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센서 어레이 신호 검증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박종식,이성수,Park, Jong-Sik,Lee, Seo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1

        최근 환경 감시용 센서장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지능형 로봇의 센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한 감지, 검출 시스템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의 물리적 상태 변화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센서의 노후화나 다양한 측정 환경으로 인하여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에 적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센서 신호 처리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동일 센서를 복수의 어레이 구조로 배치하고 사용하였다. 여러 센서의 측정된 데이터의 시간적 상관관계와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의 이상 유무 확인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랫폼 구성요소 간 통신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As sensor technology grows up in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hazards detecting system, ubiquitous sensor network, intelligent robot, the sensing and detecting system for sensor is increasing. The sensor data is measured by change of chemical and physical status. Because of decrepit sensor or various sensing environment, it is problem that sensor data is inaccurate result. So the reliability of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s a reliable sensor signal processing platform for various sensor. To improve reliability, we use same sensors in multiple array structure. As sensor data is corrected by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or measured sensor data, reliability of sensor data can be improved. The exclusive protocol between platform components is designed in order to verify sensor data and sensor state in various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메탄 활성화반응에서 산화칼슘 촉매의 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

        박종식,공장일,전종호,이성한,Park, Jong Sik,Kong, Jang Il,Jun, Jong Ho,Lee, Sung H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6

        순수한 CaO, Mn-doped CaO, Mn/CaO, K/CaO 촉매를 제조하고 이들의 메탄 활성화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을 600∼800$^{\circ}C$ 온도영역에서 실험하여 산화칼슘의 촉매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촉매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선 분말회절분석(XRD), X-선 광전자분석(XPS), 주사전자현미경분석(SEM), 시차열분석(DSC) 및 열무게분석(TG)을 실시하였다. 촉매반응은 직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단방향 흐름 반응기로서 이루어졌다. 표준반응조건은 $p(CH_4)/p(O_2)=250$ Torr/50 Torr이며 반응기체의 주입속도는 30mL/min, 그리고 He 희석기체와 함께 전체압력은 1 atm이였다. 실험한 촉매들 중에서 6.3 mol% Mn-doped CaO 촉매가 가장 우수한 $C_2$ 선택성을 보였으며 775$^{\circ}C$에서 $C_2$ 선택성과 $C_2$ 수율이 각각 43.2%와 8.0% 이었다. 적은 양의 망간을 도프한 산화칼슘 촉매들은 망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C_2$ 선택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많은 양의 망간([Mn]>6.3 mol%)을 도프한 촉매에서는 $C_2$ 선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속이온이 도프되지 않은 6 wt.% Mn/CaO와 6 wt.% K/CaO 촉매는 700$^{\circ}C$에서 각각 13.2%와 30.9%의 $C_2$ 선택성을 보여 담지효과는 Mn보다도 K가 훨씬 우수함을 보였다. CaO와 Mn-doped CaO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10^{-3}∼10^{-1}\;atm$의 산소분압 영역에서 측정한 결과 모두 p형의 전기적 특성을 보였으며 도프한 망간의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촉매표면에 생성된 틈새형 산소이온이 메탄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틈새형 사소이온의 생성을 고체화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Pure CaO, Mn-doped CaO, Mn/CaO, and K/CaO catalysts were prepared and tested as catalysts for the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 to 800$^{\circ}C$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n- and K-addi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calcium oxide. To characterize the catalysts, X-ray powder diffraction(XRD), XPS, SEM, DSC, and TG analyses were performed. The catalytic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single-pass flow reactor using on-line gas chromatography system. Normalized reaction conditions were generally $p(CH_4)/p(O_2)=250$ Torr/50 Torr, total feed flow rate=30 mL/min, and 1 atm of total pressure with He being used as diluent gas. Among the catalysts tested, 6.3 mol% Mn-doped CaO catalyst showed the best $C_2$ yield of 8.0% with a selectivity of 43.2% at 775$^{\circ}C$. The $C_2$ selectivity increased on lightly doped CaO catalysts, while decreased on heavily doped CaO([Mn] > 6.3 mol%) catalysts. 6 wt.% Mn/CaO and 6 wt.% K/CaO catalysts showed the $C_2$ selectivities of 13.2% and 30.9%, respectively, for the reaction.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aO and Mn-doped CaO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to 1000$^{\circ}C$ at Po2's of $10^{-3}\; to\;10^{-1}\;at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Mn-dop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P0_2$in the range of $10^{-3}\;to\;10^{-1}\;atm,$ indicating the specimens to be p-type semiconductor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rstitial oxygen ions formed near the surface can activate methane and the formation of interstitial oxygen ions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solid-state chemistry.

