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숙아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요구도

        박지윤 ( Ji Yun Park ),방경숙 ( Kyung Sook Bang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추후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59.3%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2세 미만의 일반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식에 관해 연구한 Cho, Jung과 Kim (2006)의 연구에서 평균 정답률이 70.0%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지식수준이 좀 더 낮으며, Sim, Byon, Park, Park과 Kim (2007)의 연구에서 0~36개월 일반 영아 어머니의 발달 지식 정확도가 50% 내외로 측정된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미숙아의 양육에 대한 어머니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77.8%로 발달지식 보다는 높은 양육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등(2004)의 연구에서 나타난 일반 신생아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정도가 70.12점으로 나타난 결과와 임신기 부모의 양육지식에 관해 연구한 Jang (2006)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평균 양육지식 점수가 69.69점이었던 것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이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지식은 양육에 대한 측면보다도 발달에 대한 측면이 더욱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m 등(2007)은 현재 발달수준에 적절한 보호와 자극이 제공되면 최적의 발달을 이룰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발달 지체나 결손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하면서 어머니에게 영아의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도록 돕는 부모교육의 실시가 시급하다고 하였다. 특히 일반 만삭아들에 비해 발달에 취약한 미숙아들의 어머니는 미숙아의 발달지연을 최소화하고 발달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 어머니들보다 더욱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만 이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교육의 기회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교육 요구도 조사결과 운동발달에서 미세운동에 관해 알고 싶어 하는 어머니들이 많았다.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와 저체중 출생아에서 미세운동 지연과 같은 경미한 운동장애가 나타날 위험이 높으며 학업성취에서도 미세운동 속도에 문제를 갖게 된다는 결과(Bracewell & Marlow, 2002)에서 알 수 있듯이 미숙아일수록 미세운동 발달이 중요한데, 어머니들은 눈에 쉽게 보이는 운동 발달 시기는 잘 알고 있지만 발달적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미세한 발달까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세부적인 발달에 대한 지식이 미숙아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를 예방하고 중재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발달 및 양육지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이 52.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번째는 병원이었다. 이는 Rikhy 등(2010)이 52%의 부모들이 아동발달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보고한 내용과 유사하다. 국내 연구에서는 미숙아 어머니들이 지인들이나 미숙아 부모들로부터 육아정보를 구하고 주로 인터넷에서 발달 정보를 구한다고 하였다(Park & Lee, 2007). 전문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병원이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가 아닌 점은 병원에서는 아기의 임상적인 질병 상태나 건강에 관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하게 되는데, 실제 퇴원 후 아기를 양육하면서는 여러 가지 양육 관련 정보와 추후 발달에 관한 정보를 궁금해 하면서 병원을 통해 전문가의 정보를 얻기 보다는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구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포털사이트나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서도 미숙아 부모 모임을 통해 서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지를 받고 있지만(Lee, 2007), 인터넷을 통한 정보는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신뢰성 있는 정보와 어머니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지지적 관리가 더 중요할 것이다(Kim, 2005). 입원기간동안 병원에서는 전문가를 통해 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양육 및 발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다양한 중재제공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에 의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및 중재는 주로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 가능하겠지만, Ju (2008)의 연구에서 대부분의 미숙아 어머니들이 발달선별검사와 육아상담을 위해 보건소에 내원하기를 거부하였다고 한 것처럼 어머니들이 병원에 발달 및 양육에 대한 교육과 추후 관리를 받기 위해 내원 하기가 힘들다면 미숙아 발달 및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 또는 전문가가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미숙아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더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을 활용하도록 할 경우, 퇴원 후 24시간 비디오 컨퍼런스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을 제공한 경우 부모는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데 자신감을 얻었으며 이는 부모가 도움이 필요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낸 연구(Lindberg, Axelsson, & Ohrling, 2009)와 같이 인터넷에서 비디오와 같은 영상을 통한 전문가의 상담을 부모의 요구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은 만족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현대의 어머니 요구에 적합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의 제공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6명(21.9%)이라는 적은 수의 어머니만이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달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발달 문제를 겪게 될지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한 어머니도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들(Khan et al., 2006; Latal., 2009)에서 미숙아 발달 지연율에 대한 보고에 비해 미숙아 어머니들의 아기의 발달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가 가정에서 아기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임을 고려할 때 미숙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과 인식은 아기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발달 지연을 조기에 발견하고 미숙아를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해서는 미숙아가 퇴원하기 전부터 미숙아 발달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병원에서 전문가에 의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 양육과 관련된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는 발달 증진 방법에 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이상증상확인이었다.