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배은석,이창훈 한국박물관학회 2018 博物館學報 Vol.- No.35

        This study investigated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has opened a museum and operates related activiti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d the public.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was opened in 2014, is the name of a museum in ‘Bois de Boulogne’ in Paris that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company established.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faced difficulties such as objection of protection group of ‘Jardin d’Acclimatation’ located in the Bois de Boulogne or legal limitation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opening. However, the building could be completed thanks to the pushing power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which sticked their neck out in order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o create a space which will exhibit major works of art for national benefits and the whole world and the cooperation of Paris city. The museum building thus created wa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it will belong to Paris city 55years later. Foundation Louis Vuitton meets the public through new exhibitions every year and has been steadily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by steadily implementing culture and art programs since the opening the museum.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ndation does not conduct activities just aiming for the museum that exists for the promotion of the company. The museum team makes efforts for new creations cooperating with artists with sincerity. Exhibitions, such as Sergei Shchukin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Pushkin Museum.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onnected with MoMA in the US, an exhibition that invited African artists to show current South Africa, and a photo exhibition of Louis Vuitton shops taken with Louis Vuitton masters, demonstrate the competence of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establishes its own domain making a bold new attempts.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and activities thereby as a method with which companies contribute to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oves of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unfolds new adventures by collecting the greatest writers of the day and collaborating them contributes to securing trust for their parent company even though they are not promoting their parent company direc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keeps developing such activiti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more various channels, thereby settling down as a real culture and art platform. 본고는 기업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박물관을 개관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을 살펴보았다. 2014년 개관한 루이뷔통재단은 파리 불로뉴 숲에 위치한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기업이 설립한 박물관의 명칭이다. 박물관 준비위원회는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 불로뉴 숲에 위치한 아클리마타시옹 공원보호단체의 반대, 법률적인 제한 등 직면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국익과 전 세계를 위한 주요 예술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모험을 감수한 준비위원회의 추진력과 파리시의 협조가 있었기에 건물 완공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박물관의 건물은 55년 후에는 파리시에 귀속되어 파리시의 자산이 된다는 조건으로 재단은 박물관을 설립한다. 루이뷔통재단은 해마다 새로운 전시를 통하여 대중을 만나고 있으며 개관 이후 꾸준하게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들의 활동이 단순히 기업의 홍보를 위해서 존재하는 박물관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박물관 팀은 진정성을 갖고 예술가들과 협업하면서 새로운 창조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의 에르미타주박물관, 푸시킨박물관과 연계한 세르게이 슈킨 콜렉션 전시, 미국의 MoMA와 연계한 현대미술전시, 아프리카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현대의 남아프리카를 보여주고자 한 전시, 루이뷔통 장인들과 매장을 촬영한 사진전 등은 새로운 시도를 과감하게 시행하면서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이 진정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방법으로서 박물관 건립과 활동에 대해서 성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모으고 그들과 협업하면서 모험을 전개하는 루이뷔통재단의 행보는 그들이 직접적으로 모기업을 홍보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런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좀 더 다채로운 채널로 대중과 소통할 수 있고, 진정한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1인가구 주민의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배은석,박상미,박해긍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2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need for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each age group to respond to their sense of social isolation as single-person households expanded to social problems of all age groups unlike in the past.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of 419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older residing in Haeundae-gu on factors affecting the feeling of isol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a result of examining this by generation,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young people.