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정임(Jung-Im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의 효과크기가 1.6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적응능력이 1.35, 대인관계능력이 1.07, 자기효능감이 1.03 의 순으로 나타나서 네 가지 변수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변수는 자아존중감의 경우에 ‘총회기수’이었고 학교적응능력의 경우에는 ‘총회기수’와 ‘1회기당 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실천적 함의와 전략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May, 2014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20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 (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ES= 1.61 in self-esteem, ES=1.35 in school adjustment capacity, ES=1.07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S=1.03 in self-efficacy,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the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sessions of self-esteem and ‘sessions, running times in school adjustment capac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말잘피(게바다말) 이식방법 개발

        박정임(Jung Im Park),김종협(Jong Hyeob Kim),손민호(Min Ho Son) 한국생태공학회 2016 한국생태공학회지 Vol.- No.S

        The surfgrass, Phyllospadix japonicus is abundantly found on exposed rocky shores of the Korean peninsula. Recently, Phyllospadix japonicus inhabiting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s been severely influenced by anthropogenic factors, including offshore construction, eutrophication, and attracted the public’s attention on the need of the restoration of surfgrass habitats. Few studies have been made to develop transplanting techniques for surfgrasses, mainly due to the reason of difficulties of transplant survival on exposed shores. In this sense, a new Phyllospadix transplantation flame method (PTFM) was developed, which involves affixing surfgrass transplants on a stainless steel wire rope frame on the underwater bedrock. In November 2013, Phyllospadix japonicus was transplanted on a shore exposed to the Pacific Ocean o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newly developed PTFM.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transplantation method, the survival rate and shoot density of the transplants was investigated every month for 15 months. The survival rate of the transplants was turned out to be 96.9% after 1 month of post-transplantation, showed rapid increase of 196.9% in next 15 months. Shoot density of the transplants was also rapidly increased from 800 sht m⁻² to 1,575 sht m⁻². Transplanted Phyllospadix japonicus using PTFM was grown successfully in situ, attributing to an increase in density through the formation of lateral shoots. With results addressed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PTFM as a useful transplantation method for the restoration of surfgrasses on rocky subtidal zones with high waves.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정임(Jung-Im Park),이금진(Keum-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통합적인 결론을 유도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실증적 지식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1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소프트웨어 2.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사회기술훈련의 성과변수는 총 5개로 종합되며, 각각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사회기술훈련은 ‘사회기술(ES=1.343)’증진에 가장 큰 훈련효과를 나타내었고, ‘정신과 증상(ES=-1.270)’, ‘또래관계(ES=1.192)’, ‘자기통제(ES=-1.182)’, ‘문제행동(ES=-0.933)’변화에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분석한 결과, 사회기술훈련 유형이 다른 방법들과 병합하지 않은 단일 사회기술훈련 유형일 경우, 총 개입회기가 늘어날수록, 사회기술훈련 집단인원이 작을수록 ‘사회기술’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May, 2014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19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total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were ES=1.343 of social skills, ES=-1.270 of psychiatric symptoms, ES=1.192 of peer relationships, and ES=-1.182 of self-control capacities.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was seen as large.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total number of sessions, a number of group members, types of social skill trai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social skil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박정임(Jung-Im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보다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메타분석방법은 국내에서 1998년부터 2020년도까지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연구들 중에서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27편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와 조절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총 14개의 변인으로 개인적 변인, 기관· 조직환경 변인, 인구사회학적 변인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수행과 높은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전문적 능력, 수퍼비전, 네트워크, 사례관리중요성 인식, 매뉴얼지침, 기관지지 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례관리수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사례관리교육, 자율성, 동기, 사례회의 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은 경력, 학력, 연령이었다.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는 사례관리영역(민간 or 공공)별에서는 수퍼비전, 사례관리대상자(성인대상 or 아동대상)별에서는 전문적 능력, 사례관리교육, 출판여부(학위 or 학술)에서는 전문적 능력의 변인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In order to do a meta-analysis, a total of 27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20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alculated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explored moderator variables.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14 individual, enviroment of institution, population variables rel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variables which showed large effect sizes included professional capability, supervision, network, case management significance recognition, manual, agency support. Third, variables with medium effect sizes included self-efficacy, case management education, autonomy, motivation, number of conference and variables with small effect sizes included work experience, academic ability, age. Fourth, Moderator effects were identified in the field, target, publication of case manage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형 자기결정척도-정신장애인용 개발 연구