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의 세부 항목으로는 성장, 미세운동, 언어발달시기, 발달검사시기, 교정연령에 따른 정상발달에 대한 교육 등 다양하였다. 교육 요구도 항목에서 추가로 기타 항목에 어머니들이 답한 내용에는 ‘시기에 맞는 운동발달’, ‘양육 시 발달의 정상적인 시기별 특징’, ‘아기를 양육하는데 있어 우리 아기에게 맞는 발달 상황’ 이라는 답변들이 있었다. 또한 미숙아 양육과 발달, 운동발달, 발달검사 및 치료의 세부항목에 관하여 모두 알고 싶다고 답한 어머니들도 있었다. 이를 통해 발달에 대한 미숙아 어머니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숙아를 양육하는 데 있어 수유나 목욕과 같은 기본적인 양육 지식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발달증진에 관한 정보는 쉽게 구할 수 없어 발달에 관한 어머니들의 요구가 많은 것이라 생각되며, 발달에 대한 지식 중에서도 발달 시기 또는 교정연령에 따른 발달에 대한 교육 요구가 많으므로 어머니의 요구도와 아기의 발달 시기에 따른 정보의 제공과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발달이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같은 발달 과정이나 원리에 기초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영아의 발달을 도울 수 있으므로(Sim et al., 2007), 연령별 정상 발달에 대한 교육은 어머니의 교육 요구도를 충족시킴과 더불어 추후 미숙아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Tak (2007)과 Park (2011)의 연구에서는 고위험 신생아의 교육 요구는 이상증상 확인과 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고 하였고 다음은 성장발달 순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이상증상 확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 높았지만, 발달증진 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다. Kim(2001)은 미숙아 어머니가 가장 염려하고 있는 아기상태는 모든 월령에서 ‘신체 및 지능의 정상적 발달 여부’ 라고 한 바 있다. 이처럼 미숙아 어머니는 정상적 발달에 대한 걱정이 많은 만큼 관심과 요구도도 높았는데, 이전에는 아기의 현재 질병이나 이상증상에 대한 교육 요구가 더 높았으나 점차 발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Park과 Lee (2007)는 퇴원 후 미숙아 양육에 대한 지침이나 정보가 부재한 상황에서 미숙아를 양육해야 하는 부모들의 고충은 매우 크며 따라서 미숙아 발달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발달 지침과 위험 조짐 등에 대한 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발달 지연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과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 병원에서도 퇴원교육을 포함한 양육 및 발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미숙아의 추후 발달이나 발달 단계에 초점을 맞춘 교육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발달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추후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 된다. 미국에서는 1983년부터 시행한 개별화 장애아동 교육(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를 통해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 정서, 적응에 장애가 있거나 발달 지연이 있는 3세 이하의 모든 아동과 그 가족이 조기 중재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발달 장애의 합병증이 많은 미숙아는 긍정적인 성장 발달의 결과를 보고하였다(McCormick et al., 2006). 또한 발달 중재 프로그램은 병원 입원기간 뿐만 아니라 퇴원 후에도 부모에게 도움이 되므로(Saigal & Doyle, 2008),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정기적인 건강진단과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통한 미숙아 관리 외에 병원에서 의료진이 연결되어 장기적인 건강관리와 조기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소재 S대학병원과 시립 B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모든 미숙아 어머니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더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대상자를 확보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지식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도구로써 도구의 보완이 더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과 양육에 대한 지식과 요구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상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미숙아 어머니의 특성 및 요구도에 따른 교육과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미숙아 관리 프로토콜 개발은 미숙아 어머니가 아기를 잘 발달할 수 있도록 양육하고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간호 실무에서 이와 관련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her`s knowledge of premature development and rearing and their education need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premature mother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as 73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Knowledge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and rearing was measured b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 The education needs about development and rearing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SPSS 20.0.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on development was 59.3 out of 100. The category of knowledge on language development was rated the highest, and motor development category was the lowest. The score of knowledge on rearing was 77.8 out of 100. The knowledge on bathing category was rated the highest and defecation category was the lowest. The growth education needs for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The method for developmental improvement was the highest education needs of premature infant rear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mature infant mothers have less knowledge on premature development than premature rearing, also mothers were interested in development and there were many needs on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