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middle-aged group, and age,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elderly. The variable that explains social isolation the most in all generations was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affect social isolation in all target groups. This study prov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can be different for each gener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strategies for resolving social isolation by each generation. 본 연구는 1인가구가 과거와 달리 전 연령대의 사회적 문제로 확대됨에 따 라 이들의 사회적 고립감에 대응하기 위한 연령대별 차별화 전략 수립을 위 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1인가구 4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연구 목적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 석을 통해 연령대 각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에서는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장년층에서는 삶의 만족과 사 회참여활동,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고, 노인층에서는 연령, 혼자거주기 간,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다. 모든 세대에서 사회적 고립감 을 가장 크게 설명하는 변수는 삶의 만족이었고, 디지털 리터러시는 모든 대 상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토대로 연령대별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을 표방한 마을 박물관의 실험적 시도 - 서울《익선동 마을박물관》을 중심으로 -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적용하여 익선동 도시형한옥마을의 지역자원을 활용하 는 방안으로서 실시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굴한 지역의 역사를 기 록하는 것과 본 프로젝트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피는데 있다. 하여 향후 한국에 적용 가능한 에코 뮤지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초석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익선동 166번지 도시형한옥마을 일대와 주변의 문 화자원을 범위로 진행된 《익선동 마을박물관》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근대의 기억을 간직한 도시형한옥과 익선동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고자 주민들의 생업 공간을 개방 하여 진행하였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 도시 형한옥이 생성될 무렵인 근대의 기억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다행히 한옥과 골목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었기에 미약하게나마 익선동에 남아있는 도시형한옥, 문학, 국악에 관한 근대의 기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방과 전쟁의 시기가 지나고 익선동은 오진암을 비롯한 요정문화를 꽃 피우면서 요정 정치의 중심에 선다. 요정정치의 몰락 이후 개발과 보전의 기로에 선 현재 익선동에 대해서도 고민 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발굴, 고민을 전시에 담아내려고 했으며 그 과정을 주민과 함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실험에 대한 기록이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개발과 보존의 논쟁과 싸움 가운데서 완성되지 못한 연구와 조사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앞으로도 생겨날 도시 안의 마을박물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또한 마을 박물관이 어느 누구의 욕심이나 자랑으로 채워지지 않고 지역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비추어보는 거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후보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디의 세계적인 산지인 프랑스 코냑(Cognac)에 위치한 코냑 에코뮤지엄에 대해서 조사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코냑 에코뮤지엄은 포도 재배, 브랜디의 생산, 제품 관리 및 홍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보여주는 농촌의 지역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사례이다. 코냑의 미그론(Migron) 마을의 북쪽에는 테스론(Tesseron)가(家)의 유산이자 지역의 유산인 포도 원과 코냑 에코뮤지엄이 있다. 이곳에는 1850년 이래로 시작된 테스론 가의 포도 양조장의 역사, 가족과 지역의 역사가 담겨있으며, 코냑의 역사도 전시되고 있다. 방문객은 에코뮤지엄을 방문하고 관람하는 동안 코냑지역의 브랜디 생산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고, 포도 농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증류 과정에 대한 설명도 듣고, 숙성 과정에 따른 색의 변화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이처럼 코냑 에코뮤지엄은 코냑 지역의 포도농사 전통과 지역민의 삶, 생업, 농사 과정, 지역 특산물 코냑의 생산 과정 등을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문화체험공간이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식품명인을 활용한 에코뮤지엄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식품 명인은 현재 68호까지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의 농산물을 상품화하여 지역의 브랜 드 가치를 높이는 일을 하고 있다. 전통 기법을 보존하면서 생산된 상품은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자원이다. 또한 식품명인 자체가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원이다. 이들이 에코뮤지엄의 철학을 수용하 여 스스로 자신의 역사를 소중히 여기고 이를 간직하려는 노력과 자긍심을 갖고 방문객에게 자신 을 개방한다면 농업과 전통기술을 기반으로 한 에코뮤지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입각한 ≪돈화문마을박물관≫의 의의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Seoul, the origin of Korean Wave(Hallu) is the historic and cultural city built on the site of the 500-year history of Hanyang in Chosun Dynasty. However, the city has been busy due to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based on economic logic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historic environment. Seoul has been developing the region with the logic of being underdeveloped if it is not construction. This study surveyed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Donhwamun-ro still neglected even if Changdeokgung Palace and Jongmyo, selected as the world cultural heritages of UNESCO, are located near and also analyzed the activity of Donhwamun Village Museum which is the local cultural activities led by resident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this area. The execution progress of this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ideal of ecomuseum of Gerard Corsan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what the village museum pursued is that they tried to boo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ay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cord the living of the residents from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time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mained environment in this area, and it encouraged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each site which was matched with the ideal of ecomuseum. The significance of Donhwamun Village Museum is not to freeze the culture of this area just in Chosun Dynasty but focused on the continuity of all the time from the modern times to the contemporary times and prospect the future. 