘은시대를 넘어 전해진다. 이제 좀 더 냉정하게 전쟁이 남긴 흔적들을 검토하고 이를문화콘텐츠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 속초에 정착한 실향민들은 전쟁의 아픔과 자신들이 보유한 기억을 축제를 통하여 표출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실향민문화축제가보유한 문화원형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가발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제 간 연구와 융복합적 시도가 필요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신박물관으로서 프랑스 보르도 ‘와인의 도시’에 대한 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2

        Bordeaux in France constructed a ‘New Museum’ named ‘City of Wine’ by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is region, viticulture and wine-making method. ‘City of Wine’ proclaimed that Bordeaux is the center of the human wine culture while inviting the world citizens to wine culture. The assertion that this place, which doesn’t possess even a piece of relics, is a New Museum, might be acceptable because the New Museum is proving that wine i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demonstrating the history of wine, which has been with human history such a long time, through the plentiful, delicate immersive exhibition. ‘City of Wine’, as a smart museum led by a smart docent, is in possession of 19 immersive permanent exhibition space. Immersion is divided into perceptual immersion by a technical device and psychological immersion which a user oneself comes to have spontaneously without a technical device, and it is when these two form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mmersion rises to a crescendo. This study is intending to look into the exhibition process which induces perceptual immersion by a technical device, that is to say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to finally reach psychological immers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have a discussion about a smart museum which leads viewers into such immersion as well. A smart museum provides the environment inducing a viewer’s cognitiv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grated action of all technologies at this place. In such an environment, a viewer finally becomes one of the curators pioneering a museum exhibition by participating in a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a viewer changes from a level of a spectator to an explorer, a discover, a contributor and a curator.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nts in ‘City of Wine’ and its various activities, but took note of the interactive exhibition embodied by 19 immersive exhibition space. Also,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immersion of this space, through which to discover implications. 프랑스의 보르도는 지역의 무형문화유산인 포도 재배법과 와인 양조법을 보존하고 계승하여 ‘와인의 도시’라는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을 건설하고, 보르도가 인류와인문화의 중심임을 선포한다. 단 한 점의 유물도 보유하지 않은 이곳이 신박물관임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유구한 세월동안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와인의 역사를 풍부하고 섬세한 몰입형 전시를 통하여 와인이 인류의 중요 무형문화유산임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와인의 도시’는 스마트 도슨트가 이끄는 스마트 박물관으로서 19개의 몰입형 상설전시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몰입은 기술적 장치에 의한 지각적 몰입과 기술 장치 없이 이용자 스스로 자발적으로 갖게 되는 심리적 몰입으로 나뉘는데 몰입이 최고조에 달하는 것은 이 두 형태가 결합될 때이다. 본고에서는 기술적 장치에 의한 지각적 몰입 즉, 가상현실로의 몰입이 마침내 심리적 몰입에 다다르도록 이끄는 전시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몰입에 이르도록 이끄는 스마트 박물관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스마트 박물관은 모든 테크놀로지가 한 자리에서 다 같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관람객의 인지적, 사회적, 감성적 발전을 이끄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관람객은 단순한 관람객의 차원에서 탐험가, 체험자, 발견자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박물관의 전시에 참여하여, 마침내 박물관 전시를 개척하고 이끄는 학예사 가운데 한 명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와인의 도시’에 담긴 내용과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되, 19개의 몰입형 상설전시 공간이 구현하는 상호작용성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공간이 갖는 몰입의 다양한 면모를 고찰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제 박물관 전문가들은 신박물관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모색해야할 시점이다.

