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 시간 사용 종단적 변화와 부모 애착 간 관계

        윤정(Yun Jung),박지순2(Park Ji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이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 시간 사용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인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시간활용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형태를 추정하고 변화 사이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모형을 활용하였다. 변인의 변화를 예측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함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시간은 선형적 변화를 보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부모의 학력 및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시간 사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부모애착 중 부모의 경제적 지원은 여가시간의 초기값에는 영향을 주지만 이후 변화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초기값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후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이 여가시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eisure time use of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from school.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Korean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s Youth Panel Survey was used to analyze. A model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change in the use of leisure time of the study subjects, that is adolescents who stopped study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the change of the variable, to find out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o verify the model inclu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time of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from school showed a linear change, and decreased as time passed.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leisure time by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from school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gend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economic level). Third, parents economic support among parental attachment affects the initial value of leisure time, but it does not affect the rate of change afterwards. Parents emotional support does not affect the initial value, but significantly affects the rate of change afterward. Based on the results. we hope this study could provide general discussion for establishing the support necessary to ensure that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from school can use their leisure time appropriately.

      • KCI등재

        소규모사업장에 대한 퇴직연금 적용의 개선방안: 4인 이하 사업장을 중심으로

        박지순 ( Ji Soon Park ),성주호 ( Joo Ho Sung ) 한국보험학회 2011 保險學會誌 Vol.90 No.-

        2010년 12월 1일부터 4명 이하 사업에 대해서도 퇴직급여제도가 확대 적용됨에 따라 전(全)근로자 퇴직급여보장시대가 개막되었으며, 2010년 6월 30일에는 전면 개정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개정 근퇴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세사업장으로 분류되는 30명 이하 사업장에 대한 개정 근퇴법의 적용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사업장의 특징을 분석한 다음,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퇴법은 퇴직급여제도가 공적연금을 보완함으로써, 근로자의 노후생활보장을 위한 다층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퇴직급여제도는 근로자를 위한 다층적 노후보장시스템으로서는 사실상 제약이 많다. 특히 법정 퇴직급여제도가 처음으로 적용되는 4명 이하 사업에 대하여 현재의 퇴직급여제도가 그대로 적용될 경우 상당한 혼란과 분쟁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4명 이하 사업을 포함한 30명 이하 사업장에 대해서는 최근 영미의 개선방안처럼 퇴직연금제도에 자동 가입시키고 운영전반을 관장하고 책임지는 공공기관형 표준 DC 퇴직연금제도(public trusted DC plan)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이 논문은 저소득근로자에게 필요한 퇴직연금제도의 기본적 유형, 즉, 표준 DC을 정립하고 공공기관형 도입이 필요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며, 다른 퇴직연금제도와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This paper is primarily aiming at investigating the demographic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the micro-firms, in particular with no more than 4 employees and then specifies the practical relation between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Reform) (hereafter ERBSA) and micro-firm pension plan newly introduced as from 1st Dec. 2010. And also, we diagnose the inherent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micro-firm pension plan. Finally, we suggest alternatives for its improvement. ERBSA was passed at October 30, 2010, in order to make up for the unsustainable of public pension system and to provide another retirement income security for employees. In this aspect, somewhat confusion and conflicts will emerge if ERBSA is applied to small business without considering its business limits. Therefore, it is even more efficient to simplify current retirement plan options(such as defined benefit, defined contribution and internal funding(i.e. book reserve)) in a direction to allowing only in a standard form of defined contribution having the feature of opt-out. Accordingly, the operating organization is required to be non-profit and to take all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related to its management (simply, this system shall be here called the public trusted micro- workplace pension plan).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applicable and logical framework for pension operating model, in particular for lower income employees: that is, public trusted micro-workplace pension plan. In addition, we clarify its practical merits and differentiation, comparing with other large company pension systems managed by private financial institutions. found.

