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시의 두 가지 양상에 대한 연구 - 반 고흐 전시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5
The mankind of today communicates with the world by a mobile adhered to them. By challenging the area of God with an intelligent robot, how do they meet Gogh?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is in two kinds of view point. One is an enjoyment of art by traditional method. That includes watching the exhibition in the museum or visiting the relics where the history of artists is preserved. That is, a kind of art pilgrimage that watches the original works exhibited in Orsay Museum or visiting Auvers sur Oise who left behind works despite of hard situation who suffered from the terrible loneliness and finally killed himself. Another one is a digitally interpreted and expressed art, which is a multimedia show. This attracts people to the state of immersion beyond the aura of the original work sometimes. As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s for Gogh, there are ' 「Gauguin – Van Gogh, the Artists of Colors」 by 'the Quarry of Lights' and ‘Van Gogh Inside’ held in the old Seoul Station. The former is the case that attempted the new multimedia video exhibition in 2012 for the old quarry of Les Beaux de Provence in the southern region of France and handled two art masters ‘Gauguin and Gogh’ as the theme of special exhibition. This quarry holds the special exhibition that exhibits the works of new artists every year and invites people to the grotesque rock cave. It is attributable to the artistic evaluation and attraction and his phase in art history that Gogh has, but eventually to the fact that they consider that this is the surest method that guarantees the big success. Thanks to that, people now can enjoy Gogh and his art works in the stage of immersion without spending too much cost and time. 신체의 일부처럼 밀착된 모바일 기기로 세계와 소통하고, 인공지능 로봇으로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오늘날의 인류는 반 고흐를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본고는 이 점에 대해서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보았다. 하나는 아날로그적 예술 향유로, 오르세뮤지엄에 전시된 원작을 보는 것과 지독한 외로움에시달려 결국은 자살에 이른 장소인 오베르 쉬르 우아즈(Auvers-Sur-Oise)를 방문하는 일종의 예술 성지 순례이다. 다른 하나는 디지털로 해석되고 표현된 예술로, 멀티미디어영상전시이다. 이것은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공감각적 몰입형 전시이다. 고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콘텐츠의 사례로는 ‘빛의 채석장’의《고갱(Gauguin) – 반 고흐(Van Gogh), 색채의 화가들》과 구(舊)서울역사에서 진행된 《반 고흐인사이드-빛과 음악의 축제》를 들 수 있다. 전자는 프랑스 남부의 레 보 드 프로방스(Les Beaux de Provence)의 오래된 채석장이 2012년 새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영상전시를 시도하면서 ‘고갱과 고흐’ 라는 거장을 기획전시의 테마로 삼은 경우이다. 이 채석장은 해마다 새로운 예술가의 작품을 다루는기획전시를 열면서 기괴한 암석 동굴로 대중을 초대한다. 한편, 후자인《반 고흐 인사이드-빛과 음악의 축제》는 우리나라에서 펼쳐진 멀티미디어영상전시이다. 2016년 1월8일에서 4월17일까지 진행된 이 전시의 첫 번째 장소는‘문화역서울284’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구(舊)서울역사이다. 몰입형 전시의 공감각적 체험은 원작의 감동과는 또 다른 매력으로 대중에게 다가왔다. 그렇다면 이러한 몰입형 전시에 매료된 대중은 원작의 감동을 외면할 것인가? 아니면 몰입형 전시로 인해 감동을 받은 대중이 고전적인 예술 향유를 위한 긴 여정을 떠날 것인가? 아마도 양자는 서로 견제하고 보완하면서 새로운 방식의 예술 향유문화를 도출하여 낼 것이다.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디의 세계적인 산지인 프랑스 코냑(Cognac)에 위치한 코냑 에코뮤지엄에 대해서 조사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코냑 에코뮤지엄은 포도 재배, 브랜디의 생산, 제품 관리 및 홍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보여주는 농촌의 지역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사례이다. 코냑의 미그론(Migron) 마을의 북쪽에는 테스론(Tesseron)가(家)의 유산이자 지역의 유산인 포도 원과 코냑 에코뮤지엄이 있다. 이곳에는 1850년 이래로 시작된 테스론 가의 포도 양조장의 역사, 가족과 지역의 역사가 담겨있으며, 코냑의 역사도 전시되고 있다. 방문객은 에코뮤지엄을 방문하고 관람하는 동안 코냑지역의 브랜디 생산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고, 포도 농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증류 과정에 대한 설명도 듣고, 숙성 과정에 따른 색의 변화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이처럼 코냑 에코뮤지엄은 코냑 지역의 포도농사 전통과 지역민의 삶, 생업, 농사 과정, 지역 특산물 코냑의 생산 과정 등을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문화체험공간이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식품명인을 활용한 에코뮤지엄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식품 명인은 현재 68호까지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의 농산물을 상품화하여 지역의 브랜 드 가치를 높이는 일을 하고 있다. 전통 기법을 보존하면서 생산된 상품은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자원이다. 또한 식품명인 자체가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원이다. 