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ull-pipelined CTR-AES를 이용한 Giga-bit 보안모듈 설계

        박주현,김영철,김광옥,Park, Ju-Hyun,Kim, Young-Chul,Kim, Kwang-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6

        현재 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재정적인 변화와 개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원격의료에 이르기까지 점점 GPON 사용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PON의 다중사용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커뮤니케이션 보호를 위한 보안의 필요성이 더더욱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Virtex4 FPGA를 기반으로 AES의 카운터 모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구조는 pipeline 구조 구현을 위하여 크게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1) composite filed 연산을 이용한 Subbyte, 2) efficient MixColumn transformation, 그리고 3) on-the-fly key scheduling이다. 구현된 S-box는 면적의 17% 감소와 on-the-fly key 스케줄링 기법으로 pipeline 구조에 특화된 key-expander 기능을 구현하였다. Nowdays, homes and small businesses rely more and more PON(Passive Optical Networks) for financial transactions, private communications and even telemedicine. Thus, encryption for these data transactions is very essential due to the multicast nature of the PON In this parer, we presented our implementation of a counter mode AES based on Virtex4 FPGA. Our design exploits three advanced features; 1) Composite field arithmetic SubByte, 2) efficient MixColumn transformation 3) and on-the-fly key-scheduling for fully pipelined architecture. By pipeling the composite field implementation of the S-box, the area cost is reduced to average 17 percent. By designing the on-the-fly key-scheduling, we implemented an efficient key-expander module which is specialized for a pipelined architecture.

      • KCI등재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

        박주현,변우열,Park, Juhyeon,Byun, Woo-Yeoul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대한 학교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154개교의 초, 중, 고등학생 5,349명을 대상으로 독서환경, 학교도서관, DLS와 관련된 내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사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보다 사서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독서하는 시간이 더 많았고,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읽을 책을 선정할 때 사서교사의 도움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을 더 많이 대출하였고, DLS를 이용한 경험이 많았으며 DLS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차이는 '사서선생님의 수업', '대출권수', '책 선정시 사서선생님의 도움', '하루 평균 독서시간', '가정 보유 책 수', '학교도서관에서 책읽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간의 교육환경에 대한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n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5,34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154 schools across Korea, and conducted a survey on reading environment, school library, and D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at the school where teacher librarians works are more likely to read books, participate in various reading programs, receive more help from teacher librarians in selecting books to read, lending more books, have more experience with DLS and satisfaction with i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s were in the order of 'classes which school library personnel took part in,' 'number of borrowed books,' 'help in selecting books,' 'average reading time per day,' 'number of home books,' 'reading in school libr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lacement of school library personnel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prevent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tween schools.

      • KCI등재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주현,홍현진,Park, Ju-Hyeon,Hong, Hyun-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1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Individual School library should contribute from school educational objectives 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objectives. When school libraries have accountability, consulting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 the school library education is needed.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even components.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is proposed with seventy-two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Results of the evaluation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consulting supervision.

      • KCI등재

        스타형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화 및 술폰화

        박주현,김진봉,양갑승,이무성,Park, Ju-Hyeon,Kim, Jin-Bong,Yang, Kap-Seung,Lee, Moo-Sung 한국섬유공학회 200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4 No.3

        매트릭스가 폴리스티렌이고 분산상이 폴리부타디엔인 스타형 블록공중합체의 물성을 개선하고 고분자 전해질의 매트릭스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타형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화/술폰화 개질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수소화제로 p-toluenesulfonylhydrazide/tri-n-propyl amine을 사용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수소화 반응 속도의 변화로부터 구한 스타형 SB 공중합체의 수소화 반응 활성화 에너지는 89kJ/mol이었다. 2. 수소화 반응에 의해 부타디엔 단위가 지방족 탄화수소로 변화되어 분산상인 PB 영역의 유리전이온도가 $50^{\circ}C$ 정도 증가하였으나, 열안정성은 다소 감소하였다. 3. 수소화된 SB(H-SB)를 acetyl sulfate를 사용하여 술폰화한 결과, $65^{\circ}C$의 반응온도에서 60분 이상 반응시키면 한계 술폰화 정도에 도달하며, 술폰화제이 양이 증가할수록 술폰화 정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계 술폰화제의 양을 넘어서면 불용의 전해질이 얻어진다. 4. 술폰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화함수율과 이온전도도 모두 증가하며, 23 mol% 정도 술폰화된 경우 함수율과 이온전도도는 각각 18%, $1.6{\times}10^{-3}S/cm$이었다. Hydrogenation and sulfonation of a star-type styrene-butadiene copolymer (SB), in which styrene domain is matrix,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polymer electrolyte. Mixtures of ${\rho}-toluenesulfonylhydrazide$ and tri-n-propyl amine and acetyl sulfate were used as hydrogenating and sulfonating agents, respectively. Activation energy for the hydrogenation of SB was 89 kJ/mol. The degree of sulfonation in hydrogenated SB (H-SB) was dependent on the reaction time and the amount of acetyl sulfate. After 60 min at $65^{\circ}C$, the degree of sulfonation does not change further and insoluble products were also obtained above 40 mol% of the degree of sulfonation. Both the water uptake and proton conductivity of sulfonated H-SB (SH-SB) were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sulfonation. For the SH-SB with 23 mol% of sulfonic acid moiety, ionic conductivity was $1.6{\times}10^{-3}S/cm$.