      • KCI등재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 분석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학습자 자료의 대조를 중심으로-

        박지순 ( Park Jiso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1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foreign students` writing text to Korean students` in language proficiency and text structure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proficiency and text structure using statistic methods. To analyze which factor influences on evaluation result is another purpose of this work.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the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ers` text appeared to be lower than Koreans` in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Secondly, Koreans` text structure appeared to be similar to high rank writers` while foreigners` appeared to be similar to low rank writers`. Lastly, the higher the language proficiency of the foreigner`s text is, the more similar characteristics to Koreans` appeared.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KAP writing education need to be focused on text structure instead of language form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 기능 문장 사용 양상 분석 - 준구어 말뭉치 분석을 바탕으로 -

        박지순 ( Ji Soon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이 연구는 질문의 발화수반력을 갖는 문장 즉, 청자에게 정보를 요구하는 문장을 의문 기능의 의문문으로 보고 의문 기능을 수행하는 언어 형식과 그러한 형식이 나타나는 화용적 맥락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적 준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총 1,785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하여, 일차적으로 의문 기능의 문장을 선별하고, 이차로 의문 기능을 갖는 각 문장을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평서문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화용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형에 따른 맥락 정보와 의미기능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내용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의문 문형을 사용하여 청자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에 대해 확인을 구하며, 때로는 정보를 강조할 것인가에 대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의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nguage patterns that function asking information from listener as well as to analyze context in which those patterns are used. In analyzing, 103,442 words routine semi spoken data was used and 1,785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found. These interrogative sentenc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general interrogative sentences,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nd declarative sentences. The result showed that interrogative patterns have different illocutionary acts one another; question, check for supplementation and emphasis, and that some language patterns appeared to have different illocutionary acts in different context. Those results could be useful basic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choosing interrogative patterns depending on speech context.

      • KCI등재

        파견과 도급의 구별에 관한 법리 -대법원 2010.7.22. 선고 2008두4367 판결 및 2012.2.23. 선고 2011두7076 판결을 중심으로-

        박지순 ( Ji Soon Park ) 안암법학회 2012 안암 법학 Vol.0 No.38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legal logics on differentiation of dispatch contracts and subcontracts reflecting a recen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n Hyundai Motor Company case which acknowledged that workers who worked for subcontractor in the employer(user)`s workplace as a servant based on a subcontract agreement or a mandatory contract between companies are employees under a worker dispatch contract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In regard to defining the type of so-called in-house subcontracting, distinction of dispatch contracts and subcontracts lies on whether the subcontractor bears partial defect liability on the basis of clear legal obligations. Similarly, dispatch contracts and mandate contracts should be distinguished by whether the subcontractor independently takes command of its employees. Labor law has an important bearing on corporations in view of their needs to prompt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and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market. Therefore, applying laws based on specific phrase or expression for strengthening particular legal relations without considering context of actual matters can bring about ill effects that also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labor market as a whole. The body of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In chapter Ⅱ, the significance of in-house subcontracting and related issues in labor law were discussed in context with management rationalization, subcontracts and indirect employment. Chapter Ⅲ focused on defining legal criterion to distinguish dispatch contracts and subcontracts presenting a methodological principle whi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ubstance of the contract. Also the purpose of the Dispatched Workers Act as well as definition of dispatch and normative meanings of employer`s command were discussed in chapter Ⅲ. In chapter Ⅳ, general analysis and assessment on the in-house subcontract of Hyundai Motor Company in ques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형 근로자대표제도의 構想

        박지순(Ji-Soon, Park)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8 노동법논총 Vol.42 No.-

