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적 좋은 삶과 정치적 좋은 삶

        박의경(Park Eui kyung)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3

        When some says that politics uncovers the happiness in real life, religion lays the foundation for the lowest bottom of happiness. We can find the connection between good life in politics and good life in religion from the reality and theory as its basis, and from our heart and its spiritual deep impression to make move on. Principles and rules originated from religion allow human beings to be free. In the real politics, men are armed with satisfaction and stability based on the principles. In short, we can confirm our freedom via religion and also declare its existence by politics. This is an ascending cycle and interacting development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this study, I will begin my argument from the ancient concept of good life. Furthermore, I will also examine how human life come to be tuned from their connections. Originally, thoughts and ideas of human beings move down from brain to heart. Thoughts and ideas rooted in human heart makes man move his body and good life could be activated in the real politics. It begins with our recognition of rules and principles, which have also effect on the reality. In other words, core idea of this study is that the brain and heart interacts in us. Shortly, politics and religion are inevitable for each other, and also necessary for the good life of human beings.

      • KCI등재후보

        근대정치사상에서의 여성과 자연 : 정치사상의 탈젠더화와 생태여성주의

        박의경(Eui Kyung Park)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3

        근대정치사상의 기본적 신념, 가치, 태도 및 서구 세계자체와 서구인들에 대한 가설을 형성해온 것은 이분법에 근거한 억압적 가부장제 개념이며, 그 목적은 일반적으로 지배와 종속관계, 구체적으로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관계를 정당화하고 지속시키는 데 있다. 가부장적 세계체계는 근대화 및 개발과 진보라는 미명하에 자연을 파괴하였다. 따라서 정치사상의 탈젠더화는 현재의 갈등과 대립을 협동과 상생으로 이끌어 사회의 교착상태를 풀어갈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현실의 체제와 제도의 근저에는 정치사상의 기본 개념들이 면면히 흐르고 있는바, 그 정신적 바탕에서부터 제한적 사고가 해방되어야만 현실에서의 차별이 해결될 수 있다. 정치사상의 탈젠더화는 사고의 편향성을 사상시키고 인식의 다원성을 제공하면서 사회에서의 차별과 불합리를 제대로 판별할 수 있는 눈을 시민들로 하여금 가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굴곡진 역사의 과정 속에서 젠더화되어버린 정치사상을 젠더적 사고에서 해방시켜 탈젠더화시켜야 하는 사상적 책무의 중요성이 바로 여기에 존재한다. 교착상태에 빠진 사회와 역사를 이제는 탈젠더화 과정을 거쳐 정상궤도로 돌려놓는 작업이 현재상황에서의 정치사상의 임무이자 과제인 것이다. Beliefs, values and attitudes of the modern political thought are formed with the basis of suppressive patriarchal system, which is also based on dichotomy. The patriarchal system based on dichotomy aims at legitimizing and sustaining the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dependence. Specifically, it targ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Patriarchal world system with a tool of dichotomy come to destroy nature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We can find a clue in degendering political thought which can lead our society from conflict and antagonism to cooperation and symbiosis. Because system and institution in our reality are founded on the basic ideas of political thought, liberation from the oppressed thinking can solve the discrimination of our society. Eliminating deviation of thought and providing multiplicity of our perception, degendering political thought can also provide citizens to have eyes to distinguish wrong things in society from the good ones. This is why we have to degender political thought from its distorted pathway in history. As a historical burden of political thought, we have to get society and history back on the regular and normal track from its deadlock via degendering process.

      • KCI등재

        21세기 대학의 위기와 기회 - 대한민국 지성사회의 미래를 조망하며

        박의경 ( Park Eui-kyung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3

        이 글은 대학이 사라질 것이라는 미래예측에 대한 하나의 반론이다. 과학의 발전을 통해 지식의 보편화와 기계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현재 대학이 위기에 봉착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결과가 대학의 사라짐일까에 대해서는 보다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모든 일에 부침이 있는 것처럼, 위기에는 반전의 기회가 얼마든지 존재한다. 현재 대학의 위기는 자본주의의 시장화와 맞물려 있지만, 거기에 또한 기회도 존재한다. 지식의 시장화와 보편화 과정 속에서 위기를 반전으로 돌릴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다. 대학이 사라진다는 일반적 예측에 대해 필자는 반문한다. ‘진짜 대학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이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이렇다: ‘진짜 대학만 살아남을 것이다.’ 이 글의 궁극적 목표는 진리탐구를 통한 지혜의 전당이자 학문의 상아탑이라는 대학 본연의 목표를 1000년을 돌아 다시 세울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reflection on the future prediction that university will disappear. As the universalization of knowledge and mechanization spread rapid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 is true that the university is in crisis, but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deeply about whether the result is the disappearance of the university. Just as there is an upsurge in all things,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for reversal in the crisis. The current crisis of the university is associated with the marketization of capitalism, but there are also opportunities. The possibility of reversing the crisis in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and universalization of knowledge is also naturally emerging. I have an opposing ideas about the general opinion on the disappearance of university. My answer to this question is: “Only the real university will survive.” The ultimate goal of this article is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rebuilding the goal of the university which is the wisdom hall of inquiry around a thousand years back.