      • KCI등재

        王陽明과 Kant의 도덕철학 비교 연구

        박종식(Park, Jong-Sik),정해왕(Jung, Hae-Wa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이 논문에서는 왕양명과 칸트의 도덕철학을 비교하고자 한다. 왕양명 철학의 핵심 명제는 心外無物로 표현된다. 반면 칸트 선험철학의 핵심은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이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는 대상 중심적 인식론으로부터 주관 중심적 인식론으로의 이행을 표현한다. 왕양명의 良知와 致良知이론은 도덕성과 도덕법칙의 선천성과 내재성을 나타낸다. 이런 측면에서 왕양명의 良知論과 칸트의 도덕철학은 주관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동일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마음(心)에 근거하고 있는 이러한 두 종류의 도덕철학의 구조와 관계를 탐구할 것이다. 우리는 왕양명과 칸트의 도덕철학이 내적인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왕양명의 心外無物이라는 명제는 모든 인식이 선험적 자아에 의해서 구성된다는 칸트의 견해와 일치한다. 그러나 우리가 파악할 수 없는 사물 그 자체(물자체)는 인식론적 관점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왕양명과 칸트에 따르면 자연의 모든 사물들은 마음에 의해서 구성된다고 한다. 지금까지 왕양명과 칸트를 직접 비교한 연구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런 주제를 다루는 본 논문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은 인간관, 도덕관, 세계관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동양과 서양이 서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탐구가 동서양의 이해와 화해를 이루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aral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that of Kant. The main proposition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is expressed "There are no things without mind."(心外無物) The core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by himself. Copernican Revolution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object-centered epistemology to the subject-centered epistemology. I think the theory of "Innate Knowing"(良知) and "Perform Innate Knowing"(致良知) contains the aporiority, immanence of Moral Law. In this respect, the theory of Innate Knowing in Wang Yang-Ming and Moral Law in Kant have the same structure grounded in subjectivity. I will pursue the relation of two kinds of Moral Philosophy on this ground of Mind.(心) In this respect, I will prove that they have internal relationship. The proposition there is only mind, there is no object(心外無物) in Wang Yang-Ming is to correspond with Kant"s theory that our cognitions are constituted through Transcendental Ego. But ‘things themselves ’(Ding an sich) which we can"t comprehend through the Ego have no sense from a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So all the things of nature are constituted through the Mind(心) in Kant"s and Wang Yang-Ming"s philosophy. We have few research paper on this theme until now, so this paper on this theme which I will pursu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way we makes the East and the West understood through the comparision on the respects of human, moral and world. I want to be a bridge to reconcile with the East and the West with this paper.