이들이 에코뮤지엄의 철학을 수용하 여 스스로 자신의 역사를 소중히 여기고 이를 간직하려는 노력과 자긍심을 갖고 방문객에게 자신 을 개방한다면 농업과 전통기술을 기반으로 한 에코뮤지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Seoul, the origin of Korean Wave(Hallu) is the historic and cultural city built on the site of the 500-year history of Hanyang in Chosun Dynasty. However, the city has been busy due to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based on economic logic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historic environment. Seoul has been developing the region with the logic of being underdeveloped if it is not construction. This study surveyed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Donhwamun-ro still neglected even if Changdeokgung Palace and Jongmyo, selected as the world cultural heritages of UNESCO, are located near and also analyzed the activity of Donhwamun Village Museum which is the local cultural activities led by resident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this area. The execution progress of this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ideal of ecomuseum of Gerard Corsan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what the village museum pursued is that they tried to boo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ay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cord the living of the residents from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time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mained environment in this area, and it encouraged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each site which was matched with the ideal of ecomuseum. The significance of Donhwamun Village Museum is not to freeze the culture of this area just in Chosun Dynasty but focused on the continuity of all the time from the modern times to the contemporary times and prospect the future. 한류의 근원지 서울은 조선의 한양이라는 오백년 역사를 간직한 터전 위에 건설된 역사문화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환경의 보존이나 계승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경제 논리에 입각한 개발과 현대화로 인하여 분주하였다. 서울은 그동안 건설이 아니면 낙후라는 논리로 지역을 개발하여왔다.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과 종묘가 인접한 곳이나 아직도 방치되어 있는 돈화문로의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주민주도의 지역문화 운동인《돈화문마을박물관》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실행과정을 제라드 코세인(Gerard Corsane)의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을박물관이 추구한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고, 무형문화유산을 보존과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조선시대로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주민들의 삶, 이곳에 남아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기록하려고 노력한 점과 각 사이트의 역사와 활동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주민의 참여를 독려한 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부합함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돈화문마을박물관》은 이 지역의 문화를 조선시대에 동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모든 시간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 『어머니의 고향 노래』 사례를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9
The study focuses on intactly displaying the planning process undertaken by the exhibition manager. For instance, 「Mothers Song of Hometown」 exhibition is revealed: criticism toward assimilationism and search for mutual understanding. Based upon research on culinary culture of seven multi cultural countries of East Asian region, various foods containing stories were carefully selected. Each selection of food was reproduced and sorted according to country of origin for display. Along the proces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linary culture as well as each selected menu were studied. An education program was run for seven days as part of the exhibition, where each day, a recipe from one particular country was selected to offer a cooking class to visitors. Traditional cuisine i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shared beyond geographical boundaries and epoch. In the process of trying traditional recipes of various countries, tasting new foods, and discovering profound stories behind each of them,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cross cultures could be observed. 현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사회에 다문화는 당면한 문제이며 풀어 나가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동화주의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물관 전시와 교육에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비판적 시작을 갖고 떡박물관의 다문화 이해하기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전시 기획자의 전시연구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전시의 배경에서는 『어머니의 고향노래』전시를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동화주의에 대한 비판이며 상호이해로 가기 위한 모색임을 밝혔다. 