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박환보,조혜승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created an analytic framework by reviewing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research themes. We analyzed 255 studies conducted between 1995 and 2016 February (articles: 197, dissertation and thesis: 58), according to the following six criteria: study periods, themes, topics, educational stages, methods, and journal typ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before 2000 research focused on conceptual or theoretical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response to Korea’s change in globalization. The total amount of research increased, however, since 2000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implies the expansion of implementation research despite the lack of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reover, as the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associated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its research themes, targets, and methods became diversified. The analysis of themes showed research on curriculum and pedagogy has been the most actively conducted, and recently the research regarding th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nd its effect is increasing. In terms of educational stages, education in general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 in that order. Document analysis was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method, and journals regarding curriculum inclu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he most.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1) the need of the theoretical research to understand diverse perception and ideology with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in a macro context, 3)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argets, and 4) cultivating experts and researcher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연구영역을 검토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연구시기, 연구영역,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 학술지 성격에 따라 1995년부터 2016년 2월까지 국내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197편의 학술논문과 58편의 석·박사 학위논문, 총 25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학술 연구는 세계화에 따른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계시민성의 개념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이론적‧개념적 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점차 학교교육과정 내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론적·개념적 연구보다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위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2010년 이후에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연구가 민주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개발교육 등 유사개념과의 관계 속에서 양적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었고, 연구주제, 교육단계, 연구방법에서도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주제별 분석결과 세계시민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법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세계시민교육의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대상별로는 교육일반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 중등교육, 초등교육,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마지막으로 유아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학술지의 성격에 따른 분석결과로는 교과교육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세계시민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1) 다양한 주체들의 상이한 인식이나 담론 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연구, 2) 거시적인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의 확대, 4)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 전문가 및 연구자 육성을 제안하였다.

      •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동인 및 속박” 토론문

        박환보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7 No.-

        이 논문은 최근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교육열 현상으로 분 석한 매우 흥미로운 연구입니다. 연구자들은 교육열 현상을 부모의 자녀 성취욕구라는 관 점에서 바라보고, 이러한 교육열이 저출산을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저출산이 다시금 교육 열을 한층 더 강화시키는 순환구조를 갖는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열과 저출 산의 순환 구조 속에서 부모들의 행태가 일종의 집단추종 현상으로 발현되어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저출산 문제를 분석적 으로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는 연구자들의 논지와 분석 내용에 대해 대체로감합니다. 그리고 개 인적으로는 토론자 역시 본 연구의 참여자들과 비슷한 처지에 있기 때문에, 보다 생생하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다만 토론자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논문을 읽으면서 가졌던 몇 가 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 2020 아동· 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 심화분석보고서

        박환보,주경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9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통해 기대했던 학교의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과 인권침해적 환경 개선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인권조례 시행 효과를 보다 엄밀하게 추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활용하여 집단 간의 동등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지만, 학교의 인권침해 환경 개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인권친화적 학교환경은 배려문화와 학생참여에 대한 존중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 기반일 뿐이며, 인권친화적 학교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법적 기반 마련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학생인권의 제도화가 곧 학생인권 보장을 의미하지 않으며, 조례 제정만으로는 학교현장을 인권친화적으로 변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생인권조례 제정이라는 학생인권의 형식적 제도화를 넘어, 학교현장에서 통제와 차별이 아니라 배려와 존중의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노력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인권침해적 학교환경은 교사의 폭력, 개인정보공개, 각종검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학생인권조례 시행은 학교의 인권침해 요소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인권조례 제정의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폭력 금지, 사생활의 자유, 개성실현 등 학생이라는 이유로 제한받아 왔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학생 인권조례 제정 목적을 고려할 때, 조례 시행은 학생인권을 침해하는 학교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조례 제정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인권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반일 뿐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개인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행복감, 인권보장인식 등 학생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인권친화적 학교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인권침해적 학교환경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학교뿐 아니라 가정과 일상생활 속에서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인 경험을 축적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학교의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이나 인권침해적 환경 개선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가정, 지역사회, 학교가 아동ㆍ청소년의 인권보장을 위한 환경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포용적일수록 인권친화적 학교환경 조성이나 인권침해적 학교환경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학생인권조례의 목적과 내용은 학생인권 보장을 위한 학교의 변화와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조례 제정과 시행은 학생인권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노력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학교가 인권친화적 환경을 갖추고 인권침해 방지를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변화뿐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인권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ㆍ청소년인권 증진과 보장을 위한 세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에서 배려와 존중의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권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인권의 제도화 논의를 넘어 아동ㆍ청소년 인권을 주류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synthesize research outcomes in the studies that have used the data set of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studies (i.e., academic journal articles, theses, and research reports) using the data set of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By doing so,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for practical and political improvement for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as well as the futur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earliest study using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appeared in 2011,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e data has gradually increased. A drastic increase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occurred in 2016. Second, the academic field that used the data set most was “social work (25.5%)” and “others including general social science, theology, and arts (21.1%) .” Although various academic fields have drawn upon the data set in diverse ways, it is notable that youth and children studies which are subject-oriented research areas have relatively fewer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key words, human-rights-related themes (24%) are the most investigated ones. Subsequently, psychological themes (17%), school-related themes (14.7%), and violence-related themes (13.2%) follow. In regard of research variables, variables relevant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61%) are the most studied ones, and variables relevant to school environments (23.6%), variables relevant to family environments (8.7%), and variables relevant to community environments follow. Forth, the statistical analyses most used are correlation analysis (61%), regression analysis(57%), factor analysis(49%), T-test analysis (3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3%), variance analysis (25%), and chi-square analysis (23%) respectively. Fifth,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ies using the data set confirmed the fact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tress, depression, or psychic weaknesses and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addition,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factors determining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Moreover, discrimination and violence experiences are an utmost influence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also reaffirmed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terms of several variables indicating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by providing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ll in all, the study offered considerations that the future survey need to be grounded in.