      • KCI등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나가르주나의 『中論』 비교 연구

        박종식(Park, Jong-sik)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9 No.-

        이 논문에서는 칸트의 二元論과 나가르주나의 二諦說의 관점에서 자아와 대상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오류추리」와 「이율배반」에서 자아와 세계를 다루는 칸트의 방식과 나가르주나의 무아설 및 사구부정, 팔불중도라는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그 구조적 유사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경험을 통일하기 위해서는 선험적 자아가 요구된다. 선험적 자아가 없다면 인식의 통일은 불가능하고 오로지 지각의 광시곡에 머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는 「오류추리」에서 선험적 자아를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실체로서, 단순한 것으로서, 동일성을 지난 인격체로서 이론적으로 논증하려는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한다. 「이율배반」에서도 세계를 마치 인식대상처럼 유한하다, 무한하다, 단순하다, 복합적이다 라고 이론적으로 논증하려는 시도를 비판한다. 선험적 자아를 경험적 대상으로 간주하는 것은 인식할 수 없는 대상을 인식하고자 하는 헛된 시도이기 때문이다. 나가르주나는 무아론에 근거해서 욕망하고 집착하는 주체로서의 자아 및 욕망의 대상은 성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존재의 실상을 밝힘으로써 헛된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다. 나가르주나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욕망과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칸트 역시 물 자체로서의 선험적 자아, 자유 등의 문제는 이론적으로 논증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 문제는 오로지 실천적 행위를 통해서 요청되어야 할 문제이다. 칸트는 인간의 본성을 자유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칸트의 이론과 실천의 이원론은 나가르주나의 세속제와 승의제라는 이제설과 동일한 논리적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속제라는 매개를 통해서 승의제에 이를 수 있으며, 세속제가 없이는 승의제에 이를 수 없다. 언어가 지닌 한계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이지만 이 말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순간 언어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것이다. 언어의 한계와 모순, 역설에 대한 老子의 “道可道非常道”의 논리는 언어에 관한 최고의 통찰을 보여주는 명구이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해서 칸트와 나가르주나는 언어의 한계와 모순을 수용하면서 극복하고 이를 초월하게 되는 것이다. 언어적 표현에 집착하지 않고 받아들인다면 언어적 표현이 스스로 드러내고 있는 모순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초월할 수 있는 것이다. 칸트와 나가르주나는 모순과 역설의 논리를 통해서 인식과 언어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Ego and objects from the standpoint of Kant’s dualism and Nagarjuna’s two types of truths. Especially, we want to look in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thods adopted by Kant in ‘Paralogism’, ‘Antinomy’ of Kritik der reinen Vernunft and the methods adopted by Nagarjuna in the text of Madhyamaka-Sastra. According to Kant, we need the transcendental Ego in order to unite consciousness. If we had no transcendental Ego, we could have no unification of consciousness and we could have only a Rhapsody of perceptions. Kant criticizes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argued that the mataphysicians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the substance, as a simple being, as a personality with identity in a long time. Also Kant criticizes the attempt to argue theoretically that World is finite, infinite, simple, complex as the object of cognition. If they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empirical object, this attempt will be in vain, because they want to know the unknown things. Nagarjuna insists that we have no Ego as subject to desire, adhere something, therefore we have no object to desire from the standpoint of non-Ego. In this way we can free from the desire and adherence through the insight into reality. According to Kant, the problems of transcendental Ego, freedom can’t be argued theoretically, but they can be resolved only with practical actions postulated by practical reason. In this respect, we can insight into the fact that Kant’s dualism of theory and practice and Nagarjuna’s two types of truths, the truth of worldly convention(世俗諦) and the truth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勝義諦), have the same logical structure. We can reach ‘the truth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by the medium of language, ‘the truth of worldly convention’. Without this truth written in language, we can’t reach that absolute truth which the truth expressed in language intends to mean originally. We have to understand the limits of language in order to overcome the paradox, contradiction which language includes originally. This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language. Although the limits of language is the limits of the world, if we can grasp the meanings of this proposition, we can go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If we want to understand the paradox, contradiction between the ‘truth of worldly convention’ and ‘the truth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we have to remember the meanings of the famous proposition of Lao Tzu(老子) “道可道非常道”(If we can speak the truth, this is not an absolute truth.) This is the best proposition to tell us the insight about languag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Kant and Nagarjuna accept the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language, and then they wan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 limits of the truth written in language. Kant and Nagarjuna want to transcend, overcome the limits of cognition and language through the logic of the contradiction and paradox.

      • KCI등재

        칸트, 후설과 唯識哲學에서 인식과 자아 문제에 관한 연구

        박종식(Park, Jong-sik)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이 논문에서는 유식학파의 三性說을 칸트, 후설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와 현상학적 환원이라는 태도전환과 비교하면서 자아와 인식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유식론은 識轉變, 三性說, 修道論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유식학파의 識轉變, 三性說을 중심으로 자아와 識轉變문제를 칸트, 후설의 자아와 태도전환과 비교하고 그 유사성을 밝히고자 한다. 유식학파의 識轉變은 현행식과 알라야식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三性說은 자아와 인식이 空임을 증명하는 유식학파의 핵심적 근거이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은 잠시도 고요하게 머물지 못하고 千變萬化하여 하루에도 수백 번을 生滅하면서 천국과 지옥을 오간다. 마음과 생각을 잠시라도 쉴 수 있다면 부질없는 허공 속의 꽃(空華)은 사라지고 바로 자아와 대상, 인식의 본래 모습을 깨닫게 될 것이다. 외부대상의 변화가 아니라, 인식태도의 전환인 轉識得智야말로 자기 마음의 본래면목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다. 현상에 대한 왜곡된 인식의 근거인 遍計所執性을 깨달음으로써 현상의 依他起性과 마음의 圓成實性으로 還至本處하는 것이 유식학의 근본취지이다. 前五識, 意識, 末那識, 알라야식 등 八識은 단지 현상에 불과할 뿐 그 본성은 실체가 없는 空性에 불과하다. 轉依를 통해서 煩惱의 意識이 淸淨智慧로 전환되는 것이 轉識得智이다. 반면 칸트는 인식대상이란 자아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지,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한다. 칸트의 자아는 대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질서지우고 구성하는 능력이다. 자아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활동성이다. 그러므로 칸트의 자아 역시 空性이지만, 자아가 대상과 인식을 구성하는 형식적 근거라는 점에서는 유식의 자아와는 다르다. 후설의 자아 역시 대상을 구성하고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적 자아로서 실체가 아니라는 점에서는 空性이면서 동시에 의미 부여의 근원적 근거가 된다. 그러나 자아와 대상은 상관적인 지향적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아와 독립된 초월적 대상이나 현상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점에서는 유식학의 관점과 유사하다. 그러나 의식활동으로서의 자아는 실체가 아닌 내용 없는 현상학적 잔여물이기는 하지만 無自性의 자아는 아니다. 이런 방식으로 유식학, 칸트, 후설의 자아와 인식, 자아의 태도전환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밝히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Ego of Kant, Husserl and Yogācāra from the standpoint of trisvabhāva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of Yogācāra. Kant’s Copernican revolution and Husserl’s Phenomenological reduction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ir philosophies. We especially want to look in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Ego of Kant, Husserl and Yogācāra. According to Kant, we need the transcendental Ego as absolute in order to unite consciousness. Kant criticizes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argued that the metaphysicians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substance. If they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an empirical object, this attempt will be in vain, because they seek to know unknown things. Husserl’s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properly understood as a method designed to transform a philosopher into a phenomenologist by virtue of the attainment of a certain perspective on the world phenomenon. We will find the field of the transcendental, absolute ego through phenomenological reduction. Transcendental, absolute ego constitutes our whole world and gives meaning to the world. Yogācāra argues that what our ordinary consciousness (the sixth consciousness) regard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s separate, or that self and the world is an imagination that alaya-vijñana, the mind more profound than the ordinary consciousness, created. Yogācāra’s alaya-vijñana creates the whole objects and the consciousness (the sixth), so we must regard them as illusionary. Yogācāra insists that there are three natures of mind and we attain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in mind. Based on this point of view, Kant, Husserl and Yogācāra wan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 limits of the ordinary consciousness, and then they want to find the absolute truth (everything) and want to be a men of freedom.

