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한 치조골 소실이 있는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Pekkton telescopic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증례

        박하은,이원섭,이철원,이수영,Park, Ha Eun,Lee, Won Sup,Lee, Cheol Won,Lee, Su 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2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편악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시 대합치열의 상태를 고려하여 올바른 교합평면을 설정하고, 교합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는 소수의 임플란트로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총의치보다 우수한 유지와 안정성을 주는 치료이다. 최근 치과 영역에서 소개된 신소재 polyaryletherketone (PAEK) 기반의 폴리머(Pekkton ivory, Cendres + $M{\acute{e}}taux$ SA, Biel / Bienne, Switzerland)를 사용한 telescopic 어태치먼트는 전형적인 telescopic 코핑의 이점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비해 가볍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 임플란트를 5개 식립하여, Pekkton으로 내 외관이 제작된 텔레스코픽 어태치먼트를 활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고, 하악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였다.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t is necessary to set the correct occlusal plane and to distribute the occlusal force uniformly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opposing dentition during the prosthetic of the single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is superior to complete denture in terms of maintenance and stability, and limited implants are used in fully edentulous patients with high alveolar bone resorption. Telescopic attachments using a newly introduced material based on poly-aryl-ether-ketone (PAEK) have the advantages of typical telescopic copp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are lighter and more economical than conventional implant overdentures. In this case, we restored maxillary arch with a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using the telescopic attachment made of Pekktonand the mandible was restored with fixed implant prosthesis. Through these procedures esthetic aspects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satisfactorily achieved.

      • KCI등재

        사용성 평가를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일방향 슬래브의 처짐 변수 해석

        박하은,김민숙,이영학,Park, Ha Eun,Kim, Min Sook,Lee, Young Ha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일방향 슬래브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처짐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에 기반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한요소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편심 거리, 활하중, 그리고 긴장재의 배치형태에 따른 처짐을 분석하여 수계산 결과와 비교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들과 처짐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클수록, 편심 거리가 클수록, 활하중이 작을수록 처짐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직선형태의 처짐이 가장 작고 절곡형태의 처짐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편심 거리가 솟음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flection for serviceability assessment of the prestressed concrete one-way slab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Proposed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was verified comparing with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it showed a good agreement. Also, a para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eccentricity, live load, and tendon profile. The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hand calculation results. Deflections were decreased as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eccentricity increases, and the live load decreases. The deflection of straight tendon was smallest. And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arameters and camber.

      • KCI등재

        Poly-ether-ketone-ketone (PEKK) 포스트로 수복한 근관 치료 치아의 정적 파절 저항성 및 파절 형태에 관한 평가

        박하은,이철원,이원섭,양성은,이수영,Park, Ha Eun,Lee, Cheol Won,Lee, Won Sup,Yang, Sung Eun,Lee, Su 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조 금속 포스트,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 그리고 치과영역에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재료인 polyetherketoneketone(PEKK)으로 제작한 포스트로 수복된 근관 치료 치아의 파절 강도 및 파절 양상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21개의 하악 소구치를 포스트 재료에 따라 각각 7개씩 3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그룹 A는 주조 금속 포스트 코어; 그룹 B는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 및 레진 코어; 그룹 C는 밀링된 PEKK 포스트 코어로 수복하였다. 모든 시편은 금속관으로 수복하였다. 각각의 시편들을 제작 후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2 mm/min 속도로 치아 장축에 대해 135도의 정적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분석은 유의수준 ${\alpha}=.05$에서 Kruskal-Wallis test 후 사후검정으로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PEKK 포스트 파절 강도는 주조 금속 포스트와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파절양상에 있어서는 육안과 현미경, 방사선 사진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금속 포스트 코어에서는 치근파절의 양상이 대부분 나타난 반면 기성 섬유 강화형포스트는 포스트의 탈락이 주로 발생하였다. PEKK 포스트 코어의 경우 치아와 포스트가 함께 파절되는 양상이 주로 나타났다. 결론: 치관부 치질이 심하게 손상된 치아 수복 시 적절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며, PEKK 포스트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강도 향상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racture strength and mode of failur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metal cast post-core system, prefabricated fiber post system, and newly introduced polyetherketoneketone (PEKK) post-cor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 mandibular premolar were randomly grouped into 3 groups of 7 each according to the post material. Group A was for metal cast post core; Group B for prefabricated glass fiber post and resin core; and Group C for milled PEKK post cores. All specimens were restored with metal crown. The fracture strength of each specimen was measured by applying a static load of 135-degree to the tooth at 2 mm/min crosshead spe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fter the fracture strength measurement, the mode of failure was observ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Kruscal-Wallis test and post hoc Mann-Whitney U test at confidence interval ${\alpha}=.05$. Results: Fracture resistance of PEKK post core was lower than those of cast metal post and fiber reinforced post with composite resin core. In the aspect of fracture mode most of the root fracture occurred in the metal post core, whereas the post detachment occurred mainly in the fiber reinforced post. In the case of PEKK post core, teeth and post were fractured togethe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ppropriate materials of post for extensively damaged teeth restor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the PEKK post seems to require more research on improvement of strength.

