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라이신(QPM) 주요 계통과 교잡계의 생육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 변이

        배환희,손범영,고영삼,박헤영,이기범,하준영,김미정,김선림,백성범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3

        Maize grain quality can be improved by raising lysine content, which is an essential amino acid present in insufficient quantities in normal maize. Maize varieties with such modifications are known as quality protein maize (QPM). To date, no Korean maize cultivars contain high amounts of lysine. To introduce quality protein maize to Korean cultivars, we crossed QPM CIMMYT maize lines (CML) with KS140, an elite inbred line used as a parent of several cultivars such as ‘Gangdaok’ and ‘Pyeonganok’. We analyzed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F1 plants as well as the protein content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profiles of the self-pollinated seeds of the F1 hybrids,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CML as a source of QPM. Days to anthesis of the CML ranged from 78 to 90 days after planting (DAP), whereas a range of 81~87 was recorded for F1 hybrids. The average days to anthesis was 85 for KS140, CML, and the F1 hybrids. The protein content of the CML was measured to be between 9.1 and 12.1%, with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being recorded in CML153 and 191, respectively. The F1 hybrids had protein contents of 9.1~11.1%, and the highest content was observed in KS141/CML188. The fatty acids profiles were very similar across all analyzed maize samples, and linoleic acid (C18:2) composed the greatest proportion. Glutamic acid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of amino acids in all maize samples. Lysine composition was highest in CML155 (6.92% of all amino acids), with an average composition of 4.83% across the CML. In contrast, KS140 showed a lysine content of 2.51%. In F1 hybrids, the average lysine composition was 3.46%, and KS140/CML164 (4.18%) and KS140/CML163 (4.99%) contained more lysine than either par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ML could become promising QPM sources to improve grain quality in Korean maize cultivars. 본 연구는 non-QPM인 KS140, QPM인 CML 계통 및 교잡계의 생육 특성과 단백질, 지방산 등 일반성분, 아미노산조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응 QPM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 출사일수는 CML 계통이 78~90일, CML 교잡계가 81~87 일 이었고 평균 출사일 수는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 모두 85일 이었다. CML계통 중 CML191이 간장과착수고 모두 155 cm, 72 cm로 가장 낮았고, CML529의간장이 242 cm, CML164의 착수고가 139 cm로 가장높았다. 과피색은 KS140이 노란색, CML 계통은 흰색과 노란색이었고, 교잡계는 CML 계통이 흰색인 경우에는 노란과 흰색의 중간색을 나타내었다. 2. CML 계통의 단백질 함량은 9.1~12.1% 범위로 CML153 이 가장 적었고 CML191이 가장 많았다. CML 교잡계의 단백질 함량은 9.1~11.1% 범위로 KS140/CML170이가장 적었고, KS140/CML188이 가장 많았다. 3. 지방산의 조성비는 KS140, CML 계통과 교잡계 모두C18:2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고 C18:1 (oleic acid), C16:0 (palmitic acid), C18:0 (stearic acid), C18:3 (linolenic acid) 순이었다. CML 계통의 평균 포화지방산 비율은21.4%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78.6%로 KS140 보다 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다소 높았다. 4. 아미노산 조성비 중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에서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ysine의 조성비는non-QPM인 KS140이 2.51%, QPM인 CML 계통 평균이 4.83%였으며 CML155가 6.92%로 가장 높았다. CML 교잡계 평균은 3.46%였고 KS140/CML164와 KS140/ CML170의 lysine 조성비는 각각 4.18%과 4.99%로 교배하기 전의 QPM계통인 CML164, CML170보다 높았다. 5. 아미노산 조성에 따라 시험 계통들은 크게 두 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CML 계통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CML155, 180, 181, 191을 포함하는 Group은lysine을 비롯하여 histidine, glycine, threonine, serine의조성비가 높았고, CML153, 157, 164, 170, 177을 포함하는 Group은 아미노산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