      • KCI등재

        소성 분위기에 따른 인공골재의 미세구조 관찰

        박지윤,김유택,Park, Ji-Yun,Kim, Yoo-Taek 한국결정성장학회 2006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16 No.2

        소성 분위기를 변화시켜 골재를 제조할 때 골재의 중앙에 만들어지는 블랙코어(black core) 형성정도의 차이와 골재 물성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적점토, 탄소(carbon), 산화철($Fe_2O_3$)이 혼합된 직경 10mm 구형골재를 조성별로 산화분위기, 중성분위기, 환원분위기에서 각각 소성시키고 각각의 비중, 흡수율, 블랙코어 면적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산화분위기에서 소성시킨 골재는 껍질(shell)과 블랙코어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반면 중성 및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한 시편에서는 시편의 단면전체에 블랙코어가 형성되었다. 산화분위기와 중성분위기와는 달리 환원분위기에서 소성된 시편에서는 탄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중이 증가했으며, 전반적인 비중은 가장 낮았다. 흡수율은 모든 분위기에서 탄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aggregates made of clay, carbon and $Fe_2O_3$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black core formation and the property differences at various sintering atmospheres. The aggregates were sintered at oxidized, neutralized and reduced atmospheres. The specific gravity, absorption rate, percent of black core area were measured at various compositions and sintering atmospheres. The aggregates sintered at oxidized atmosphere showed clear border between shell and black core area. Hence, the aggregates sintered at reduced and neutralized atmospheres showed only black core area in the cross-section of the aggregate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aggregates sintered at reduced atmosph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s and that was the lowest of all aggregates sintered at various atmospheres. Adsorp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s at all atmospheres.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환경중심언어중재와 PECS중재에 관한 문헌 분석

        박지윤(Ji Yun Park),이은주(Eun-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자연적 교수절차인 환경중심언어중재와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자폐범주성장애인에게 적용한 국내ㆍ외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여 중재별 질적 지표 요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11년도 발표된 국내 석ㆍ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36편, 국외 학술지 게재 논문 18편, 총 54편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지표 요인에 따라 살펴보면 PECS보다 환경중심언어중재 연구의 질적 지표 충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구분 없이 국내ㆍ외 연구를 비교했을 때 국내 연구는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 충실도, 여러 대상 및 상황 실험 효과, 사회적 타당도 영역에 대한 측정과 서술이 국외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복자료비율(PND)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중심언어중재(86.4%)와 PECS(84.9%) 모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의사소통 의도 향상은 환경중심언어중재(86.6%)보다 PECS(94.5%)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발화 증진은 PECS (69.2%)보다 환경중심언어중재(85.1%)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재 연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와 효과적인 중재 선택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resear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quality indicato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hrough meta-analysis by analyzing single-subject researches that applied 2 representative natural teaching procedures, milieu language teaching, and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 to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s: The study analyzed 54 papers including 36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18 papers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from 2000 to 2011. Resul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ality indicators of single-subject researches were analyzed. As a result, milieu language teaching researches had a higher quality satisfaction level than PECS researches. Whe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were compared regardless of interventions, the Korean researches showed poorer measurement and description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fidelity of implementation, ex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than foreign researches. The meta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th milieu language teaching (86.4%) and PECS (84.9%) were moderately effective.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intention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was more effective in PECS (94.5%) than in milieu language teaching (86.6%). Spontaneous improvement was more effective in milieu language teaching (85.1%) than PECS (69.2%).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the present study further discussed elements required for future intervention research and direc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sele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박지윤(Park, Ji-Yun),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1