      • KCI등재

        연구논문 : 칸트의 이원론(二元論)과 나가르주나의 이제설(二諦說) 비교 연구

        박종식 ( Jong Sik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二元論과 나가르주나의 二諦說을 비교하면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실천이성비판』과 『도덕형이상학 원론』의 도덕법칙과 자유를 중심으로 현상계와 가상계, 의지의 객관과 의식의 형식의 이원론 및 인간의 이중성 문제를 나가르주나의 空性과 緣起, 八不中道를 중심으로 한 二諦說과 비교함으로써 칸트와 나가르주나의 자유와 내재적 초월의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칸트는 경험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선험적 자아를 요청한다. 반면 나가르주나는 고정된 실체로서의 자아를 부정한다. 그는 고정된 실체란 그것이 무엇이건 성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무아론에 근거해서 자성을 지닌 실체로서의 자아 및 대상을 부정하기 때문에, 그는 인식과 행위의 주체로서의 자아 및 대상도 부정한다. 욕망의 주체와 그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그는 자아와 대상의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칸트 역시 인간의 본질을 자유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칸트는 자유를 도덕법칙의 존재 근거로 간주한다. 동시에 자신의 양심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도덕법칙을 입법하고 이에 복종하는 것이 바로 자유라고 주장한다. 이런 측면에서 칸트의 자유와 나가르주나의 자유의 내용은 차이가 있다. 인간은 현상계 속에서 가상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내재적 초월을 통해 가상계와 현상계가 회통된다. 이것을 나가르주나의 세간과 출세간의 이원성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자아를 부정하는 나가르주나와 자아를 반드시 전제하는 칸트의 차이는 많 부분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칸트와 나가르주나는 자유를 인간의 본성으로 간주하면서, 자신의 본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체득하는 것이 바로 자유를 획득할 수 있는 길이라고 본 점에서는 동일한 입장을 지니고 있다. 나가르주나는 특히 언어의 문제를 다루면서 언어적 진리와 언어를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진리, 즉 世俗諦와 勝義諦를 구분한다. 이것은 진리에 대한 단순한 이해가 아니라, 실천적 체득을 강조한 것이다. 칸트 역시 이러한 모순을 자유와 자의의 문제에서, 자율과 타율의 문제에서 다루고 있다. 인간의 이중성과 자유 및 실천의 문제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comparision between Kant`s dualism and Nagarjuna`s two types of truths focused on the Kant`s freedom and moral law. I want to look into the comparison between duality of human, dualism of phenomenal world and noumenal world in Kant and mundane world and holy world in Nagarjuna. Nagarjuna insists that we have no Ego as subject to desire and we have no object to be desired from the standpoint of non-Ego. In this way we can free from the desire and adherence. We can reach ‘the truth from the ultimate point of view’ by the medium of the truth of worldly convention, language. We have to understand the limits of language in order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If we can accept Wittgenstein`s point of veiw of language, we can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ion in language. If we can grasp the meanings of contradiction in context, we can go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In this way, Kant and Nagarjuna can get the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