한류의 근원지 서울은 조선의 한양이라는 오백년 역사를 간직한 터전 위에 건설된 역사문화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환경의 보존이나 계승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경제 논리에 입각한 개발과 현대화로 인하여 분주하였다. 서울은 그동안 건설이 아니면 낙후라는 논리로 지역을 개발하여왔다.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과 종묘가 인접한 곳이나 아직도 방치되어 있는 돈화문로의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주민주도의 지역문화 운동인《돈화문마을박물관》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실행과정을 제라드 코세인(Gerard Corsane)의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을박물관이 추구한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고, 무형문화유산을 보존과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조선시대로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주민들의 삶, 이곳에 남아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기록하려고 노력한 점과 각 사이트의 역사와 활동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주민의 참여를 독려한 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부합함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돈화문마을박물관》은 이 지역의 문화를 조선시대에 동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모든 시간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 『어머니의 고향 노래』 사례를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9

        The study focuses on intactly displaying the planning process undertaken by the exhibition manager. For instance, 「Mothers Song of Hometown」 exhibition is revealed: criticism toward assimilationism and search for mutual understanding. Based upon research on culinary culture of seven multi cultural countries of East Asian region, various foods containing stories were carefully selected. Each selection of food was reproduced and sorted according to country of origin for display. Along the proces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linary culture as well as each selected menu were studied. An education program was run for seven days as part of the exhibition, where each day, a recipe from one particular country was selected to offer a cooking class to visitors. Traditional cuisine i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shared beyond geographical boundaries and epoch. In the process of trying traditional recipes of various countries, tasting new foods, and discovering profound stories behind each of them,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cross cultures could be observed. 현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사회에 다문화는 당면한 문제이며 풀어 나가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동화주의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물관 전시와 교육에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비판적 시작을 갖고 떡박물관의 다문화 이해하기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전시 기획자의 전시연구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전시의 배경에서는 『어머니의 고향노래』전시를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동화주의에 대한 비판이며 상호이해로 가기 위한 모색임을 밝혔다. 전시내용은 동아시아의 다문화 국가 7개국에 대한 식문화 조사를 토대로 이야기가 있는 음식을 선별하고 이를 재현하여 국가별로 모아 전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 각국의 음식문화 특징과 각 메뉴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전시와 연계된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7일간 이루어졌는데, 하루에 한 국가의 음식 만들기를 한 후에 마인드맵을 그려서 자신이 체험한 음식을 통하여 느낀 그 나라의 이미지를 정리하였다. 각국의 전통음식은 시대와 국경을 넘어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다른 나라의 음식 만들기를 하고 나서 시식을 하고, 음식에 얽힌 이야기를 알게 되는 과정에 서로 다른 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면서 교류할 수 있었다. 본 전시의 한계점은 준비 기간이 짧았고 교육적인 설계가 치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다. 향후에는 이룰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박물관에 있어서 다문화는 일정한 국가에 한정되어 매우 일회적이고 단기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박물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국제교류전이 다문화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학습과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한다면 진정으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인류와 인류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복지 수요․공급력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방안

        배은석,이기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which are necessary for gap analyses of welfare demand and supply to make regional characteristics be reflected in establishment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and draw implication of plan establishment based on welfare capability of fundamental local governments. For this,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n empirical analysis,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categorization of community was done as AHP survey for selection of the final indicators, order of priority, and the weighing method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discussions, first, as for the implications of the general level,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the main agent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ning of elementary local governments