        박정임(Park, Jung 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을 위한 한국형 자기결정척도-정신장애인용을 개발하고 타당화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자기결정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였으며, 국내 정신장애인 당사자 22명을 대상으로 3회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문헌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들을 토대로 문항을 구성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사전검사를 통해 최종예비문항(33문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N=436명)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 21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한국형 자기결정척도-정신장애인용의 하위요인은 자기역량강화(9문항), 자기결정능력(5문항), 자기결정기회(7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Cronbach′ 가 .957이었다. 본 연구의 한국판 자기결정척도-정신장애인용은 국내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을 위한 자기결정척도로써 정신건강 사회복지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of Korean Version of Self-Determination(KVSD)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Korea. To do this purpose, the self-determination research was reviewed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of 22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were conducted. Also, the profession of mental health reviewed the 33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KVSD scale. A total of 436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n the explan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Finally, 21 items of the KVSD scale were developed. The KVSD consisted of three sub-factors of self-empowerment(9items), self-determination capability (5items), self-determination opportunity(7items) The KVSD scale was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reliability(Cronbach’ ⍺=.957). The KVSD scale can be used as a t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n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척도 개발

        박정임(Park, Jung-Im),김세곤(Kim, Se-G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필요한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척도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감성리더십은 조직에 끼치는 영향력이 강력하고 조직구성원 사이의 감성 차원의 상호작용이 강력하다는 측면 등에서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감성리더십 하위요인에는 자기인식 능력, 자기관리 능력, 사회적 인식 능력, 관계관리 능력의 네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 척도의 개발을 위하여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감성리더십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통해서 문항 리스트를 작성하였으며,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5점 척도로 구성된 67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후 서울, 인천,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에 응답한 총 253명의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토결과, 최종적으로 67개의 척도 중에서 26개 문항이 개발되어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 감성리더십 척도로 확정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최종 척도의 신뢰도는 자기인식능력 α=.787, 자기관리능력 α=.844, 사회적 인식능력 α=.937, 관계관리능력 α=.931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조사도구의 적합 도를 확인한 결과 X²=705.239, df=293, CFI=.910, TLI=.900, IFI=.911, RMR=.037, RMSEA=.075로 나타나 요인의 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emotional leadership scale for middle managers requir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Emotional leadership has a powerful influence ov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nd the interaction of emotions between organization members. There are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leadership: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is study, to develop the emotional leadership scale, a list of questions were prepared through a study on literature related to the role of a middle manager and emotional leadership. After advice was received from a group of experts on two separate occasions, 67 preliminary questions consisting of a 5-point Likert scale were selected. Afterwar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preliminary questions on 253 middle managers an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tion institut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final scale has composed with 26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is final scale was self-recognition ability α=.787, self-control ability α=.844, social recognition ability α =.937, and relationship control ability α=.931.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appeared as X²=705.239, df=293, CFI=.910, TLI=.900, IFI=.911, RMR=.037, RMSEA=.075. Therefore, the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as were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정임(Jung Im Park),이금진(Keum Jin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2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과 하위요소인 자기결정능력 및 자기결정기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결정과 가족지지, 친구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정신장애인 193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가와 관련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련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t = 3.562, p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은 β= .278로 분석되었다. 즉 자기결정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2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의 하위요소인 자기결정능력과 자기결정기회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가와 관련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련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자기결정의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의 기회``(t = 2.091, p <.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은 β= .193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문제 3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 지지와 친구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ree issues in regard to the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determin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determination capacities and opportun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ird, whet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on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lso, the self-determination opportuniti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lso, the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uffered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