        이 논문은 대학생의 사교육의 참여 유무와 총 사교육비 및 유형별 사교육비 지출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성별, 학년, 전공계열 및 대학의 설립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구・경북 지역 소재 대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에 대한 인식, 참여도 및 사교육비 지출규모 등이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46.9%가 사교육에 참여하였고, 학생 1인당 연간 134만원의 사교육비를 지출하였다. 이 중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지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전공실무 관련 사교육비, 각종 시험준비 관련 사교육비 순이었다. 중요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 유무에 있어서는 성별, 학년, 평점, 전공계열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학년이 높아질수록, 평점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연계열에서 사교육 참여율이 높았다. 반대로 대학의 취업관련 교육 환경 만족도와 전공 관련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지속적인 취업지원 노력과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되는 교육과정 개발이 대학생의 사교육 참여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총 사교육비의 지출에 있어서는 학년, 부(父)의 학력, 월평균 소득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 부의학력,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총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사교육비 중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의 지출은 학년, 부의 학력, 월 평균 소득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총 사교육비의 많은 부분을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가 차지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시험준비 관련 사교육비 지출은 성별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for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4 question items asking about private tutoring for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otal 720 college students at random classifying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by sex, grade, GPA,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environment, satisfaction on major, and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Female students, high graders, students with high GPA, and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were more involved in private tutoring.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rivate tutoring cost by grade,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and parents' income. Students having higher grad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and higher parents' income spent more money as total private tutoring cost. Thir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by grade,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and parents' income. These results are the same as those of total private tutoring cost and it may be reason that many part of them consisted of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preparation for various examinations by sex. Male students spent more money as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preparation for various examination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지윤(Ji Yun, Park),이영호(Young Ho, Lee)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문제가 되는 시점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개입을 통해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의 모형과 개발과정은 Rothman과 Thomas(1994)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인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5단계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보육교사 11명에게 실시하였다. 또한, 무처치 비교집단 11명과 비교하여 개입 효과를 검증하였다. 집단 참여자들은 8회기로 구성된 1박 2일의 집중형 집단상담을 처치하였다. 효과성 측정도구로는 보육교사효능감 척도가 활용되었으며, 각 집단에서 보육교사효능감 측정치를 프로그램 사전, 사후 및 1개월 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자기-재양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서는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적 활용에 대한 기여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program that incorporates scientific research methods of intervention study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o assessment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absence of the TA self-reparenting program to enhance the day care teachers efficac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of Rothman and Thomas (1994), a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model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ite, was used. The 5 stages of program development model consisted of program planning and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design, field experiment, and the final program development stag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leven day care teachers.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of eleven who received no treatment. The group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treatment of intensive group counseling, which consisted of eight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for two days and one night. Day Care Teacher Efficacy Index was adapt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day care teacher efficiency was collected from each group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as well as one month after the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A self-reparent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contribution of TA self-reparenting program to its application in social welfare,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 SCOPUSKCI등재

        균일용액침전법을 이용한 침전제의 농도와 합성 시간에 따른 Mn이 대체된 바륨 헥사알루미네이트의 합성의 영향

        박지윤 ( Ji Yun Park ),정유식 ( You Shick Jung ),이영우 ( Young Woo Rhee )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3