by the existing ones needs to be changed to joint establishment by cooperating with metropolitan governments. Secon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welfare plans by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elementary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adjusted. Third, when teams to establish plans are composed, experts in various fields except welfare need to participate in it. Forth, interest in general social problems and their alternatives need to be reflected in plans. Finally, the plans to establish welfare plans according to approaches by type should draw the plans to establish welfare plans of more detailed and various levels by mixing it with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s(Si, Gun, and Gu) focusing demand pressure and supply capac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지역특성이 구체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복지수요와 공급의 격차 분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에 따른 유형화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복지역량에 기반한 계획 수립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로서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사회 유형화 지표개발은 델파이조사를 통한 최종지표선정과 우선순위 및 가중치 부여를 위한 AHP 조사로 이루어졌다. 세차례에 걸친 전문가 조사를 통해 조이혼율, 의료급여자비율, 수급자비율등을 포함한 복지수요력지표 20개, 인구대비자원봉사자수, 사회복지공무원1인당 주민수, 사회복지예산비율 등을 포함한 복지공급력지표 20개를 선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지표에 따라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8개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복지수요․공급력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 관한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수립주체를 광역자치단체와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립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복지계획 수립의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복지수요․공급력에 따른 계획수립방법과 계획 내용의 논리를 마련하는 것이다. 넷째, 일반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대안을 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유형별 접근에 따른 복지계획 수립 방안은 수요력과 공급력을 중심으로 기존의 시군구단위의 분류와 교차하여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차원의 복지계획 수립방안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This study aims to take a view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based onthe history of urban Hanok area in Ikseon-dong considering it’s problem. Ikseon-dong Hanok Village is a Hanok museum itself. It is told to bestandardized but the colors and textures of the bricks are all different andeach house has its own characters, and there are historic alleys in thevillag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 to achievedevelopment of the region by conserving the Hanoks and the alleys. Ikseon-dong Hanok Village can be the central museum and surroundingareas such as the Changdeok Palace, Jongmyo Shrine, Unhyeon Palace,Museum of Korean Art, Tteok Museum, Choonwondang Museum of KoreanMedicine, Myo-dong jewelry shopping district, and Nagwon InstrumentArcade can be set as satellite museums, designing the entire district as amuseum. When the residents’ awareness are brought upon through various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symposiums, research societies, reminiscencespeaking contests, field trips, lectures, and treasure hunts after excavatingthese sites, Hanok Village will not be sacrificed in the name of developmentanymore and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sidents’ abilities topropagate while preserving the region. 도시 역사 유적지의 개발과 보존의 양극에서 진정 지역을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것이 무엇인가? 시간의 켜와 오래된 삶의 양식이 남아있는 역사 도시 서울이 발전하기 위하여 대규모 철거와 대단위 개발은 필수불가결한 발전의 방식이라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거대자본이 밀고 온 개발 앞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은 삶의 터전을 잃고 다시 정착할 곳을 찾아 떠나게 된다. 서울의 중심부 종로 한 가운데 도시형한옥지구가 방치된 상태로 허물어져가고 있다면, 그리고 그 한옥마을 안에서 평생을 살아온 주민들이 아직도 생존해 있다면 이 곳을 철거하고 현대식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것은 올바른 선택인가?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고민하면서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지구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지역의 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에코뮤지엄의 이론을 익선동 한옥 밀집지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에코뮤지엄은 지역,유산,집단의 기억,자연, 지역의 정체성, 건축물, 전통, 연장자, 경관, 문화자원을 소장품으로 하여 지역의 사이트(site)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민은 에코뮤지엄의 주체로서 스스로 지역의 유산을 발굴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지역의 전문가로서 소양을 축적시켜 나가는 과정에 지역의 정체성과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지역을 찾는 방문객 역시 지역의 자원을 탐색하고 알아가는 과정에 에코뮤지엄의 일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핵박물관으로 하고 주변의 창덕궁, 종묘, 운현궁, 한국미술박물관, 떡박물관, 춘원당한방박물관, 귀금속상가, 낙원악기상가를 사이트로 하여 지역전체를 박물관으로 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를 발굴하여 전시회, 심포지엄, 연구회, 추억 말하기 대회, 견학회, 강연회, 보물찾기 대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주민의 의식을 깨운다면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 지구는 더 이상 개발의 논리에 희생되지 않고 지역을 보존하면서 주민 스스로 자생력을 갖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활동-속초시립박물관을 중심으로-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identity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the role of a museum which contributes to the transmission of