      • KCI등재

        로마제국과 아우구스티누스: 기독교와 정치질서 그리고 평화

        박의경 ( Eui Kyung Park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8 No.3

        기독교가 당대의 종교에서 시대의 정치사상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역할과 공헌은 절대적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적용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설명하고 가시화시킨다.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정치사상이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서 다시 살아나, 기독교는 명실 공히 세계종교이자 세계의 정치사상으로 자리잡아 가게 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기독교의 정치사상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Ⅲ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 『하나님의 도성』을 통해 두 도성 이야기의 논리를 분석하고, Ⅲ장에서 기독교적 덕성과 현실의 정치질서의 관계설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법과 정부 형성의 연원에 대해 알아본다. IV장에서는 세상의 질서잡기를 통한 평화의 달성이라는 정치의 궁극적 목적과 그에 대한 기독교의 역할에 대해 분석한다. 이어서 로마제국 말기에 혼란한 제국의 현실에서 기독교 사상이 어떻게 질서잡기와 평화정착에 성공하면서 이후 중세 1000년의 지배적 정치사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5세기에 제시한 기독교와 정치질서의 형성, 그리고 평화에 대한 접근법은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정치질서의 근간에 정의와 공동선이 배치되고,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인지를 통해 올바른 법과 제도가 정립된다. 당연한 귀결로 국가에는 기강과 질서가 자리 잡게 되고, 궁극적으로 평화로 이어진다는 구도로서, 이러한 논리는 21세기의 국가론이나 국제정치론에서도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는 현실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Augustine contributes to establish Christianity as a political thought for the Roman period and Middle Ages, not just as a religion. He views and explains the City of God, with a theory of the Idea of Plato. With the work of Augustine using political thought of Socrates and Plato in the Ancient Greece, Christianity has been recognized not only as a religion of the world, but also as s political thought of the world. In this study, I will focus on the political thought of Christianity in Augustine. In chapter II, I will analyze the story of Two Cities through Augustine`s City of God. Chapter Ⅲ will try to search the origin for law and government via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virtue and political order in the Real-Politik. In the next chapter, I try to explain the establishment of peace via order in the world as the ultimate goal of the politics, and the role of Christianity for it. I will also try to view how Christianity has been settled down as a dominant political thought for the Middle Ages since the fall of Roman Empire. Christianity, constituting political order and setting peace that Augustine presented in the 5th century is still valid in our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 to Augustine, justice and common good is located in the base of political order, with which just law and institutions will be existed. It will be led to the well-ordered society followed by the state of the ultimate peace. In real politik, his discourse strongly works in the field of state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실의 균형, 미래의 조화 그리고 민주적 이상향

        박의경(Park Eui ky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이 글은 다양한 현실이 하나로 모아지는 과정에서 누락되고 빠져나가버린 것들을 다시 돌아볼 수 있는 인간의 가능성에 대해 논한다. 아테네의 직접민주주의 모델을 현실에서 적용하고 실험하기도 하고, 현실의 법과 제도를 통해서 역사의 뒤안길에 버려져 있던 편린들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면서 사회의 변화를 시도하기도 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음에 이 글은 주목한다. 주관적 존재인 인간이 객관화시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장치 중 하나로서 영화의 상징체계에 주목하면서, 필자는 영화가 인간사회에 던지는 사회적 동력의 근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사회문제의 진단과 대책을 제시하면서 미래사회를 조명해볼 것이다. 다양한 요구가 그대로 가면 혼란이며 그 어느 것도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는 2차원적 사고를 벗어나, 다수의 요청과 바람이 참여폭발이라는 부정적 상황으로 이행되지 아니하고, 동시적으로 일상에서 진행될 수 있다는 사상적 멀티플렉스(multiplex)와 이를 통해 도달하게 될 민주적 이상향(democratopia)의 가능성을 이 글에서는 살펴볼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s to look back at things gone missing as various realities are gathered together. It draws on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who try to change society by applying and experimenting with the model of Athenian direct democracy and by raising interest in the well-being that can be left behind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of reality. Focusing on the symbolic system of cinema as one of the important devices reaching human subjectivity, I will examine the source of social power that movies can bring to human society, which can use them to diagnose social problems and take measures against them. In this way I will try to illuminate future society. It is confusing if various demands remain intact and unfulfilled. It is an ideological mulitplex in which many requests and wants cannot be carried out in the negative situation of participation explosion, but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daily life. Finally I will show the possibility of ‘democratopia’ than can be reached through 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