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표성을 위한 R-indicator의 사용과 추정법 연구

        박현아,이기재,Park, Hyeonah,Lee, Kee-Jae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3

        표본의 대표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응답률이 사용된다. 즉 높은 응답률일수록 표본의 대표성을 더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응답률이라 할지라도 무응답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표본의 대표성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Schouten 등 (2009)에서는 R-indicator라는 새로운 척도를 제시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더 설명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R-indicator도 표본에 의해 추정되어야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그것에 관한 새로운 추정량을 제시한다. 또한 여러 모의실험하에 R-indicator의 대표성으로써의 설명력과 제안된 추정량의 편향과 효율을 기존의 추정량과 비교분석하며 실제자료에도 제안한 추정량을 적용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설명한다. Measures in response rate used to mea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the more high response rate) better explai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However, we cannot often explai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because there is nonresponse even in the high response rate. Therefore, Schouten et al. (2009) presented a new R-indicator measure that can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sample. We research the new estimator of the R-indicator in this paper because there are parameters that require estimations. We describe the meanings as representative of the R-indicator; consequently, the bia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estimator for R-indicator are compared to the existing estimator under various simulation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is also explained by applying the proposed estimators in the actual data.

      • KCI등재

        계속조사에서의 표본크기 결정

        박현아,나성룡,Park, Hyeonah,Na, Seongryong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4

        일반적으로 현 시점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추정량의 산포가 지난시점의 추정량의 산포보다 크다면 지난시점과 비교하여 현 시점의 표본의 크기는 줄어드는 것이 타당하다. 계속조사에서 지난 시점의 추정량의 변동계수와 모집단의 크기 변동과 현 시점의 추정량의 목표오차를 이용하여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연구한 여러 논문들이 있다. 그런데 모집단은 크기의 변동과 산포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난 시점의 추정량의 변동계수와 모집단의 크기, 모집단의 산포 변동과 현 시점의 추정량의 목표오차를 반영하여 현 시점의 표본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를 연구한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 표본크기의 공식들과 비교분석한다. If the target error of an estimator at the present time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of the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sample size at this point should be decreased. Various papers have researched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s using the CV of an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variation of population size and target error of the estimator at this time in sampling on successive occasions. We research a new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 additionally using change of population CV. We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existing ones in various simulation settings.

      • KCI등재

        층별 응답률을 사용한 멱배정 방법의 확장

        박현아,Park, Hyeonah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5

        멱배정의 전체 효율은 최적배정보다 감소하지만, 층별 표본을 골고루 배정하는 기법이며 조사 현장에서는 제곱근 비례배정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실제조사에서는 무응답을 고려하여 이론적 공식에서 나오는 것보다 더 많은 표본크기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층별 표본크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멱배정 방법에 층별 응답률의 정보를 추가하여 배정하는 기법을 연구한다. 제안된 배정기법들을 비례,최적,제곱근 비례 배정과 비교하며 응답률이 추가된 비례, 최적배정과도 비교하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배정방법들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Power allocation is a technique that evenly allocates samples for each stratum, although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allocation is less than that of optimal allocation, and it is often used as a square root proportional allocation in real survey. Also, considering the non-response that occurs in real survey, a larger sample size is used than that in the theoretical formula. In this study, in determining the sample size for each stratum, we study the new methods of allocating by adding information on the response rate per each stratum to power allocation method. The proposed allocation methods are compare with proportional, optimal, and square root proportional allocation in simulation. In addition, the comparison with the proportional and optimal allocation to which the response rate was added is examined through simulation. As a result, we exam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allocation methods.