their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and to take a view of the community’s future. To this end, the Abai Village and the Sokcho Museum located at Cheongho-dong, Sokcho, Gangwon-do Province is explored as its main research target, and the historical, contemporary context of the community is looked into from the perspective of ecomuseology. Besides,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is examined how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eople’s memories about evacuation and settlement. At present, it is not easy to find the activities of museums working on the displaced in Korea, and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northern regions before the national divis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would be very significant to expand the ground of cultural studies. Now, a museum faces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it should develop more subdivided, in-depth programs, apart from the functions of collecting, managing, preserving, surveying, researching, exhibiting and educating intangible and tangible heritages of mankind, and that it should present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s. The magnified role of a museum in handling socio-cultural problems, which cannot be possibly solved through political, or economic logic, is attributable to manifestation of a new museum movement, and its practical efforts. A museum in modern times has begun to transform itself through its acceptance of a challenge in order to portray diverse social needs while showing the tendency to get involved in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a little more aggressively. Sometimes it heals the wounds of a local community and carries out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The Sokcho Museum displays the life of displaced people in a permanent exhibition of ‘A Refugee Culture: Folklore & Mingling Culture of Sokcho People’. In addition, the museum makes many efforts to preserve and pass down the culture of the displaced while operating Displaced Civilians Folk Village as an outdoor exhibition area, and performing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The museum has also conducted out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first-generation displaced people. In collaboration with the Sokcho Municipal Art Company, it has preserved and re-created the archetypes of intangible heritage in the North Korean regions such as Bukcheong Sajanoreum. The museum provides regular performance programs continuously for the general public. Besides, the museum carries on substantive planning and projects, playing an intermediate role in 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Sokcho-si in enjoying their cultural festivals. In the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 community and museum, Sokcho-si, the community, and the Sokcho Museum show an inter-connected structure.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assumes an element of a core museum which acts as a base for an ecomuseum while transmitt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to the next generations, and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 본고는 실향민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유형·무형유산의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서 성찰하고 실향민공동체의 미래를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대상은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의 아바이마을과 속초시립박물관이며,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실향민공동체의 역사적 및 동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아울러 실향민 문화와 기억의 보전과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 활동을 조사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실향민을 주제로 한 박물관 활동은 극히 드문 상황이고 분단 이전의 전통적인 북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박물관은 인류의 무형과 유형의 유산을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 교육의 기능 이외에도 더 세분화되고 심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의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 정치나 경제 논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 문제에 대해서 박물관의 역할이 부각된 것은 새로운 박물관 운동의 발현과 실천적 노력에 기인한다. 현대의 박물관은 좀 더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에 관여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변모하기 시작한다. 박물관이 지역공동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사회 통합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소수민족의 보호에 관여하기도 한다. 속초시립박물관은 상설전시장에 ‘피난민문화: 속초인의 민속. 어울림의 문화’를 전시하여 대중에게 실향민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야외 전시장으로 실향민문화촌을 운영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실향민문화를 보전, 전승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1세대 실향민의 기억을 수집하고 이를 채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속초시립예술단의 활동을 통하여 북청사자놀음 등 북한지역의 무형유산의 원형보존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무형문화유산을 재창조하고 대중공연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여 상설 공연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실향민문화축제를 향유하는데 있어서 실향민공동체와 속초시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하면서 실질적인 기획과 진행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과 공동체, 박물관의 관계에 있어서 속초, 실향민공동체, 속초시립박물관은 서로 연계하는 구조를 보인다. 속초시립박물관의 활동은 공동체의 유무형의 유산을 전승하면서 환경에 기여하며 에코뮤지엄의 거점 역할을 하는 중핵박물관의 요소를 보인다.