전시내용은 동아시아의 다문화 국가 7개국에 대한 식문화 조사를 토대로 이야기가 있는 음식을 선별하고 이를 재현하여 국가별로 모아 전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 각국의 음식문화 특징과 각 메뉴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전시와 연계된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7일간 이루어졌는데, 하루에 한 국가의 음식 만들기를 한 후에 마인드맵을 그려서 자신이 체험한 음식을 통하여 느낀 그 나라의 이미지를 정리하였다. 각국의 전통음식은 시대와 국경을 넘어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다른 나라의 음식 만들기를 하고 나서 시식을 하고, 음식에 얽힌 이야기를 알게 되는 과정에 서로 다른 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면서 교류할 수 있었다. 본 전시의 한계점은 준비 기간이 짧았고 교육적인 설계가 치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다. 향후에는 이룰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박물관에 있어서 다문화는 일정한 국가에 한정되어 매우 일회적이고 단기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박물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국제교류전이 다문화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학습과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한다면 진정으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인류와 인류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향민문화축제에 나타난 한국전쟁과 분단 그리고 실향의 기억
배은석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7
The Korean War has produced a lot of ravages and it is still continuing the tragedy of a new phase of truce and division. In recent days, North Korea's provocative threat and US confrontation have been reported in broadcasting. Our intention to maintai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being discussed by neighboring countries rather than the will of the parties. At this point, we need to review what the Korean War left us. The people of Abai village in Cheongho-dong, a displaced persons‘ village in Sokcho, are a diasporic community of Korean war, displacement, division and disunity. They have lived in the sand dunes to survive only, and now they are showing their culture, gesturing to the whole of the displaced and pledging to unify. It is the hosting of a culture festival for the displaced people. The scene includes memories of displaced people, folk songs in North Korea, sadness of the war, photos of the hometown mountain scenery that has been left, and various forms of cultural contents. This paper intends to study Cheongho - dong Abai Village and the residents' cultural festival as a displaced community.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cultural heritage that can not be neglected, such as Bukchong lion play and the "Finding of a Family with Disabilities" exhibi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in the "Pop Songs at that time", I discovered that the tragedy of war was sublimated into a popular art of pop songs and comforted the people. Now, more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and the memory of war has become fading with time. But the crucial thing that we must recognize is that it is not a painful history of war. We exist in the context of an unfinished war, a truce. Just as Pop Songs has comforted the whole people in the situation of war, the power of cultural contents is transmitted beyond the ag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aces left behind by the war and to embody it as cultural contents. The displaced persons who settled in Sokcho express the pain of war and their cultural heritage through festivals. In this respect, cultural contents of diverse genre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cultural prototype possessed by the disappeared culture festival.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nd complex trials are necessary. 한국전쟁은 한국의 현대사를 파편으로 만들고 휴전과 분단이라는 새로운 국면의비극을 양산하였다. 최근에는 연일 북한의 도발 위협과 미국의 맞대응이 기사화되고있으며,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려는 우리의 의도는 당사자의 의지보다는 주변국들에 의해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점에 다시 한 번 한국전쟁이 우리에게무엇을 남겼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속초에는 전쟁이 남긴 상처를 보듬어 삶을 개척한 사람들이 만든 청호동 아바이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전쟁과 실향, 분단과 이산을 품은 공동체이다. 그들은 오로지생존하기 위하여 모래 둔덕을 일구어 살아왔으며, 이제 그들의 문화를 펼쳐 보이면서실향민 전체를 보듬어 안고 통일을 기약하려는 몸짓을 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실향민문화축제의 개최이다. 그 현장에는 실향민의 기억, 북한지역의 민속, 전쟁의아픔을 노래한 가요, 두고 온 고향 산천 사진 등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로구현되고 있다. 본고는 실향민 공동체로서 청호동 아바이마을과 실향민문화축제를연구하였다. 그 과정에 전쟁이 낳은 비극이 가요라는 대중예술로 승화되어 민중을위로하였고, 기억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속초에 뿌리내린 북청사자놀음, <이산가족 찾기 사진 영상 전시회> 등 결코 소홀히 대할 수 없는 중요한문화유산들이 내재되어있다는 것을 조사하였다. 이제 분단 이후 60여년의 세월이 지났고 전쟁의 기억도 세월에 따라 희미해지고있다. 그러나 우리가 인식해야 하는 중대한 사항은 전쟁이 지나간 시절의 아픈 역사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즉 휴전의 상황에서 존재하고 있다. 전쟁의 상황에서 가요가 전 국민을 위로하였던 것처럼 문화콘텐츠의 힘은시대를 넘어 전해진다. 