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

        연주옥(Juok Yeon),탁정화(Jeonghwa Ta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25명이다.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정서적 조직몰입, 행복플로리시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성취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였지만, 긍정적 정서, 몰입, 관계, 의미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lourish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included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employed in institution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flourish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odel 4 of the SPSS Process macro.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lourishing.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arding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flourish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hievement was foun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However, positive emotion, commitment, relationship, and meaning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 부모가 인식한 가족상호작용과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가 만5세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윤조(Yoon Joe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가족상호작용과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가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인 만5세 유아 1184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가 인식한 가족상호작용은 자녀에 대한 미래 기대의 하위요인 중 ‘이타심’과 ‘행복한 가정’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언어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 중 ‘금전’, 유아의 인지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 중 ‘사회적 지위’와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인식한 가족상호작용은 자녀에 대한 미래 기대의 하위요인 중 ‘이타심’과 ‘행복한 가정’, 그리고 ‘여가’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부모가 인식한 가족상호작용과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가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 중 ‘금전’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미래기대 중 ‘사회적 지위’와 ‘이타심’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자녀발달에 대한 역할을 기대할 뿐만 아니라 자녀에게 아버지가 심리적지원체계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interaction, future expectation for children and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five years children. The sixth child study panel data 1184 5-year-old children were with their fathers and mother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father recognized family interactions, future expectations for the children, and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Also it showe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recognized family interaction and future expectation for the children. In addition, the ‘cash’ sub factor of father’s expectation for children impacted on language development of 5-year-old children and 'social status' and 'altruism' sub factor of father’s expectation for children impacted on cognitive development of 5-year-old children. These finding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t role as father to their children, as well as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expect the role of the father of the child's development.

      •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인식 비교 연구

        지성화(SungHwa Ji)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간 통합교육의 필요성, 운영, 효과성, 교사 전문성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S지역, K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총 198명이었다.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하위 영역으로는 장애통합교육 운영과 장애통합교육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치원과 어린이집 및 교사 직군에 대한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정책적 근거뿐 아니라 인식개선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 comparative study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ecessity, operation, effectivenes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9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 and K area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organizing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war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and the childcare center teacher group. As a sub-area,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i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awareness as well as the policy basis for integrated education for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kindergartens, childcare center, and teacher occupations in the future.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 경험 탐색

        박부숙(Boosook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실행하고,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G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블렌디드 수업 대상자 2학년 학생 14명으로 ‘놀이지도’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다. 연구결과 누리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기존 누리과정과 개정 누리과정 사이에서 갈등을 느꼈고, 유아가 되어 놀이에 참여한다는 것에 대한 신선함과 부담감이 존재하였으며, 발현적 교육과정을 통한 구성주의에서 지식 구성에 어려움을 느꼈다. 모의수업을 마치고 평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 교사 역할을 한 학생은 놀이할 줄 모르는 친구들로 인해 수업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놀이가 배움이 되는 순간을 포착하여 보람을 느꼈지만 놀이가 확장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릴 수 없었다. 모의수업 경험은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고민을 통한 성장의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모의수업에서 했던 활동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놀이와 차이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보고, 놀이지도 모의수업뿐만 아니라 타 교과목에서도 누리과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students of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e to implement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reflecting teacher’s role that is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practice young children’s play-center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sophomore students for blended learning in th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y felt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y also felt burden as well as freshness on participation in play by being young children, and difficultie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constructivism through emergent curriculum. Focused on evaluation, after finishing the mock class, the students who played teacher’s role revealed difficulties in class operation due to other students who did not know how to play. Although they felt rewarded by capturing the moment that play becomes learning, they had obsession that play should be expanded. It is found out that experience of mock class is a process of growth through understanding and agony on teacher’s role as a play supporter. 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mock class can be applied to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 that the differences from the pla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can b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o apply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o other courses in addition to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and to plan and practice class.

      •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박정인(Chung-In Park),백성은(Sung-Eun Bae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2개 학교 82명과 온라인 패널을 중심으로 전국에 소재하는 고등학생 28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조절효과의 검증에는 SPSS Macro PROCESS 모델 1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의 전반적 비행, 구체적 비행(지위비행, 성비행, 폭력비행)에 대한 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왔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전반적 비행, 구체적 비행(지위, 성, 폭력 비행)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개별적으로 살펴본 결과 모든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위, 성, 폭력 등의 비행 문제를 호소하는 자기애적 성격성향의 청소년의 치료적 회복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의의에 대해 논의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and juvenile delinquency. A total of 285 adolesc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significantly affected juvenile delinquency.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and juvenile delinquent was not significant. Whereas research hypothesis assumed that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charateristics of sample and item contents in this study. The result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juvenile delinquency level when helping adolescents with problems of aggressive behaviors, temperamental disposition toward behaving impulsively,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programs gearing toward improving the clarity of self-concept clarity inorder to fulfill one's purpose for juvenile delinquency is discussed.