      • KCI등재

        필리핀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분석과 시사점 탐색

        박주현,Park, Ju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필리핀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MIL) 교육과정과 지도서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참고가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필리핀 교육부는 고등학교 2~3학년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핵심 교과목으로 MIL을 운영해오고 있다. 필리핀의 MIL은 정보·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가 통합된 도구 교과로 MIL 교육과정에는 총 17개 대단원이 한 학기 20주, 총 80시간에 걸쳐 운영되도록 설계되었으며 2개의 내용 기준, 2개의 성취기준, 58개의 학습 역량이 제시되어 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MIL 교육과정에 제시된 대단원을 교과 내용의 상위 범주나 핵심 개념이라는 지식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 둘째, MIL 교육과정에 사용된 용어에 대한 개념과 개념에 따른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MIL 교과서에 실습 때 필요한 내용을 명시하고 기능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UNESCO가 제안하였고 필리핀에서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MIL을 국내에서도 교과목으로 지정하고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operating the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 curriculum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MIL curriculum and guidance in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 Ministry of Education runs the MIL as a core subject that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2-3 had to complete. MIL in the Philippines is a tool curriculum that integrates information, media, and digital literacy. In the MIL curriculum, a total of 17 units are designed to be operated for a total of 80 hours, 20 weeks in a semester. And it presents two content criteria, two achievement criteria and 58 learning competencies.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pter presented in the MIL curriculum can be composed only of the knowledge of a higher category or core concept of subject cont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oncept of the term used in the MIL curriculum and specific examples according to the concept. Thir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contents necessary for practice in the MIL textbook and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for the function. MIL, proposed by UNESCO and designated and operated as a subject in the Philippines, needs to be designated as a subject in Korea and operated as a curriculum.

      • KCI등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박주현,강봉숙,Park, Juhyeon,Kang, Bong-su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을 규정하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현장 전문가 대상 인터뷰, 사서교사 대상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미디어를 정보를 활용하는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정보문제해결능력과 독해능력, 미디어의 기능, 사례 활동, 정의적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사서교사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있어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비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개념을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복된 영역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민주사회에 참여,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의 종류, 인간의 기본권, 기능, 디지털 도구 조작, 정보 문제 해결 과정이 맥락에 따라 결합되어 응용될 수 있도록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and surveys with teacher librarians were conducted. The field experts recognized the media as a tool to use information and recognized information problem-solving skill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media functions, case activities, and affective domain as the area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teacher-librarians thought that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which include its competency and educational conten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as defined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cluding the concepts of literacy,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developed so that 'participation in democratic society', 'classification of media tools and contents', 'basic human rights', 'skills', 'digital tool manipulation' and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an be combined and applied in context.

