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외부형태 및 체 절단면 변화

        박인석,구인본,길현우,Park, In-Seok,Goo, In Bon,Gil, Hyun W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메기(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THX), 더 넓은 너비(WX) 및 더 넓은 면적(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210-da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rvation on survival, external morphometric traits, and sectioned morphometric trait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The survival rate decreased to 92.2±0.47% in the fed group and to 74.4±2.59% in the starved group. Eight dimensions of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and BWA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16 other dimensions of DALAD/Ls, DPDPL/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and DAUE/H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initial, fed, and starved groups (p>0.05). The fed group showed higher total height (THX), wider width (WX), and larger area (AX) than those of the starved group in each body section. This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orphometric traits and body sections of starved Far Eastern catfish.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guide to indicate nutritional status and assist in aquaculture methods for Far Eastern catfish. Moreover,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dered helpful because the survey analysis method can be used to investigate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other fish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대한 포르말린의 급성독성 효과

        박인석,김형배,김민석,박철원,Park, In-Seok,Kim, Hyung-Bae,Kim, Min-Suk,Park, Chul-Won 한국어병학회 1995 한국어병학회지 Vol.8 No.1

        평균 전장 $6.1{\pm}0.5cm$ 의 양식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포르말린의 1시간 2 시간, 4 시간 및 24 시간 급성독성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각 처리구간의 대조군은 모두 생존하였으며 포르말린에 대한 1 시간 $LC_{50}$ 값은 2,520 ppm 이며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2,540 ppm, 하한치는 2,490 ppm 이었다. 2 시간 $LC_{50}$ 값은 1,610 ppm 이며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1,630 ppm, 하한치는 1,590 ppm 이었다. 4 시간 $LC_{50}$ 값은 868 ppm 이며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885 ppm, 하한치는 851 ppm 이었다. 그리고 24 시간 $LC_{50}$ 값은 141 ppm 이며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147 ppm, 하한치는 136 ppm 이었다. 각 처리시간에서 독성실험 종료 후 죽은 개체들은 아가미덮개 및 입이 열리고 몸통이 유안측으로 만곡되었고 표피 점액질에 손상을 입은 독성증후를 나타내었다. 포르말린에 대한 24 시간 급성독성 실험 후 죽은 개체들의 아가미, 신장, 간 및 심장 조직을 대조군과 조직학적 비교를 한 결과 대조군은 모두 정상이었으나 24 시간 급성독성 실험군에서는 아가미세엽 (혈관 확장, 점액세포 파괴, 상피세포의 확장 및 괴사를 동반하는 퇴행성 병변), 신장 (쇄뇨관 상피세포 확장, 괴사 및 초자적의 퇴행), 간 (염색질의 핵막침착, 핵크기 감소 및 부분 혹은 전반적인 괴사) 및 심장 (핵의축, 심장근 확장 및 괴사) 조직에서 손상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넙치의 세균성, 기생충성 질병의 구제에 포르말린 약욕이 실시되고 있어 해당 약제에 대한 넙치 치어의 독성실험 결과는 포르말린의 그 정확한 처리시간 및 처리농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wenty-four hours, acute toxicity and the histopathological effect of formaline to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were examined. The $LC_{50}$ values obtained to farmaline were 2,520 ppm in 1 hour treatment. 1.610 ppm in 2 hours treatment, 868 ppm in 4 hours treatment and 141 ppm in 24 hours treatment. Many 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hypertrophy of mucous and epithelial cells in secondary gill lamella, hyaline droplet degeneration of tubular epithelial cells in the proximal convoluted segment of renal tubules, focal or massive necrosis in liver cells and pycnotic nucleus in heart cells were recognized. The abov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formaline as therapeutic agent in flounder disease.

      • PNF 하지 패턴이 반대측 중둔근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인석,이상열,Park, In-Suk,Lee, Sang-Yeol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6 PNF and Movement Vol.14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pply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leg patterns on the activation of three types of mesogluteal fibers at the opposite side. Methods: The targe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healthy men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all subjects, the following four PNF leg patterns were applied while they were in a standing position, and then, the activation of the gluteus medius at the opposite side was measured: (1) flex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pattern, (2) flexion adduction external rotation pattern, (3)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pattern, and (4) extension adduction external rotation pattern. In each position, a pattern was executed three times in 5 s, and the average of each measurement was used for the statistics. Results: Among the PNF leg patterns, the activation of the mesogluteal fibers at the opposite side was most significant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pattern. The activation of the back muscular fiber was significantly high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flex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pattern. Conclusion: Selective application of PNF leg patterns can improve the functional activity of each mesogluteal fiber.

      • KCI등재

        인간융모성생식선자극 호르몬과 잉어 뇌하수체에 의한 해산송사리, Oryzias dancena 인공산란 유도

        박인석,Park, In-Seo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2

        해산송사리(Oryzias dancena)를 대상으로 한 발생공학 연구시, 현재의 자연산란법은 매우 수동적이고 불편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정 시간에 해산송사리의 수정란을 획득하고자 인공산란을 위한 인간융모성생식선자극 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과 잉어 뇌하수체(carp pituitary extract; CPE)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였다. 정자활성도, 산란율, 수정 후 3일에서의 수정란 생존율 및 부화율은 100 HCG IU kg<sup>-1</sup> BW (body weight)와 CPE 5 mg L<sup>-1</sup>에서 가장 높았다(p<0.05). 본 종에서의 수정란 필요시, HCG와 잉어 뇌하수체 주사를 통하여 적정시간에 미수정란과 정자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해산송사리의 실험동물화 개발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The method of natural spawning is very passive and inconvenient for the study of developmental engineering i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nd carp pituitary extract (CPE) for ovulation and spawning, and the injection time for the artificial spawning of marine medak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ccess rate, survival rate, and hatching rate were highest with 100IU HCG kg<sup>-1</sup> BW and 5mg CPE L<sup>-1</sup> in both male and female marine medaka (p<0.05). After obtaining unfertilized eggs and sperm by the injection of HCG and CPE into the broodstock of marine medaka, artificial fertilization could be successfully achieved any time fertilized eggs are needed in this species. This result sh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a study program for marine medaka as an experimental animal.

      • KCI등재

        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in Larval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under Starvation

        박인석,최희정,노충환,명정구,Hye Jung Park,In Bon Goo 한국발생생물학회 2013 발생과 생식 Vol.17 No.4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rear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from hatching to six days after hatching were examined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under starvation. All the larvae died within five days when feeding was delayed for three days after hatching. These results imply that initial larval food should be supplied within two days of hatching. Changes in the pectoral angle and the ratios of eye height to head height, gut height to standard length, and gut height to myotome height in the rock bream are alternative indicator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arving fish. These indicators might prove useful in evaluating the successful transition from endogenous to exogenous feeding in this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