      • MZ세대 영아반 학부모의 놀이 경험과 놀 권리 인식 및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지원 탐색

        라지숙(Jisuk La),주현정(Hyun-Jung Ju),김현주(Hyeonju Kim)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MZ세대 부모의 놀이경험과 영아기 자녀의 놀 권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하고 부모는 자녀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어떤 실천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의 영아반(만0~2세)을 운영하는 국공립 어린이집 G기관과 가정어린이집 k기관의 영아반 학부모 중 1980년대에서 2000년대 출생자, MZ세대 학부모 중 면담에 희망하는 부모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MZ세대 학부모들은 자유롭고 충분한 놀이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기관에서의 체험 또한 즐거운 놀이로 기억하고 있었다. 둘째, 주도하며 놀이할 권리, 충분히 놀이할 수 있는 권리, 발달적 요구에 따라 놀 수 있는 권리를 영아기 자녀의 놀권리라 보았다. 셋째, 자녀의 놀권리를 지원하기 위해 아이가 주도권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도왔으며, 기관에서 놀이 외 놀이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만들어 주고자 노력하였으며, 주변사람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놀 수 있도록 돕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영아 놀권리를 증진하기 위해 MZ세대 학부모의 경험과 인식, 실천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부모의 영아기 자녀 놀권리 인식과 지원은 자신의 경험과 사회적 문화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how MZ generation parents perceive their you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what actions they take to ensure this right. To accomplish thi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Z generation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at a public daycare center and a home-based daycare center. Results showed that par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with free play and perceived the right to play as being able to play actively, enough, and according to developmental needs. To support their children's right to play, parents helped their children take the lead in play, created more play opportunities, and assisted in finding various ways to pla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and social culture on parents' perception and support of their children's right to pla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the right to play for young children.

      •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관련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성현(SeongHyun Kim)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의 가정환경자극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지, 가족생활사건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변화를 야기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년도)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1,754명의 학부모였고,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가정환경자극에 직접적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가정생활사건 또한 유아의 가정환경자극에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가족생활사건 그리고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간의 직접적 영향은 양육 스트레스를 통해 매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ddress effects social support, family life event, and parenting stress o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to examine a functioning of variances. Using the fourth year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data were 1,754 children’s Mother and Father.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ha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Second, family life event ha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Especially, the indirect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life event and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were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개발

        김병만(Byung-Man Kim),김다희(Da-Hee Kim),박수지(Su-Ji Park),이강훈(Kang-Hoon Lee),임홍남(Hong-Nam Im),정수정(Su-Jeong Jeong),정진성(Jin-Sung Jeong),곽영숙(Young-Sook Kwa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fant-centered STEAM play that is made into a narrative. This study solved STEAM play, in which infants create narratives together, as an expressive play led by infants, and organized around cases. It aimed to establish a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plan that can lead to high interest in play an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for young children, and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eveloped the program by converging art, science, and engineering as a member of a professional joint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slides in space’, ‘symbols of art, various types of towers’, ‘why does it sound different? Sound sculptures, imagination and connection, doors as boundaries, and sound and motion, meeting acoustic engineering, and polyartists were developed. In addition, field support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guidebooks, infant workbooks, narrative media contents, and PPT for teacher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practice, and implications of how to solve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proposed. 본 연구는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가 함께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 STEAM 놀이를 유아가 주도하는 발현적 놀이로 풀어냈으며, 사례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유아에게 놀이와 배움에 관한 높은 관심과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실천방안 구축을 목표하였으며, 연구진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교사들이 전문적 공동학습체 일원으로 예술과 과학 및 공학을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공간 속 미끄럼틀’, ‘예술의 상징, 다양한 형태의 탑’, ‘왜 다르게 들릴까? 소리조형물’, ‘상상과 연결고리, 경계로써 문’, ‘소리와 동작, 음향공학의 만남, 폴리아티스트’ 놀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가이드북, 유아용 워크북, 내러티브 미디어 콘텐츠, 교사용 PPT 등 유아교육 현장 지원 자료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 STEAM 교육을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방향성과 실제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희태(Whee Tai Kim),김정림(Junglim Kim),박지연(Ji Yeon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is, we tried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improve the teacher’s interaction ability.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8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nationwide. Data to be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on mobile to tea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upport for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under the control of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While the main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upport were controll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 moderating variabl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eache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improve teachers’ interaction abilit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의 상호작용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8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될 자료는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교사들에게 모바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통제한 상태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공감능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교사의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교류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의 이론 비교

        방효국(Hyo-kook Bang),이동건(Dong-gun Lee)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Exchange analysis and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start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humans. In an increasingly complex society, individual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importance of the two theories can be felt in terms of counseling as the method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theories in seven aspects. First, the two theories’ view of humanity is rooted in an optimistic and non-deterministic view of humanity and has very similarities in terms of acknowledging human values and dignity. Second, the counseling goal of the two theories is to escape from one’s state and to be aware of one’s state. Third,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es mainly use concepts that analyze self and personality. Fourth, the counseling techniques of the two theories use a clarification technique that can provide an acceptable atmosphere, support it, and specify problems. Fifth, in both theories, counselors play a role in helping clients demonstrate their abilities,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own abilities. Sixth, when comparing the contribution of the two theori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everyone to understand and utilize counseling, which has become a monopoly only for experts.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two theories received opposite criticism points. This summary of Korean literature is prepared to include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aper. 교류 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이론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맺는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 상담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두 이론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을 7가지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 두 이론의 인간관은 낙관적이고 비결정론적인 인간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두 이론의 상담 목표는 자신의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는 것으로 삼고 있다. 셋째, 두 이론의 주요 개념은 자아와 성격을 분석하는 개념을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다. 넷째, 두 이론의 상담기법은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하고, 지지해주며 문제를 구체화할 수 있는 명료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두 이론에서 상담자는 자신의 능력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능력을 발휘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두 이론의 공헌도를 비교하면, 전문가만의 독점물이 되었던 상담을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 번째, 두 이론은 서로 반대되는 비판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