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으로

        방효국,김낙흥,김용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 경험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견해 그리고 영화, 토론 그리고 가정연계활동등 구체적 요구를 파악하여 영화를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위함이다. 방법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 양육과 아버지교육 인식과 경험 그리고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개발 요구를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10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 후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 3곳과 인터넷 설문을 통해서 만 3~5세 유아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67부 중 부정확한13부를 제외한 총 254명의 아버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6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양육 참여 의지가 높지만 시간 부족 등 다양한 어려움을 느끼며 실제 양육 참여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다. 아버지들은 아버지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 참여로 이루어진 비율은낮았다.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오프라인 교육보다 블렌디드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선호했고, 강의나 놀이뿐 아니라 다양한교수방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원했다. 구체적인 교수방법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모두 영화, 아빠토크(토론), 컨설팅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특히 일반적으로 진행되온 강의 다음으로 영화를 보고 성찰하고 공감하는 교수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온라인 교육에서 높았다. 교육 시간은 30분~1시간과 1시간~1시간 30분 등을 주로 원했고 교육 횟수는 평균 4.4회, 교육 시간대는 토요일 오전과 평일 저녁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결론 최근 2~3년간 지속된 COVID-19로 인해 교육/보육기관에서 진행한 아버지교육이 실시되지 못했고, 이에 따라 현재 아버지들의 부모교육 참여 경험은 적었다. 따라서 아버지교육의 안정적인 운영과 접근성 강화가 필요한데, 온라인을 활용한 교육이 이러한상황에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아버지들도 블렌디드 교육 또는 온라인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 아버지들은 기존의 강의 또는놀이 중심의 교육 방식을 넘어 다양한 방법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안 중 하나로 영화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아버지들의 관심이높고 특히 온라인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육을 진행하는 시간대에 대하여 아버지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는 한편시간 자체가 부족한 아버지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 활용, 찾아가는 아버지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참여율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영화를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30-40대 아버지의 가족 건강성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방효국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of origin health on childrearing attitudes in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of fathers in their 30s and 40s. Accordingly, the data of 207 father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K-city, Gyeonggi-do were analyzed. For the data, frequency analysis, Pearson-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Looking at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family healt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ignificant affects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family of origin health and family health. Therefore, if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 family health of fathers is developed and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fathers,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child's family of origin,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 parenting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30-40대 아버지의 가족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재원생 아버지 20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 Bootstrapping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 양육 태도는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 간의 관계에서 가족 건강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아버지의양육 태도에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아버지들의 가족 건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아버지를 위한 정보 전달 등이 이루어진다면 자녀의 원가족 건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양육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것이다.

      • KCI등재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방효국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에듀테크 활용 경험과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에듀테크에 대한 요구에 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추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에듀테크활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은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14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9.0 Window 용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등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에듀테크 활용경험은 수업도구 중 콘텐츠제작도구, 원격수업도구 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 협업도구와 학생지원영역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에듀테크 경험경로는 교수자의 강의가 가장 많았고, 에듀테크의 장점으로 교수-학습의 편의성을 꼽았다. 예비유아교사는 교육현장에서 에듀테크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가장 개발이 요구되는 에듀테크 기술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수업자료 생성이라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에듀테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에듀테크활용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그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edutech utiliz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using edutech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tech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earch method was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 in May 2023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analyze 142 copies excluding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used for SPSS 29.0 Window and statistical processing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chers using edutech was high in content creation tools and remote instructional tools among instructional tools, but low in evaluation, collaboration tools, and overall student support. As for the edutech experience, instructor lecture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 convenience of teaching-learning was cited as the advantage of edutech.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necessity of edutech was generally highly recognized, and the edutech that is most required to be developed was the creation of customized instructional materials using big data. In conclusion, this study drew various implications to understand and suppor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cher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chers about edute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sing edutech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효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pay and satisfaction of pay on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and 2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20 cop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a total of 183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37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unfaithfully. As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26 was used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 total of 27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recognition and actual status of pay, and a tool for measuring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ed by Jorde-Bloom(1989)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ong Yu-jin(1993) was us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for their own career choice because of their self-actualization and love and concern for young children. They perceived the profession as a teacher positively, but perceived that social awareness and treatment were low. In addition, many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urrent level of remuneration was not appropriate,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knew the type of allowance, but they did not know exactly what allowance to rece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job satisfaction, and the teachers group satisfied with the current level of remuneration and the unsatisfied teach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sub-factors such as wage promotion,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This can be interpreted as being satisfied with one's job only when appropriate compensation is provid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actual status of preschool teachers' pay as well as basic data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institutional and national level through the effect of pay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고,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도시 지역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250부를 배부하여 220부가 회수되었다.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7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18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보수 인식 및 실태 설문지는 총 27문항이며, Jorde-Bloom(1989)이 개발한 직무만족도 검사도구를 송유진(1993)이 수정⋅보완한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유아교사는 자신의 진로 선택의 이유로 자아실현과 유아에 대한 사랑 및 관심으로 선택하였으며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사회적 인식 및 대우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현재 보수의 수준은 적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더많았으며, 수당의 종류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받아야 하는 수당을 정확히 알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현재 보수수준에 만족하는 교사집단과 불만족 교사집단은 직무만족 및 하위요인인 보수승진, 근무환경, 원장관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유아교사에게 적정한 보수가 제공된다면 자신의 직무에대해 만족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확인할 뿐만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기관 및 국가수준에서 유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실태와 요구