        BaMnAl<sub>11</sub>O<sub>19</sub> was prepared by urea-induced homogeneous precipitation and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t increased precipitant concentrations, AlOOH replaced Al(OH)<sub>3</sub> as an Al precursor. BaMnAl<sub>11</sub>O<sub>19</sub> exhibited enhanced catalytic combustion performance and inhibited CO generation. Catalytic performance was also enhanced by the presence of BaAl<sub>2</sub>O<sub>4</sub> and BaMnAl<sub>11</sub>O<sub>19</sub>. Compared to BaAl<sub>2</sub>O<sub>4</sub>, BaMnAl<sub>11</sub>O<sub>19</sub> exhibited superior catalytic combustion activity.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가치 효과와 모멘텀 효과

        박지윤(Ji-Yun Park),임병진(Byung-Jin Yim)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3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verall and consistent momentum phenomen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by constructing a portfolio that considered both the value effect and the momentum effec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ignificant performance of the momentum investment strategy using this portfolio. Design/Methodology/Approach First, we constructed a portfolio that considered both the value effect and the momentum effect. From 2010 to 2019, the stocks belonging to the securities market and the KOSDAQ marke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undervalued (PBR<1) and overvalued (PBR>1) based on the time of analysis (t). After that, Each group is subdivided into 10 portfolio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nthly return. Next, we analyzed the returns of these portfolios based on Jegadeesh and Titman (1993)’s J/K strategy. Finally, we analyzed the significant performance of the momentum investment strategy(A strategy to sell stocks with low returns in the past and buy stocks with high returns in the past.) Findings First,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consistent momentum phenomen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Second, we confirmed greater positive momentum effect in the winner’s portfolio, the shorter the rating period (J) and the longer the holding period (K). Third, we confirmed that when holding a long-term (k=6,9,12), a portfolio that considers both the value effect and the momentum effect can expect a higher rate of return.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momentum investment strategy using this portfolio has a significant excess return. Research Implications Our research can suggest new stock selection criteria for investors by constructing a portfolio that considers both value and momentum effects. In addition, our research can also suggest an effective trading strategy for buying stocks with high returns and selling stocks with low returns after analyzing the returns of the portfolio organized each month and it will lead investors to successful investments by measuring the rating period and holding period with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스쿼트 운동 시 탄력밴드를 이용한 상지 저항 방향 변화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윤(Ji-Yun Park),안덕현(Duk-Hyun An),이세린(Sae-Rin Lee),신선실(Sun-Shil Shin),전인철(In-Cheol Jeon)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 2024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지 Vol.4 No.1

        Background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show weakness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VMO) and gluteus maximus (GMax) muscles. Closed chain exercises, such as squats, are more effective in a knee injury rehabilitation program than open chain exercises. Squat exercise accompanied by upper limb movements can selectively activate the VMO and GMax,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loaded shoulder movements are more effectiv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MO, VL, and GMax muscles activities during a squat exercise with shoulder horizontal abduction (SHA) and scapular plane abduction (SPA) using an elastic tubing band. Methods Seventeen female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traine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measurement process in advance for 10 minutes before measuring. During squat exercise with loaded shoulder movements, the VMO, VL and GMax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through electromyography (EMG).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a Bonferroni adjustment was performed i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 = 0.05. Results Muscle activities of the VMO, VL and GMax have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loaded shoulder movements (without tubing band (WT), SHA, SPA). In addition, the muscle activity of all muscles was higher in SHA than in WT, and higher in SPA than in WT. VMO/VL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quat exercise with SHA movement.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squat exercises with loaded shoulder movements were more effective in the VMO and GMax muscle activity compared to squat exercises without upper limb movements. These findings support that additional loaded shoulder movement is a more effective strategy to facilitate the VMO and GMax muscle activation during a squat exercise.

      • KCI등재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연령과 평균형태소길이의 특성

        박지윤 ( Ji Yun Park ),석동일 ( Dong Il Se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to compar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language age and MLU-m characteristics. Subjects included 26 children of 3 to 6 years old in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24 children of monolingu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5 years of receptive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ages in expressive age.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ge and expressive age among age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results of one-way ANOVA.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years and 5 year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in results of one-way ANOVA. These results showed that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delayed than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language development, though their language competence growed like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So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need some mediation for their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