이제 좀 더 냉정하게 전쟁이 남긴 흔적들을 검토하고 이를문화콘텐츠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 속초에 정착한 실향민들은 전쟁의 아픔과 자신들이 보유한 기억을 축제를 통하여 표출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실향민문화축제가보유한 문화원형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가발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제 간 연구와 융복합적 시도가 필요다고 판단된다.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This study aims to take a view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based onthe history of urban Hanok area in Ikseon-dong considering it’s problem. Ikseon-dong Hanok Village is a Hanok museum itself. It is told to bestandardized but the colors and textures of the bricks are all different andeach house has its own characters, and there are historic alleys in thevillag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 to achievedevelopment of the region by conserving the Hanoks and the alleys. Ikseon-dong Hanok Village can be the central museum and surroundingareas such as the Changdeok Palace, Jongmyo Shrine, Unhyeon Palace,Museum of Korean Art, Tteok Museum, Choonwondang Museum of KoreanMedicine, Myo-dong jewelry shopping district, and Nagwon InstrumentArcade can be set as satellite museums, designing the entire district as amuseum. When the residents’ awareness are brought upon through various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symposiums, research societies, reminiscencespeaking contests, field trips, lectures, and treasure hunts after excavatingthese sites, Hanok Village will not be sacrificed in the name of developmentanymore and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sidents’ abilities topropagate while preserving the region. 도시 역사 유적지의 개발과 보존의 양극에서 진정 지역을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것이 무엇인가? 시간의 켜와 오래된 삶의 양식이 남아있는 역사 도시 서울이 발전하기 위하여 대규모 철거와 대단위 개발은 필수불가결한 발전의 방식이라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거대자본이 밀고 온 개발 앞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은 삶의 터전을 잃고 다시 정착할 곳을 찾아 떠나게 된다. 서울의 중심부 종로 한 가운데 도시형한옥지구가 방치된 상태로 허물어져가고 있다면, 그리고 그 한옥마을 안에서 평생을 살아온 주민들이 아직도 생존해 있다면 이 곳을 철거하고 현대식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것은 올바른 선택인가?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고민하면서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지구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지역의 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에코뮤지엄의 이론을 익선동 한옥 밀집지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에코뮤지엄은 지역,유산,집단의 기억,자연, 지역의 정체성, 건축물, 전통, 연장자, 경관, 문화자원을 소장품으로 하여 지역의 사이트(site)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민은 에코뮤지엄의 주체로서 스스로 지역의 유산을 발굴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지역의 전문가로서 소양을 축적시켜 나가는 과정에 지역의 정체성과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지역을 찾는 방문객 역시 지역의 자원을 탐색하고 알아가는 과정에 에코뮤지엄의 일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핵박물관으로 하고 주변의 창덕궁, 종묘, 운현궁, 한국미술박물관, 떡박물관, 춘원당한방박물관, 귀금속상가, 낙원악기상가를 사이트로 하여 지역전체를 박물관으로 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를 발굴하여 전시회, 심포지엄, 연구회, 추억 말하기 대회, 견학회, 강연회, 보물찾기 대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주민의 의식을 깨운다면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 지구는 더 이상 개발의 논리에 희생되지 않고 지역을 보존하면서 주민 스스로 자생력을 갖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신박물관으로서 프랑스 보르도 ‘와인의 도시’에 대한 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2
Bordeaux in France constructed a ‘New Museum’ named ‘City of Wine’ by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is region, viticulture and wine-making method. ‘City of Wine’ proclaimed that Bordeaux is the center of the human wine culture while inviting the world citizens to wine culture. The assertion that this place, which doesn’t possess even a piece of relics, is a New Museum, might be acceptable because the New Museum is proving that wine i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demonstrating the history of wine, which has been with human history such a long time, through the plentiful, delicate immersive exhibition. ‘City of Wine’, as a smart museum led by a smart docent, is in possession of 19 immersive permanent exhibition space. Immersion is divided into perceptual immersion by a technical device and psychological immersion which a user oneself comes to have spontaneously without a technical device, and it is when these two form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mmersion rises to a crescendo. This study is intending to look into the exhibition process which induces perceptual immersion by a technical device, that is to say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to finally reach psychological immers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have a discussion about a smart museum which leads viewers into such immersion as well. A smart museum provides the environment inducing a viewer’s cognitiv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grated action of all technologies at this place. In such an environment, a viewer finally becomes one of the curators pioneering a museum exhibition by participating in a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a viewer changes from a level of a spectator to an explorer, a discover, a contributor and a curator.