      • KCI등재

        도시 하수관거 설계 방법의 적정성 평가

        박주현,김선호,배덕효,Park, Ju-Hyun,Kim, Seon-Ho,Bae, Deg-Hyo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식 기반의 하수관거 설계모델 Makesw와 도시유출해석모델 SWMM을 활용한 국내 하수관거 설계 방법의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상유역으로는 군자배수구역을 선정하였으며, 강수량, 유량, 토지피복도, 토양도, 불투수도, 수치지형도의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량 산정에 활용하였다. 적정성 평가는 SWMM 기반 홍수량을 기초로 Makesw 기반 홍수량과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홍수량 비교분석은 설계강우와 실제 침수강우사상 기반의 Makesw와 SWMM의 홍수량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설계강우 기반 홍수량 비교 결과 유역의 간선에서는 합리식 설계홍수량이 SWMM 설계홍수량보다 과대모의 하였으나, 유역 내 지선에서는 합리식 설계홍수량이 과소모의되는 관거가 다수 나타났다. 또한 실제 침수사상 적용 결과, 간선 및 지선에서 합리식 모델의 홍수량이 SWMM의 홍수량보다 과소모의되는 관거가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유역 중심에 위치하는 간선, 1차 2차지선에서 유량 차이가 큰 관거가 집중되었다. 따라서 합리식 설계방법은 보수적인 설계방법이라고 말하기 어려우며, 하수관거 설계시 정상류해석 방법인 합리식과 부정류 해석방법인 SWMM을 활용한 설계를 병행하고 안정적인 해석결과를 활용하여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methodology for designing urban sewer system using a rational method-based model, Makesw and an urban runoff model, SWMM. The Gunja basin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and precipitation, runoff, vegetation, soil, imperviousness data were used to estimate floods. The appropriateness of methodology was evaluated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between floods estimated from Makesw and SWMM. The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floods estimated from Makesw and SWMM, which were simulated using design rainfall and measured rainfall from past inundation events.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design rainfall, the rational method-based floods were larger than that based on SWMM in all main lines. However in several branch lines, the rational method-based floods were smaller than thoes based on SWMM. In addition, for the case of measured rainfall from past inundation events, it was easily to find the main and branch lines where the rational method-based floods were smaller than SWMM based ones. Especially, the lines where rational method-based floods were underestimated, were mostly main, $1^{st}$, $2^{nd}$ lines. It was concluded that the rational method-based results were not conservative. Based on rational method (steady flow analysis) and SWMM (unsteady flow analysis), the more conservative results the method provides, the more highly it is recommended to use in designing an urban sewer system.

      • KCI등재

        한국 부안 지역 해안 대수층 내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에 대한 단층 존재의 영향 삼차원 수치 모의

        박주현,김중휘,김한태,김준모,Park, Ju-Hyun,Kihm, Jung-Hwi,Kim, Han-Tae,Kim, Jun-M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8 지하수토양환경 Vol.13 No.5

        A series of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using a generalized multidimensional hydrodynamic dispersion numerical model is performed to simulate effectively and to evaluate quantitatively impacts of fault existence on densitydependent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in coastal aquifer systems. A series of steady-state numerical simulations with calibration is performed first for an actual coastal aquifer system which contains a major fault. A series of steadystate numerical simulations is then performed for a corresponding coastal aquifer system which does not have such a major fault. Finally, the results of both numerical simulation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the major fault produces hydrogeologically significant heterogeneity and true anisotropy in the actual coastal aquifer system, and density-dependent groundwater flow, salt transport, and seawater intrusion patterns in the coastal aquifer systems are intensively and extensively dependent up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uch a major fault. Especially, the major fault may act as a pathway for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its plane, while it may also behave as a barrier against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s plane. 해안 대수층 내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에 대한 단층 존재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모사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하나의 범용 다차원 수리동역학적 분산 수치 모델을 이용한 일련의 삼차원 수치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먼저 단층이 존재하는 실제 해안 대수층에 대해 보정을 병행한 일련의 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을 수행한 다음에 이러한 단층이 존재하지 않는 해안 대수층에 대해 일련의 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 모델링 결과는 단층이 실제 해안 대수층 내에 수리지질학적으로 중대한 불균질성과 진이방성을 야기시키며, 해안 대수층 내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그리고 해수 침투 양상이 이러한 단층의 존재 여부에 크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좌우됨을 보여준다. 특히 단층은 단층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지하수 유동과 염분 이동에 대해서 통로로 작용하지만, 단층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지하수 유동과 염분 이동에 대해서 방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한정된 저장 공간상에서 이동 객체 궤적들에 대한 개선된 분할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박주현,조우현,Park, Ju-Hyun,Cho, Woo-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9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지속적으로 위치가 변화하는 시공간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공간 오브젝트는 많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이 오브젝트의 모든 궤적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것은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저장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궤적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선된 분할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MBR들의 면적을 최소로 하는 궤적들을 분할하는 k split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실험의 결과로 제시하는 분할 방법이 다른 알고리즘보다 더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network technolog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spatiotemporal object which changes their location is used in various application. Each spatiotemporal object has many location information, hence it is inefficient to search all trajectory information of spatiotemporal objects for a range que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which divides a trajectory and stores its division data on restricted storage space. Using suboptimal split algorithm, an extended split algorithm that minimizes the volume of EMBRs(Extended Minimum Bounding Box) is designed and simulated. Our experimental evaluation confirm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ur proposed splitt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