      • KCI등재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 분석

        박환보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7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associ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on students’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is program to 4 schools(2 primary and 2 middle schools), and surveyed 240 students from thes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global citizenship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lobal citizenship, attitude to gender equality, attitude to tights of immigrant, global communication of students significantly after controlled level of school. Second, gender, international 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ES had a association with global citizenship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irds, the experience of oversea travel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experience of education in foreign country have a negative effect on global issu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need to focus on the related themes beyond the specific subject, and more efforts to associat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themes.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교사연구회 교사들이 개발한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2개교, 총 4개 학교의 재학생 24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연계 세계시민교육에 참여는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양성평등에 대한 태도, 이민자에 대한 태도, 글로벌 의사소통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통제변인 중에서는 성별, 해외경험, 학업성취도, 가정배경이 통계적으로 세계시민의식과 유의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셋째, 해외여행 경험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해외교육 경험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특정한 교과를 넘어 주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주제 중심으로 초중등 교육과정을 연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개인배경과 대학 특성의 영향

        박환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3

        이 논문은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을 활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개인배경, 개인의 취업준비, 대학 특성, 대학의 취업지원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08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08GOMS) 자료와 각 대학이 ‘대학알리미’ 사이트에 게시한 2008년도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 가계소득, 출신고 등의 개인배경과 서열유형, 취업률, 준칙주의 여부 등의 대학 특성 변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고등교육기회 확대 정책의 핵심인 전문계고 출신과 준칙주의 이후 설립대학 출신자는 미취업 혹은 하위 노동시장에 진입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고등교육기회 확대 정책이 교육 기회의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노동시장과 연계되지 못하고 대학 진학 수요를 수용하는 데에 머물렀다는 한계를 시사한다. 그리고 그 한계는 한국 사회의 가장 취약한 계층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대학과 사회가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대졸실업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and estimates the effects of individual background and school factors on employment outcomes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08GOMS) conducted in 2008 by the Korean Employment and Information Service and University Information Data posted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background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outcomes for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Specially, the two factors that lead to the univers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 being a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and changes in university registration policy, are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employment outcom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while recent changes in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can be applauded for increasing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they have a limit to causing mismatches between universities and a labor market. Moreover, it is evident that the lower class population is most prone to the negative impacts of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e society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collaborate and more aggressively approach the issue of high unemployment rates among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 KCI등재