      • KCI등재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보의 처짐에 대한 변수 해석

        박하은,최진웅,김민숙,이영학,Park, Ha Eun,Choi, Jin Woong,Kim, Min Sook,Lee, Young Hak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처짐 예측을 위해 재료비선형이 고려된 콘크리트 및 철근, 강연선의 거동을 고려할 수 있는 구성모델을 조합하여 적층 쉘 요소를 사용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를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스팬-깊이비, 편심 그리고 프리스트레싱 크기에 대한 처짐을 해석하고 이를 수계산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팬-깊이비가 커질수록, 편심이 작아질수록, 프리스트레싱 크기가 작아질수록 처짐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편심이 매우 작을 경우와 프리스트레싱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에는 수계산이 처짐을 과대평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flection of the prestressed beams. In this paper, a finite element model for deflections of prestressed beams is presented. Proposed finite element model was verified comparing with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it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a para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ccentricity, span-depth ratio, and prestressing force. The finite element model results were compared with hand calculation results. Deflections were increased as the eccentricity decreases, the span-depth ratio increases, and the prestressing force decreases. Hand calculation overestimated the deflection when the eccectricity or prestressing force is too small.

      • KCI등재

        SNS(Social Network Service) 콘텐츠 광고속성이 광고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뷰티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박하은(Park, Ha Eun),김성남(Kim, S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SNS광고속성이 뷰티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태도(인지적, 감정적) 및 행동의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끊임없이 성장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전 세계적으로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SNS의 성장과 더불어 뷰티서비스시장에서의 SNS광고 시장도 함께 다양한 유형으로 성장하고 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빠른 정보전달과 다양한 분야에서 최저한의 비용으로 용이하게 지원함에 따라 소비자의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광고 콘텐츠는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도구로서 서비스 및 제품의 정보제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발단은, 소비자가 모바일 SNS 쇼핑의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전후의 과정에서 구매형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며,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광고를 제작하는데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시작한다. 연구 표본의 특성은 SNS이용이 가능한 10-50대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뷰티서비스이용 및 뷰티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특정대상자를 분류하여 총 3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과 AMOS 18.0을 확인적요인분석과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광고속성 중 정보성과 유희성, 신뢰성은 인지적 반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방해성은 인지적 반응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광고속성과 감정적 반응과의 관계에서는 유희성과 신뢰성에서만 정(+)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정보성, 방해성은 감정적 반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정(+)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SNS광고시장이 점점 확대되는 상황에서 광고속성의 영향들을 조사분석하여 더욱 효율적인 SNS광고를 통한 전략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 how SNS highnitive and emotional) and behavior (previously, purchasing intention) about beauty services and product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which are constantly growing, are seem to be in the number of users around the world. Also, along with the growth of SNS, the SNS advertising market in the beauty service is growing into various typ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urchase as it provides quick information delivery and facilitates the lowest cost in various fields. Based on the point at which advertising content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is used as an important tool for communication and as a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services and products, the research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out what the buying patterns are in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consumers decid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mobile SNS shopping, and to produce more active and efficient advertis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were conducted on online survey of users in their 10s and 50s who could use SNS. After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to a total of 500 people, a total of 30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categorizing those who had purchased beauty services and beauty products. The collected data were given to a path analysis to analyze the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AMOS 18.0 to confirm the factors an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playfulness and reliability among SNS advertising attribut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responses, and interference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 effects on cognitive respons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vertising attributes and emotional response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ly on playfulness and reliability, and information and interference had negative effects on emotional responses. Thir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as also shown in all the sub-factors of advertising attitudes and behavior. With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dvertising attributes in the face of the ever-expanding SNS advertising market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strategic operation thr speed affects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s (cogough more efficient SNS advertising.