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nts in ‘City of Wine’ and its various activities, but took note of the interactive exhibition embodied by 19 immersive exhibition space. Also,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immersion of this space, through which to discover implications. 프랑스의 보르도는 지역의 무형문화유산인 포도 재배법과 와인 양조법을 보존하고 계승하여 ‘와인의 도시’라는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을 건설하고, 보르도가 인류와인문화의 중심임을 선포한다. 단 한 점의 유물도 보유하지 않은 이곳이 신박물관임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유구한 세월동안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와인의 역사를 풍부하고 섬세한 몰입형 전시를 통하여 와인이 인류의 중요 무형문화유산임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와인의 도시’는 스마트 도슨트가 이끄는 스마트 박물관으로서 19개의 몰입형 상설전시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몰입은 기술적 장치에 의한 지각적 몰입과 기술 장치 없이 이용자 스스로 자발적으로 갖게 되는 심리적 몰입으로 나뉘는데 몰입이 최고조에 달하는 것은 이 두 형태가 결합될 때이다. 본고에서는 기술적 장치에 의한 지각적 몰입 즉, 가상현실로의 몰입이 마침내 심리적 몰입에 다다르도록 이끄는 전시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몰입에 이르도록 이끄는 스마트 박물관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스마트 박물관은 모든 테크놀로지가 한 자리에서 다 같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관람객의 인지적, 사회적, 감성적 발전을 이끄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관람객은 단순한 관람객의 차원에서 탐험가, 체험자, 발견자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박물관의 전시에 참여하여, 마침내 박물관 전시를 개척하고 이끄는 학예사 가운데 한 명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와인의 도시’에 담긴 내용과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되, 19개의 몰입형 상설전시 공간이 구현하는 상호작용성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공간이 갖는 몰입의 다양한 면모를 고찰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제 박물관 전문가들은 신박물관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모색해야할 시점이다.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활동-속초시립박물관을 중심으로-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identity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the role of a museum which contributes to the transmission of their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and to take a view of the community’s future. To this end, the Abai Village and the Sokcho Museum located at Cheongho-dong, Sokcho, Gangwon-do Province is explored as its main research target, and the historical, contemporary context of the community is looked into from the perspective of ecomuseology. Besides,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is examined how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eople’s memories about evacuation and settlement. At present, it is not easy to find the activities of museums working on the displaced in Korea, and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northern regions before the national divis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would be very significant to expand the ground of cultural studies. Now, a museum faces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it should develop more subdivided, in-depth programs, apart from the functions of collecting, managing, preserving, surveying, researching, exhibiting and educating intangible and tangible heritages of mankind, and that it should present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s. The magnified role of a museum in handling socio-cultural problems, which cannot be possibly solved through political, or economic logic, is attributable to manifestation of a new museum movement, and its practical efforts. A museum in modern times has begun to transform itself through its acceptance of a challenge in order to portray diverse social needs while showing the tendency to get involved in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a little more aggressively. Sometimes it heals the wounds of a local community and carries out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The Sokcho Museum displays the life of displaced people in a permanent exhibition of ‘A Refugee Culture: Folklore & Mingling Culture of Sokcho People’. In addition, the museum makes many efforts to preserve and pass down the culture of the displaced while operating Displaced Civilians Folk Village as an outdoor exhibition area, and performing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The museum has also conducted out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first-generation displaced people. In collaboration with the Sokcho Municipal Art Company, it has preserved and re-created the archetypes of intangible heritage in the North Korean regions such as Bukcheong Sajanoreum. The museum provides regular performance programs continuously for the general public. Besides, the museum carries on substantive planning and projects, playing an intermediate role in 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Sokcho-si in enjoying their cultural festivals. In the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 community and museum, Sokcho-si, the community, and the Sokcho Museum show an inter-connected structure.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assumes an element of a core museum which acts as a base for an ecomuseum while transmitt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to the next generations, and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 본고는 실향민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유형·무형유산의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서 성찰하고 실향민공동체의 미래를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대상은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의 아바이마을과 속초시립박물관이며,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실향민공동체의 역사적 및 동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아울러 실향민 문화와 기억의 보전과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 활동을 조사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실향민을 주제로 한 박물관 활동은 극히 드문 상황이고 분단 이전의 전통적인 북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박물관은 인류의 무형과 유형의 유산을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 교육의 기능 이외에도 더 세분화되고 심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의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 정치나 경제 논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 문제에 대해서 박물관의 역할이 부각된 것은 새로운 박물관 운동의 발현과 실천적 노력에 기인한다. 현대의 박물관은 좀 더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에 관여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변모하기 시작한다. 박물관이 지역공동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사회 통합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소수민족의 보호에 관여하기도 한다. 속초시립박물관은 상설전시장에 ‘피난민문화: 속초인의 민속. 어울림의 문화’를 전시하여 대중에게 실향민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야외 전시장으로 실향민문화촌을 운영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실향민문화를 보전, 전승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1세대 실향민의 기억을 수집하고 이를 채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속초시립예술단의 활동을 통하여 북청사자놀음 등 북한지역의 무형유산의 원형보존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무형문화유산을 재창조하고 대중공연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여 상설 공연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실향민문화축제를 향유하는데 있어서 실향민공동체와 속초시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하면서 실질적인 기획과 진행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과 공동체, 박물관의 관계에 있어서 속초, 실향민공동체, 속초시립박물관은 서로 연계하는 구조를 보인다. 속초시립박물관의 활동은 공동체의 유무형의 유산을 전승하면서 환경에 기여하며 에코뮤지엄의 거점 역할을 하는 중핵박물관의 요소를 보인다.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배은석,이창훈 한국박물관학회 2018 博物館學報 Vol.- No.35
This study investigated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has opened a museum and operates related activiti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d the public.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was opened in 2014, is the name of a museum in ‘Bois de Boulogne’ in Paris that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company established.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faced difficulties such as objection of protection group of ‘Jardin d’Acclimatation’ located in the Bois de Boulogne or legal limitation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opening. However, the building could be completed thanks to the pushing power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which sticked their neck out in order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o create a space which will exhibit major works of art for national benefits and the whole world and the cooperation of Paris city. The museum building thus created wa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it will belong to Paris city 55years later. Foundation Louis Vuitton meets the public through new exhibitions every year and has been steadily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by steadily implementing culture and art programs since the opening the museum.