        The collective labor relations system centering on labor unions has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It is difficult to form equal working conditions for workers because of low organization rate. In addition, since unions have a limited organizational scope, it is also difficult to adjust working conditions to reflect the diverse interests of workers. It is also request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workers be expanded in personnel management and management matters. The workers ‘representative system should be reconstructed in a dual structure by employing workers’ representative system based on democra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labor-oriented labor relations system. In the long run, there are many claims that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with the representative system of workers such as the German employee representation system. In particular, it is clear that the representatives of workers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interests of the large number of SMEs without labor unions. The views expressed so far have only partial differences in how the current workers" representative system and the labor-management council system in related existing law should be reconstructed in the short term, while sympathizing with these directions and improvement plan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장애인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박지순 ( Park Ji-s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장애인 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학문분야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을 수집하고 최근 10년간의 해당 분야 연구 결과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후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연구의 연구 주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해 키워드 클렌징 작업을 거쳐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키워드 클렌징을 통해 총 841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고 그 중 최소 5회 이상의 빈도로 나타난 키워드는 106개로 주요 키워드에는 통합교육, 교사, 장애학생, 교육과정, 학생 등이 있었다. 둘째, 장애인 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교사, 학생, 장애학생, 통합교육, 학교, 특수교육, 지원, 장애아동, 발달장애, 장애인이라는 키워드는 중심성을 나타냈고, 네트워크 분석의 유목화 과정을 통해 총 9개의 집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인 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새로운 연구주제 및 방향을 설정하고 학문 분야의 나아갈 길을 조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academic field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explor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recent ten years articles related wi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o extract the keyword from those articles that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eyword cleansing were conducted to arrange the keyword for research titles, and also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keyword.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totally 841 of keyword were extracted from keyword cleansing process, and among those keyword, there were 106 keyword which emerged more than five times. And those were inclusive education, teac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and students. Second, in keyword network analysis about articles related wi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eacher, studen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sive education, school, special education, supports,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howed higher centrality, and grouping process through the clustering of network analysis drew nine sub-groups in articles related wi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ntributed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wi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lso could be helpful for orientation and prospect of follow studies in this field.

      • KCI등재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박지순(Park, Ji-Soon),배달샘(Bae, Dal-Saem),신지연(Shin, Ji-Yeon),한정규(Han, Jeong Gy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교육디자이너에게 실제로 요구되고 있는 직무와 역량을 분석하여 교육디자이너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교육디자이너가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디자인은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의 주체가 새로운 교육체제를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말한다. 교육학 분야에서 양성된 교육혁신 전문 인력은 생애 진로-경력과 교육조직, 교육생태계 그리고 국제교육협력 수준에서 다양한 내용의 교육디자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적 역량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러한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국내와 달리 국외의 경우 교육현장에서 교육디자이너라는 이름의 전문가가 실제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교육현장에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변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들의 역할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국외의 교육디자이너 직무명세서와 구인광고 글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빈번하게 나타난 키워드를 파악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연구를 통해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디자이너의 역할 및 역량뿐만 아니라 주로 짝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는 역할과 역량을 바탕으로 교육디자이너의 주요 역량과 역할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디자인 개념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고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을 수립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education designers in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duties and competencies that are actually required for educational designers. Educational design refers to comprehensive method for new subject of education to design and implement a new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Research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and capacity of the education designers, we use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In foreign country, howeer, there is a specialist named education designer at the educational field. They are applying creative design concept to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we have collected a wide range of job descriptions and job advertisements from foreign educational designer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main competencies and roles of educational design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role and capacity of education designers, which are frequently showed up, as well as the roles and competencies that are mainly expressed in pair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to apply the concept of educational design which will be being used abroad and to establish the role and capacity of education designers in Korea.

      • KCI등재

        산재보험의 적용확대에 관한 정책적 과제

        박지순(Park, Ji Soon),정정임(Jeong, Jeong-Im)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5 사회보장법학 Vol.4 No.2