        방효국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practices, and demand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media literacy. A total of 152 students attending a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quire about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media literacy. First,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media literacy was high overall; in particular,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media use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 literacy statu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than a half of particpants heard of media literacy, but only a small number heard of related training.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training and its utilization in daily life among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received training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mand for revitalizing media literacy education among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high interest in producing teaching media related to media literacy, and the majority respond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f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provided through major subjec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edia. When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is increasingly emphasized, we hope that a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that research will be expand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 교류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의 이론 비교

        방효국(Hyo-kook Bang),이동건(Dong-gun Lee)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Exchange analysis and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start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humans. In an increasingly complex society, individual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importance of the two theories can be felt in terms of counseling as the method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theories in seven aspects. First, the two theories’ view of humanity is rooted in an optimistic and non-deterministic view of humanity and has very similarities in terms of acknowledging human values and dignity. Second, the counseling goal of the two theories is to escape from one’s state and to be aware of one’s state. Third,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es mainly use concepts that analyze self and personality. Fourth, the counseling techniques of the two theories use a clarification technique that can provide an acceptable atmosphere, support it, and specify problems. Fifth, in both theories, counselors play a role in helping clients demonstrate their abilities,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own abilities. Sixth, when comparing the contribution of the two theori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everyone to understand and utilize counseling, which has become a monopoly only for experts.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two theories received opposite criticism points. This summary of Korean literature is prepared to include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aper. 교류 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이론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맺는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 상담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두 이론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을 7가지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 두 이론의 인간관은 낙관적이고 비결정론적인 인간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두 이론의 상담 목표는 자신의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는 것으로 삼고 있다. 셋째, 두 이론의 주요 개념은 자아와 성격을 분석하는 개념을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다. 넷째, 두 이론의 상담기법은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하고, 지지해주며 문제를 구체화할 수 있는 명료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두 이론에서 상담자는 자신의 능력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능력을 발휘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두 이론의 공헌도를 비교하면, 전문가만의 독점물이 되었던 상담을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 번째, 두 이론은 서로 반대되는 비판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방효국(Hyo Kook Bang),김낙흥(Nak He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 실태에 따른 게임 과몰입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N구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만 5세 유아를 둔 부모 23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8문항과 게임 과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도구의 내용은 게임과 관련된 건강, 일상생활, 현실구분, 정서, 집착과 관련하여 각각 4개의 문항으로 총 20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과 관련해서 유아에게 게임을 처음 알려주고 함께 하는 사람은 손위형제가 가장 높았으며 하루 평균 게임 사용시간은 30분미만으로 나타났고, 일주일 평균 스마트폰 게임사용횟수는 주 1~2회로 나타났다. 부모가 유아에게 스마트폰 게임을 허용하는 상황은 이동하는 상황이 가장 높았으며, 주로 게임을 하는 요일은 주말이었다. 주로 즐겨하는 게임은 비폭력 오락게임이었으며 스마트폰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실태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게임 과몰입은 스마트폰 게임 사용시간, 횟수, 주로 하는 요일, 부모의 게임 허용상황,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smart phone game usage of five-year-olds children and their possible overindulgence in such games. More than 400 surveys were sent out to parents of five-year-olds at kindergartens in Seoul with 239 being returned and qualifying as data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smart phone usage and the degree of its overindulg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first child to be introduced to smart phone games tends to be the oldest sibling. On average, children played smart phone games once or twice a week for less than 30 minutes a day. It was most common for parents to let children play smart phone games while travelling. Children usually played smart phone games over the weekend, and most children played non-violent games. The smart phone game overindulgence score of five-year-old children averaged out at 33.34(SD=15.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time and the frequency of smart phone game usage as well as the situations in which and the days on which it was allowed.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reasons people play and the types who play smart phone games.

      • KCI등재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방효국(Bang, Hyo-Koo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S 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비교ㆍ실험집단 25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ㆍ후로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진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SPSS 25.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토의 중심 유아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 뉴스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과 사회성, 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50 children (2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S kindergarten in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its effects.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soci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program. After the 12-weeks period, the post-evaluation was done using same evaluation tool. Data was analyzed by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was effective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bility, soci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arly childhood news literacy program based on discussion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It also highlights that this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news literacy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방효국(Bang, Hyo-Kook),신유정(Sin, Yoo-Jung),주봉관(Joo, Bong-Kw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S 대학 부속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비판적 사고, 인성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SPSS 23 Window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t-test)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인성에 대한 점수가 경험하지 못한 유아들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토의 활동은 유아들의 비판적 사고와 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nd personality caused by critical discussion against science technology. For this study, 48 young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of "S" university in Gyeonggi-do (24 experimental groups, 24 comparative groups) participated. Critical thinking and personality test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 23 Windows O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d critical discussion activities against science technology achieved enhanced score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ersonality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