      • KCI등재

        기독교 문화선교에서 효과적인 비언어 코드 활용 연구 : 스킷 드라마 <내 마음의 버스> 배경음악을 중심으로

        박하은(Park, Ha 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The skit drama is one of the artistic genres used in cultural missionary work in modern Christian worship and missionary activities. However, there is almost no academic research into skit dramas that include Christian pantomime. In this study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kit dramas were discussed and their pros and cons were the analyzed to better determine how they could be practically used in cultural missionary work.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a 2016 skit drama Bus in My Heart. The study focused on the skit’s background music, which is one of the appearance codes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effects and meanings of the background music were analyzed separately as popular music and as Christian music. The background music, used as a non-verbal appearance code, not only creates an atmosphere for the play, but also serves as a linguistic function that conveys the character s intention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story. It also functions to clearly convey the message of the Christian gospel in the skit drama. The application of these functions of background music, in a variety of genres, shows how background music can be us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a message.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show modern Christians that the combination of popular music and the domestic Christian skit drama can help deliver the gospel effectively to non-Christians, and that, through this, religious culture can enter popular culture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스킷 드라마는 현대의 기독교(개신교) 예배와 선교에서 문화선교의 도구로 사용되는 예술적 장르의 하나이다. 그러나 기독교 무언극으로 된 스킷 드라마에 대한 학문적 축적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는 스킷 드라마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스킷 드라마가 지닌 장단점을 작품의 분석방법을 통해 문화선교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고는 2016년 창작된 스킷 드라마 <내 마음의 버스>에서 사용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을 연구하였다. 특히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 외양 코드의 하나인 배경음악에 주안점을 두었는데 스킷 드라마 <내 마음의 버스>에서 사용된 외양 코드로써 배경음악의 효과와 의미에 대해 대중음악과 기독교 음악으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비언어 외양 코드로 사용되는 배경음악은 극의 분위기 조성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의사를 대신 전달하고 캐릭터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극의 상황과 이야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적 기능도 함께 담당한다. 또한, 배경음악은 스킷 드라마에서 기독교적 복음의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스킷 드라마 제작에 있어서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배경음악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방안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대중음악과 기독교 스킷 드라마의 융합으로 현대의 기독교인에게 깨달음을 주고 비기독교인에게는 효과적인 복음전달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더불어 이러한 문화 융합을 통해 종교 문화에서 대중문화로도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박하은(Park, Ha-Eun),김수진(Kim, Soo-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천, 광주, 전남지역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다니고 있는 17세~24세의 학교밖 청소년 1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수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장벽, 진로성숙,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학교를 떠난 기간에 따라 진로장벽의 하위변인인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의 모든 하위변인은 진로성숙의 모든 하위변인 및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성숙의 모든 하위변인은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밖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은 진로장벽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 barrier realized by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resilience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o this end, 181 out-of-school subjects aged between 17 and 24 who attend out-of-school support centers in Incheo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from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utilized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career barrier, career maturity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owever,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time away from school,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lack of career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the career barrier. Second, all sub-variables of the career barrier of youth outside of school appeare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ub-variables and resilience of career maturity, while all sub-variables of career maturity appeare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variables of resilience. Third, the resilience of youth outside of school was found to serve as a partial parameter of the impact of a career barrier on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possible subsequent recommend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