        산재보험은 근로기준법상 책임보험을 기초로 제정되었으나 산업이 고도화되고 위험요인이 다양해지면서 적용대상의 확대, 재해범위의 확대 등을 거치면서 점차 사회보장법으로서의 지위를 구축하게 되었다. 최근 노사정 3주체는 노동시장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획기적으로 확충하여야 한다는 데에 합의하였다. 본고는 산재보험법 개혁을 위한 핵심이슈의 하나로 최소한 근로자와 그에 준하는 자의 보호범위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보험급여의 대상을 출퇴근재해로 넓혀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그 기술적 보호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업무상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등장한 감정노동에 대한 산재보험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다만 입법안을 검토할 때에 현행 산재보험법 전체 체계와의 조화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Workers’ compensation based on liability insurance under the Labor Standard Act has constructed the legal position as Social Safety Law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industrial structures and diversification of hazard factors. Recently,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of Korea has agreed that the socal safety net has to be significantly expanded to improve of labor market structures. As one of core issues for reforming Industrial Compensation Law, the present paper suggests some technical protection measures based upon the premise of at least progressively expending protection to workers and people equivalent with them and widening the subjects of insurance benefit to cover commuting accident victims. And applicability of industrial compensation to emotional labor is also studied, which has been recently appeared as a risk factor of occupational diseases. However, when reviewing the legislation bills, it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balance of the entire system of the current law.

      • KCI등재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의 보편적 활용을 위한 쟁점과 과제

        박지순(Park, Ji-soon),최홍기(Choi Hong-ki)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1 노동법논총 Vol.52 No.-

        오늘날 국제적으로 살펴볼 때, 출산 및 양육과 관련한 제도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법률은 여전히 ‘근로자’를 중심으로 수급범위를 정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노무종사자가 등장하고 있는 노동시장의 상황에,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략적인 관점을 더하여 출산 양육과 관련한 제도의 패러다임을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이미 주요 국가들에서는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를 단지 임금근로자만이 아니라 자영업자에게도 보장하는 경우를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 제도의 경우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등 다수의 국가들에서 임금근로자뿐만 아니라 자영업자에게도 보장하고 있으며, 육아휴직 제도의 경우 독일, 프랑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에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에게 보장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합계출산율이 급락했던 주요 OECD 국가(예, 독일, 프랑스 등)들이 2000년대 이후 적극적인 출산·양육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합계출산율을 다시 회복하고 있는 부분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고용형태, 계약형식 등을 불문하고 모든 일하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보편적인 사회안전망 제도가 확충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자영업자 등 출산 및 양육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사람들도 제도권 안으로 편입시켜 보호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하는 사람 누구나 소득감소와 경력 단절에 대한 걱정없이 결혼과 출산, 나아가 양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의 보편적 활용을 위한 제도 설계가 불가피하다. 최근 산업구조의 변화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 저출산의 심각성 등을 고려한다면 보다 근본적이고 과감한 설계가 필요하다.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 출산휴가 육아휴직 제도의 기존 패러다임을 일하는 사람을 위한 부모휴가 또는 부모휴직제도로 전환하여 이들의 일·가정 양립, 모성보호 및 양성평등 등을 강화함으로써 저출산 문제의 해법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Today, despite the general and universal nature of the support system related to childbirth and childcare, the related laws still have a problem because they center the supply and demand range on traditional worker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ystem’s paradigm related to childbirth and childcare by adding a strategic perspective to solve the low-fertility problem in the current labor market. In major countries,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systems can be guaranteed to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For example, the maternity leave system is granted to self-employed people and wage workers in numerous countries, including Austria, Belgium, Denmark, France, the Netherlands, Norway, and the United Kingdom. Childcare leave is granted to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in Germany, France, Denmark, and Norway. Some OECD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and Korea, have seen their fertility rate plummet and have been actively promoting childbirth and childcare support policies since the 2000s. Therefore, the total fertility rate is recovering, and these experiences provide us with valuable insights. In the wake of the recent COVID-19 crisis, there has been an active discussion that a universal social safety net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protect all workers regardless of employment and contract type.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corporate and protect people in the blind spots of childbirth and childcare, such as special types of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To achieve the policy’s goal that all working people can marry, give birth, and bring up children without worrying about income reductions and issues around taking a career break, it is required to design a system for the universal use of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Given the recen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styles, and the seriousness of low fertility rates, a more fundamental and drastic design is required. It is imperative to strengthen work life balance, maternity protection, and gender equality by converting the existing paradigm of maternity and childcare leave system centered on employees to a parental leave system for all workers. Through this, it is an important task to prepar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