      • KCI등재

        보조 정보에 의한 이중적 로버스트 대체법

        박현아,전종우,나성룡,Park, Hyeon-Ah,Jeon, Jong-Woo,Na, Seong-Ryong 한국통계학회 2011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8 No.1

        비대체와 회귀대체는 조사변수의 모형과 조사변수와 보조변수의 관계에 의존하며 모형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 이들 대체법을 이용한 추정량의 불편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도 추정량의 근사적 불편성이 성립되는 로버스트 대체법을 개발한다. 대체법 개발시 보조변수의 모수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량의 효율 증대를 가져오게 한다.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 결과의 타당성을 보인다. Ratio and regression imputations depend on the model of a survey variabl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urvey variable and auxiliary variables. If the model is not true, the unbiasedness of the estimator using the ratio or regression imputation cannot be guaranteed.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doubly robust imputation, which satisfies the approximate unbiasedness of the estimator, whether the model assumption is valid or not. The proposed imputa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of estimation by using the population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variables. The simulation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results of this paper.

      • KCI등재

        계속조사에서 응답률을 반영한 표본크기

        박현아,나성룡,Park, Hyeonah,Na, Seongryong 한국통계학회 2018 응용통계연구 Vol.31 No.5

        Procedures, such as sampling technique, survey method, and questionnaire prepar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obtain sampl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a survey. An important procedure is the decision of the sample size formula. The sample size formula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target error and total cost according to the sampling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ample size formula using population changes over time, estimation error of the previous time and response rate of past data when the target error and the expected response rate are given in the simple random sampling. In actual research, we use estimators that apply complex weights in addition to design-based weights. Therefore, we induce a sample size formula for estimators using design-based weights and nonresponse adjustment coefficients, that can be a formula that reflects differences in response rates when survey methods are changed over time. In addition, we use simulations to compare the proposed formula with the existing sample size formula. 조사목적에 부합하는 표본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추출방법 및 조사방법 결정, 설문지 작성 등의 절차가 필요하며 중요한 결정 중 하나가 표본크기 공식의 적용이다. 표본크기 공식은 추출방법에 따른 목표오차와 총비용 등을 설정함으로써 결정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단순임의추출에서 목표오차와 예상 응답률이 주어져 있을 때 과거 및 현재 시점의 모집단의 변동과 과거 자료의 추정오차 및 응답률을 사용한 표본크기 공식을 제안한다. 실제조사에서는 설계가중치 외에도 여러 가중치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추정량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설계가중치와 무응답 보정계수를 사용한 추정량에서의 표본크기 공식을 유도하며 이것은 시점별 조사방법이 달라질 경우 응답률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반영한 공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표본크기 공식과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공식의 다양한 적용방안을 살펴본다.

      • KCI등재

        표본조사에서 크론바흐알파값을 사용한 신뢰성

        박현아,Park, Hyeonah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1

        사회조사에서 추상적 개념은 타당성과 신뢰성이 보장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와 같은 측정도구에 의해 도출된 관측점수는 타당한 관측점수와 편향된 관측점수와 오차로 나눌 수 있으며 편향된 값의 유무가 타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오차값의 유무가 신뢰성과 연관되어 있다. 측정도구가 타당도 및 신뢰도를 만족하는 지를 보기 위한 기법들이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크론바흐 알파 값에 의한 내적일치도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크론바흐알파값의 계산은 표본을 통해서 도출되는 데 복잡한 표본설계와 무응답이 발생했을 때 크론바흐알파값의 추정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안된 기법에 대한 모의실험으로 다변량정규분포를 사용하여 기존의 여러 다른 크론바흐알파값의 추정기법과 비교분석한다. Abstract concepts in social research must use measurement tools that are assured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bservation score derived by a measurement tool can be divided into a valid observation score, a biased observation score, and an err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iased value is associated with valid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value is associated with reliability.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seeing whether a measurement tool is valid and reliable. For example, there are construct validity using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based on the Cronbach alpha.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the Cronbach alpha is derived through a sample, so we suggest an estimator of the Cronbach alpha under complex sample design and nonresponse. In a simulation,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many other existing estimators of Cronbach alpha under a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 KCI등재

        독거노인과 부부동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요인 비교

        박현아,송현종,Park, Hyuna,Song, Hyunjong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2 No.3

        Background & objective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s a main factor influencing the overall life of the elderly and places a burden of society. The aim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a spous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14 to 2018. 243 older adults who lived alone and 1,155 lived with a spouse with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s in normal range at the time of 201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risk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between i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Result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cidence rate of elderly living alone was 30.5%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showed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age and residential area, while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age, education level, social networks,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different. Accordingly, other measures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are necessary.