        말라위 초등학교 여학생의 권리인식과 자립역량 실태 분석

        박환보,우승희,김재은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level of rights awareness and empowerment of Malawi primary school girls,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ojects to strengthen girls’ empowerment in the future. Originality: Malawi has a problem such as early marriage, polygamy, high HIV/AIDS incidence in youth, girls’ high percentage of primary school drop-outs. To solve such problem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UNDP is emphasizing protecting girls, improving access to education, and strengthening girls’ empowerment. The government of Malawi also sets gender, gender-sensitive education, and making gender equality culture as major national policy tasks. Despite these policy interests, Malawi primary school girls are in a vulnerable status, and an exact state of right awareness and empowerment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mpowerment strengthening project for Malawi primary school girls. Methodology: This research analyzed 240 primary school girls in the business district of Good Neighbors Malawi,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 An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each characteristic and major factor. For effective analysi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area were calculated. Result: Gender sensitivity of Malawi primary school girls was 3.79 on 5 -point Likert scale, however, gender sensitivity was 2.96 on a 5-point Likert scale. It shows the limitation of girl’s gender sensitivity although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a regular subject in primary education. About empowerment, the 5-point Likert scale in all areas is more than 3 points. Als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areas depending on grade and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Rights awareness and empowerment of primary school girls in Malawi are understood. In particular, self-determination, will to overcome adversity, and gender-sensitivity improvement are important task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for girls’ empowerment considering gra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교육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환보,우한솔,김은파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국제사회는 전 세계적인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십 년간 노력해왔으며, 특히 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강조해왔다. 최근에는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발도상국 교원의 전문성 개발이 핵심이슈가 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교원 전문성에 주목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교원들이 개발협력에 왜 참여해야하고, 참여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개발협력 사업 참여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여, 교사가 참여한 교육개발협력 실제를 이해하고, 관련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단체에 소속된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다른 세계에 대한 호기심·기대감’ 혹은 ‘원래 가지고 있던 꿈’을 좇아 교육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였다. 교수역량강화사업 준비과정에서는 국제개발협력에 참여한 ‘이전 경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있었으며, 개발도상국 교사와의 ‘소통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품고 있었다. 그리고 사업 수행과정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참여를 ‘개인적으로 깊이 성찰’함으로써 성장의 계기로 삼았고, 이 경험을 한국의 학교현장과 수업에 활용하였다. 그러나 참여교사들은 국제개발협력 사업으로서의 교원연수를 효과성·효율성 측면에서 면밀하게 평가하지 않았다. 또한, 교사들은 개발도상국 현장에서 교수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지만, ODA 사업 수행자로서의 또 다른 역할 수행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교원양성단계에서 예비교사가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기초소양을 쌓을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현직교사 또한 관련 소양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making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global poverty and inequality for decades, emphasizing the role of education in particular. Recently,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ecame an important issue, followed by the discussion about how to make use of Korean teachers’ expertise, who are thought to be excellent teachers. There is, however, little research on the reason why Korean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what specific role they can play through participating.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find out related implications both in theory and practice,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teachers, who are members of an organization implementing an ODA project. Findings indicate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either out of ‘curiosity about a different world’ or interest in ‘following their original dream’. While preparing for a teacher training workshop which aimed at empowering the instructional capacity of teachers in a developing countr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past participation’ and expressed ‘vague hope of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the partner country’.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y ‘reflected on their current participation on a personal level’, which helped to fuel growth, and were provided with experiences which could be utilized in their schools and lessons. However, the participants did not thoroughly evaluate the teacher training workshop’s efficacy and efficiency, despite the training workshop being a part of the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addition, while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eacher training workshop, the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another role of an ODA project’s implementer.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본 북한교육: 북한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

        박환보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2

        이 논문은 현재 북한교육을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북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교육(SDG4)은 전 교육단계에서의 교육기회 보장을 근간으로 하고, 형평성 제고와 교육의 질 향상을 주요한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곧 북한의 교육 현황과 쟁점을 진단하는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가용한 통계 자료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교육은 기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영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 취학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높은 취학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교사 1인당 학생수나 문해율, 읽기 능력 등 교육여건과 학습성과도 다른 개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다. 북한은 이미 해방 직후부터 교육기회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왔으며, 초중등 교육과정도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입장에서 유초중등교육 기회 보장은 시급한 정책 과제도 아니고, 오히려 대외적으로도 내세울 만한 자랑스러운 성과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분야 개발협력도 기회 보장보다는 교육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urrent states and issues of education in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 for further cooper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In the SDG4 is based on ensur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t all level of education, and emphasiz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Using the available SDG4 data, North Korea has ensured the educational opportunity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upper secondary education, and shows high enrollment rates. In addition, educational conditions and learning outcomes, such as students-teacher ratio, literacy rate, and reading ability, a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Expanding and ensuring the opportunity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not an urgent issue, but rather a proud achievement for North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rather than expand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North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horizontal strat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박환보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6 No.1

        This study analyzed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income gap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uch dispar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academic disciplines among the many factors affecting post-graduation income differences,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post-graduation income of graduates based on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y attended. There was an especially large income gap between graduates from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other types of institutions. However, the coefficient size of income differences between graduates from 4-year regional universities and 2-year junior colleges either decreased, when SES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This result implies that income gap between 4-year regional universities and the other types of institu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In addition, the effects of SES on graduates’ income varied in academic disciplin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horizontal strat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is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al types and academic disciplin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