      • KCI등재

        미식루트를 통한 지역자원 경영에 대한 연구 - 알자스와인가도를 중심으로 -

        배은석,이지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본 연구는 알자스와인가도가 어떻게 지역의 문화를 관광자원으로 만드는 것인가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알자스와인가도는 1953년 처음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랭(Rhin) 평야와 발롱 데 보주(Ballons des Vosges)로 이어지는 수천 년 된 알자스의 포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총 170km에 달한다. 알자스인들은 질곡의 역사를 바탕으로 지역공동체의 역사를 일구었고 이 가운데 와인은 그들의 역사와 삶이 투영된 중요한 미식자원이다. 또한 알자스와인가도를 만들고 여기에 다양한 지역문화자원을 연계한 관광 상품을 만들어 방문객에게 제시하고 있다. 음식과 관광을 접목하는 과정에 자신들의 역사와 종교, 예술적 감수성, 아름다운 경관, 축제, 스포츠 등을 모두 활용하여 방문객이 알자스인들의 삶 속으로 들어오게 초대한다. 특히 알자스 포도원 마라톤은 17개 마을을 지나는 코스이며, 각 마을은 지역에서 생산한 와인과 음식을 준비하여 참가자 모두에게 제공하는데 일종의 마을 축제로 향유된다. 이 축제는 길과 포도원, 지역주민, 와인생산자, 방문객이 모두 참여하여 마을과 마을을 잇는 것으로 그들을 잇는 매개체로 음식과 와인이 활용되어 현실을 떠난 새로운 세계로 인도한다. 그곳에는 아름다운 풍광과 자연이 있으며, 농부들의 열정으로 빚은 와인이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음식과 와인은 알자스의 역사와 열정이 담긴 산물로 지역의 방문자들이 그들과 함께 뛰고 먹고 즐기면서 알자스의 향연에 참여하게 된다. 음식은 다양한 문화의 복합적인 산물이고, 지역의 향토색을 강하게 함축한 정체성의 표현이다. 이방인이 어느 지역을 찾아서 그 지역의 음식을 맛보는 것은 그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먹는 것이고, 그 지역의 문화를 수용하는 것이다. 지역의 향토음식의 유래를 들으면서 향토음식을 맛보거나 만들어보는 기회를 갖는 것은 지역의 찾은 방문객의 가장 큰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알자스인들은 바로 이 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음식에 담아서 표현하고 있다. 알자스와인가도는 방문객이 마을을 찾게 하여 마을 주민을 만나는 접점을 제공하고, 음식과 문화, 예술, 스포츠를 연계한다. 또한 와인을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과 연계하면서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미식 체험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실현함으로써 지역의 특성을 담은 총체적인 미식문화를 구현하여 미식투어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Alsace wine route makes local culture a tourism resource. Alsace Wine Highway started in 1953 and lasts up to now. This highway is composed of thousands of years vineyard connected to Rhin plain and Ballons des Vosges, which reaches total length of 170km. The Alsatians have built a history of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history of vineyards, among which wine is an important gourmet resource whose history and life are projected. Alsace Wine Route is also created and presented to visitors by creating tourist products that link various local cultural resource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food and tourism, visitors are invited to the life of Alsace people by utilizing their history, religion, artistic sensitivity, beautiful scenery, festivals and sports. In particular, Alsace Vineyard Marathon is the course passing 17 villages and each village prepares the wines and foods produced in each region which are provided to all participants.. it's a kind of village festival. This festival allows all of wineyard and people including residents, wine manufacturer, visitor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which connects village to village. As medium to connect those people and villages, foods and wines are used which leads to new world from the reality. There are beautiful scenery and nature and the wine made with passion of farmers there. The foods and wines provided here are the products containing the history and passion of Alsace and the visitors can participate in the festival of Alsace by running, eating and enjoying together with them. Foods are the complicated product of diverse cultures and the expression of identity that implies the local color of that region strongly. When a stranger visits a certain region and tastes the food of that area, it means that he eats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at area and accepts the culture of that area. Taking the opportunity to listen to the history of local food, taste or make it can be the biggest experience for the visitors to this area. The people of Alsace knows this point seriously and expresses their identity in their food. The Alsace Wine Route provides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meet the villagers to find the village, and to connect food, culture, arts and sports. In addition, wine is linked with local history and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s and realizes various gourmet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festival. We are introducing a model of gourmet tour by implementing the overall gourmet culture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