      • KCI등재

        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인식 특성 연구 - 국제회의(C.I.A.M)의 참여 건축가 4인(레이몬드후드, 미스 반 데르 로에, 르꼬르뷔제, 월터 그로피우스)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

        박현아 ( Park Hyuna ),이승일 ( Lee Seu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기하학과 모더니즘 건축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기하학적 공간인식 관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더니즘 건축의 공간인식 특성을 분석한다. 기하학은 토지를 측량하기 위한 실용학문으로 고대 이집트 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현대에는 공간의 결합원리 관계를 규명하는 학문으로 발전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논문에서 기하학은 일반적인 형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의 공간 인지적 특성을 가시적 특성과 비가시적 특성으로 분석하여 나타낸다. 그로 인해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의 형태적 결합원리의 특성을 공간인식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제2장에서는 기하학의 일반적인 이론과 모더니즘 건축의 기하학적 배경을 파악하고, 제3장에서는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에서 나타난 형태적 관점, 공간적 관점의 특성을 분석하고, 제4장에서는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에서 나타난 모더니즘 건축 사례분석을 도출하고, 제5장에서는 종합분석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기하학의 공간인식의 관점에서 나타난 형태적 관점은 공간에서 나타나는 가시적 형태로부터 생성되며, 바탕으로부터 인식된 도형으로 나타난다. 분석기준으로 도출된 결합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과 도형이 서로 결합되어 재생성 되는 형태이며, 기하학의 분리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과 도형이 서로 다른 성질로 인해 분되는 형태이고, 기하학의 독립된 형태는 기하학의 도형이 홀로 존재되는 형태이다. 기하학의 공간적 관점은 비가시적 형태로부터 생성되며, 도형으로부터 인식된 바탕의 도형이다. (결론) 모더니즘 건축의 형태적 관점은 가시적인 형태로 인한 건축적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특성은 가시적 형태의 분류를 통해 나타난다. 기능적이고 규칙적인 형태의 가시적 형태로 인해 바탕이 되는 공간 또한 실체적 형태의 도형으로 인해 분류되어 나타난다. 형태적 관점은 도형의 실체가 되고, 공간의 관점은 실체의 공간(空間)이 바탕이 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건축의 형태생성 본질로 기하학의 공간인식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건축적 형태 도출의 기하학적 공간인식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변화하는 건축형태 분석의 새로운 방향의 틀로 발전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derives a geometrical space perception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ometry and modernist architecture, and through this, analyzes the spatial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modernist architecture. Geometry, as a practical study for surveying land, started in the ancient Egyptian era, and has been developed as a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space and the present. However, in the previous papers, geometry is not too mu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forms, so this researcher analyzes the spati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eometry in modernist architecture as visible and invisibl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coupling principle of geometry appearing in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awareness and to reveal the correlation. (Method)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clarified to present the validity of the study, and in Chapter 2, the general theory of geometry and the geometric background of modernist architecture are grasped, and in Chapter 3,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that emerged from the spatial perception of geometry In addition,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perspective are analyzed, the case analysis of modernist architecture, which appea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perception of geometry, is derived, and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ynthesiz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drawn. (Result) The morphological point of view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recognition of geometry is generated from the visible form that appears in space and appears as a figure recognized from the ground. The combined form derived from the analysis standard is the form in which geometric figures and figur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regenerated, the separated form of geometry is the form in which geometric figures and figures are divided due to different properties, and the independent form of geometry is A geometric figure is a form that exists alone. The spatial point of view of geometry is generated from invisible forms and is the ground figure recognized from figures. (Conclusion)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of modernist architecture appears as an architectural form due to the visible form. The form of architecture appear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visible forms, and features of functional and regular form appear. Due to this visible form, the underlying space is also composed and appeared by the figure of a substantive form.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becomes the entity of the figure, and the perspective of space appears based on the space of the 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