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ndation does not conduct activities just aiming for the museum that exists for the promotion of the company. The museum team makes efforts for new creations cooperating with artists with sincerity. Exhibitions, such as Sergei Shchukin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Pushkin Museum.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onnected with MoMA in the US, an exhibition that invited African artists to show current South Africa, and a photo exhibition of Louis Vuitton shops taken with Louis Vuitton masters, demonstrate the competence of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establishes its own domain making a bold new attempts.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and activities thereby as a method with which companies contribute to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oves of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unfolds new adventures by collecting the greatest writers of the day and collaborating them contributes to securing trust for their parent company even though they are not promoting their parent company direc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keeps developing such activiti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more various channels, thereby settling down as a real culture and art platform. 본고는 기업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박물관을 개관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을 살펴보았다. 2014년 개관한 루이뷔통재단은 파리 불로뉴 숲에 위치한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기업이 설립한 박물관의 명칭이다. 박물관 준비위원회는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 불로뉴 숲에 위치한 아클리마타시옹 공원보호단체의 반대, 법률적인 제한 등 직면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국익과 전 세계를 위한 주요 예술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모험을 감수한 준비위원회의 추진력과 파리시의 협조가 있었기에 건물 완공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박물관의 건물은 55년 후에는 파리시에 귀속되어 파리시의 자산이 된다는 조건으로 재단은 박물관을 설립한다. 루이뷔통재단은 해마다 새로운 전시를 통하여 대중을 만나고 있으며 개관 이후 꾸준하게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들의 활동이 단순히 기업의 홍보를 위해서 존재하는 박물관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박물관 팀은 진정성을 갖고 예술가들과 협업하면서 새로운 창조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의 에르미타주박물관, 푸시킨박물관과 연계한 세르게이 슈킨 콜렉션 전시, 미국의 MoMA와 연계한 현대미술전시, 아프리카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현대의 남아프리카를 보여주고자 한 전시, 루이뷔통 장인들과 매장을 촬영한 사진전 등은 새로운 시도를 과감하게 시행하면서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이 진정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방법으로서 박물관 건립과 활동에 대해서 성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모으고 그들과 협업하면서 모험을 전개하는 루이뷔통재단의 행보는 그들이 직접적으로 모기업을 홍보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런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좀 더 다채로운 채널로 대중과 소통할 수 있고, 진정한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에코뮤지엄을 표방한 마을 박물관의 실험적 시도 - 서울《익선동 마을박물관》을 중심으로 -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를 기 록하는 것과 본 프로젝트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피는데 있다. 하여 향후 한국에 적용 가능한 에코 뮤지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초석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익선동 166번지 도시형한옥마을 일대와 주변의 문 화자원을 범위로 진행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근대의 기억을 간직한 도시형한옥과 익선동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고자 주민들의 생업 공간을 개방 하여 진행하였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 도시 형한옥이 생성될 무렵인 근대의 기억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다행히 한옥과 골목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었기에 미약하게나마 익선동에 남아있는 도시형한옥, 문학, 국악에 관한 근대의 기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방과 전쟁의 시기가 지나고 익선동은 오진암을 비롯한 요정문화를 꽃 피우면서 요정 정치의 중심에 선다. 요정정치의 몰락 이후 개발과 보전의 기로에 선 현재 익선동에 대해서도 고민 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발굴, 고민을 전시에 담아내려고 했으며 그 과정을 주민과 함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실험에 대한 기록이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개발과 보존의 논쟁과 싸움 가운데서 완성되지 못한 연구와 조사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앞으로도 생겨날 도시 안의 마을박물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또한 마을 박물관이 어느 누구의 욕심이나 자랑으로 채워지지 않고 지역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비추어보는 거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