      • KCI등재

        Sokcho Saja Noreum: Transition and Transmission of a North Korean Commun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배은석,박윤옥 국립민속박물관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3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cultural heritage contributes to the identity of a communitythrough Saja Noreum, a folk play which has been re-createdat Abai Village, Cheongho-dong, Sokcho. The play embracesthe memories of the villagers’ hometown, Bukcheong, in NorthKorea, the Korean War,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loss oftheir home. People of the diaspora identify themselves as the‘Sokcho people from Bukcheong’. This is also manifested intheir changing the name of the play from Sokcho BukcheongSaja Noreum to Sokcho Saja Noreum. This transition is analysedin terms of some of the main factors of intangible culturalheritage: self-identification, constant re-creation as a responseto the historical and social evolution of the community andgroups concerned, the connection of heritage to the identityof its creators and bearers, the authenticity of the heritage,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and human rights. Saja Noreum is a living expression and animportant lin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This study aims to take a view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based onthe history of urban Hanok area in Ikseon-dong considering it’s problem. Ikseon-dong Hanok Village is a Hanok museum itself. It is told to bestandardized but the colors and textures of the bricks are all different andeach house has its own characters, and there are historic alleys in thevillag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 to achievedevelopment of the region by conserving the Hanoks and the alleys. Ikseon-dong Hanok Village can be the central museum and surroundingareas such as the Changdeok Palace, Jongmyo Shrine, Unhyeon Palace,Museum of Korean Art, Tteok Museum, Choonwondang Museum of KoreanMedicine, Myo-dong jewelry shopping district, and Nagwon InstrumentArcade can be set as satellite museums, designing the entire district as amuseum. When the residents’ awareness are brought upon through various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symposiums, research societies, reminiscencespeaking contests, field trips, lectures, and treasure hunts after excavatingthese sites, Hanok Village will not be sacrificed in the name of developmentanymore and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sidents’ abilities topropagate while preserving the region. 도시 역사 유적지의 개발과 보존의 양극에서 진정 지역을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것이 무엇인가? 시간의 켜와 오래된 삶의 양식이 남아있는 역사 도시 서울이 발전하기 위하여 대규모 철거와 대단위 개발은 필수불가결한 발전의 방식이라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거대자본이 밀고 온 개발 앞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은 삶의 터전을 잃고 다시 정착할 곳을 찾아 떠나게 된다. 서울의 중심부 종로 한 가운데 도시형한옥지구가 방치된 상태로 허물어져가고 있다면, 그리고 그 한옥마을 안에서 평생을 살아온 주민들이 아직도 생존해 있다면 이 곳을 철거하고 현대식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것은 올바른 선택인가?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고민하면서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지구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지역의 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에코뮤지엄의 이론을 익선동 한옥 밀집지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에코뮤지엄은 지역,유산,집단의 기억,자연, 지역의 정체성, 건축물, 전통, 연장자, 경관, 문화자원을 소장품으로 하여 지역의 사이트(site)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민은 에코뮤지엄의 주체로서 스스로 지역의 유산을 발굴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지역의 전문가로서 소양을 축적시켜 나가는 과정에 지역의 정체성과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지역을 찾는 방문객 역시 지역의 자원을 탐색하고 알아가는 과정에 에코뮤지엄의 일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핵박물관으로 하고 주변의 창덕궁, 종묘, 운현궁, 한국미술박물관, 떡박물관, 춘원당한방박물관, 귀금속상가, 낙원악기상가를 사이트로 하여 지역전체를 박물관으로 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를 발굴하여 전시회, 심포지엄, 연구회, 추억 말하기 대회, 견학회, 강연회, 보물찾기 대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주민의 의식을 깨운다면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 지구는 더 이상 개발의 논리에 희생되지 않고 지역을 보존하면서 주민 스스로 자생력을 갖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코뮤지엄학의 관점에서 돈의문박물관마을에 대한 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Donuimun Museum Village to preserve the history and memories of the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Ecomuseology.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Seoul is still developing into a cosmopolitan city. Preoccupied with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ment, Seoul has recently attempted to preserve the history of the capital city through urban regeneration, which is linked with museum activities. One of the annexe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Donuimun Museum Village built around the Donuimun History Museum is an example of turning the entire village into a museum, showing the passage of time through the area called Saemunan neighborhood. Based on ecomuse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is village museum to discuss the roles of the museum in contributing to the local community. Public museums established and run by local governments should be operated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ituation, the methodology of the ecomuseum can provide an important clue. The new initiative of Donuimun Museum Village can be highly appreciated, but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Various reflections should be sought in order for the museum to become an open space for local residents, rather than an isolated castl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역사와 기억을 간직하려는 돈의문박물관마을의 활동을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서울은 역사문화도시이며 현재도 발전하고 있는 국제 도시이다. 숨 가쁘게 건설을 추진해온 서울은 최근에 도시재생이라는 방식으로 도시 역사를 간직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를 박물관 활동과 연계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의 분관 가운데 하나인 돈의문역사관을 중심으로 조성된 돈의문박물관마을은 새문안 동네라는 지역을 관통하는 시간의 켜를 보여주며 마을 전체를 박물관으로 만든 사례이다.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학에 입각하여 이 마을박물관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서 논하였다. 지자체가 주최가 되어 설립되고 운영되는 공립박물관은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중심에 두고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코뮤지엄의 방법론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돈의문박물관마을의 새로운 시도는 매우 높게 평가될 수 있으나 해결해야할 많은 과제도 있다. 박물관이 더 이상 고립된 성(城)이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 열린 공간이 되기 위한 성찰이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을 표방한 마을 박물관의 실험적 시도 - 서울《익선동 마을박물관》을 중심으로 -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를 기 록하는 것과 본 프로젝트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피는데 있다. 하여 향후 한국에 적용 가능한 에코 뮤지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초석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익선동 166번지 도시형한옥마을 일대와 주변의 문 화자원을 범위로 진행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근대의 기억을 간직한 도시형한옥과 익선동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고자 주민들의 생업 공간을 개방 하여 진행하였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 도시 형한옥이 생성될 무렵인 근대의 기억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다행히 한옥과 골목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었기에 미약하게나마 익선동에 남아있는 도시형한옥, 문학, 국악에 관한 근대의 기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방과 전쟁의 시기가 지나고 익선동은 오진암을 비롯한 요정문화를 꽃 피우면서 요정 정치의 중심에 선다. 요정정치의 몰락 이후 개발과 보전의 기로에 선 현재 익선동에 대해서도 고민 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발굴, 고민을 전시에 담아내려고 했으며 그 과정을 주민과 함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실험에 대한 기록이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개발과 보존의 논쟁과 싸움 가운데서 완성되지 못한 연구와 조사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앞으로도 생겨날 도시 안의 마을박물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또한 마을 박물관이 어느 누구의 욕심이나 자랑으로 채워지지 않고 지역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비추어보는 거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1인가구 주민의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배은석,박상미,박해긍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2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need for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each age group to respond to their sense of social isolation as single-person households expanded to social problems of all age groups unlike in the past.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of 419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older residing in Haeundae-gu on factors affecting the feeling of isol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a result of examining this by generation,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young people.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middle-aged group, and age,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elderly. The variable that explains social isolation the most in all generations was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affect social isolation in all target groups. This study prov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can be different for each gener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strategies for resolving social isolation by each generation. 본 연구는 1인가구가 과거와 달리 전 연령대의 사회적 문제로 확대됨에 따 라 이들의 사회적 고립감에 대응하기 위한 연령대별 차별화 전략 수립을 위 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1인가구 4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연구 목적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 석을 통해 연령대 각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에서는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장년층에서는 삶의 만족과 사 회참여활동,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고, 노인층에서는 연령, 혼자거주기 간,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다. 모든 세대에서 사회적 고립감 을 가장 크게 설명하는 변수는 삶의 만족이었고, 디지털 리터러시는 모든 대 상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토대로 연령대별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