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 초기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박은영,심보민,김윤서,강민주,Park, Eunyoung,Sim, Bo Min,Kim, Yoon Seo,Kang, Min Ju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Longitudinal data to examine the hypothetical model were drawn from the eighth (2015) through tenth (2017)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A total of 581 children (293 boys and 288 girls) and their mothers were includ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school-age children's media usage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econd, neither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nor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rd,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shown to in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ia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during the first grade lead to greate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fter a year, which, in turn, lead to a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the third grade.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hile they are performing their role as a parent and for children in maintaining suitable levels of media usage during early childhood.

      • KCI등재

        학령 초기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박은영 ( Eunyoung Park ),심보민 ( Bo Min Sim ),김윤서 ( Yoon Seo Kim ),강민주 ( Min Ju Kang )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Longitudinal data to examine the hypothetical model were drawn from the eighth (2015) through tenth (2017)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A total of 581 children (293 boys and 288 girls) and their mothers were includ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school-age children’s media usage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econd, neither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nor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rd,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shown to in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ia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during the first grade lead to greate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fter a year, which, in turn, lead to a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the third grade.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hile they are performing their role as a parent and for children in maintaining suitable levels of media usage during early childhood.

      • KCI등재

        Redefining Collaborative Art

        Eunyoung Park(박은영)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0

        세계화의 영향에 따른 물자, 자본, 노동력의 교환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과의 협업방식을 탐구하는 협업적 미술, 또는 참여미술이 현대미술의 주요한 형태로 성장하였다. 김홍석은 배우, 미술비평가, 미술관 도슨트, 일용직 노동자, 그리고 가상의 외국인 노동자 등 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미술제작과정에 발생하는 자본과 노동의 교환을 탐구해 온 대표적인 한국 작가이다. 본 논문은 김홍석의 번역관련 작업에서 주로 논의되어온 그의 텍스트 사용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협업 작업 속 텍스트의 사용과 텍스트적 생산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김홍석은 협업 작업 속에서 텍스트를 사용하여 예술적, 사회적, 지적 노동을 작업 속에 교차시키고, 또한 작가, 참여자, 관객 간의 관계를 재정의하고 그들의 대화를 중재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였다. 나아가 김홍석은 미술관 공간을 사회적 소통의 공간으로 전환시켜 미술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수용 과정에 대한 토론들을 생산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김홍석의 협업 작업에서 발생하는 다층적인 대화와 텍스트 생산을 분석하여 김홍석의 작업이 협업 미술의 방식과 사고를 어떻게 확장하고, 또한 협업 미술에 대한 담론적 생산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ed exchange of product, capital, and labor, contemporary artists have explored ways of working with different subjects and techniques, and collaborative art is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artistic practices. Gimhongsok creates his works based on collaborative practices with different subjects, including actors, museum docents, laborers, art critics, viewers, and fictional immigrant workers, and also explores issues of authorship, copyright, financial compensation, and the moral and ethical problems that occur within collaborative artistic prod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Gim’s collaborative projects focusing on his use of texts and textual production within his works. Gim’s use of text has been discussed frequently in relation to his works on the serial translation, but tex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is collaborative works. Gim not only creates the exchange of artistic, social, and intellectual labor within his collaborative projects, but also redefin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rtist, participants, and viewers and mediates their communications through the use of texts. By transforming a gallery into part of a social communication space, Gim’s collaborative practices not only creates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methodologies of collaborative art, but also to expand discourse on the production, circulation, and reception of art in the global art world.

      • SCOPUSKCI등재
      • 영세자영업자 공동구매 현황과 사업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은영(Eunyoung Park) 아시아무역학회 2014 Journal of Asia Trade and Business Vol.1 No.1

        Small enterprise suffer harsh competitive society because of there small business size. They need some method to overcome obstacles. I expect that the increase of size to help them compete for major company. Thus, I suggest group purchase to the small enterprise. The group purchase makes their bargaining power increase and grow their business profit. Some organization of group purchase have a role to play in U.S, Germany, Australia.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support system of group purchase in Korea. That's why I study the plan of group purchase business model.

      • KCI등재

        기억의 장소, 철원 노동당사 폐허

        박은영(Park, Eunyoung)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본 논문은 강원도 철원군에 폐허로 남아 있는 노동당사에 대해 기억의 장소로서 다층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연구이다. 노동당사는 1946년 북한 노동당의 기관 건물로 건립됐으나 한국전쟁으로 파손된 채 남한 측에 소속되었다. 비무장지대 민통선 내에 방치됐던 노동당사는 현재 부분 보수되어 등록문화재인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돼 보존되고 있다. 폐허로서 노동당사는 전쟁으로 파괴된 인공적 폐허이자 자연에 의해 낡은 자연적 폐허이다. 그곳은 기억의 장소로서 서로 다른 텍스트의 층이 쌓인 팔림프세스트 구조를 띤다. 역사적 사건과 경험의 흔적이 남아있고 폐허미가 형성되어 수용자의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된다. 휴전 이후 수십 년간 노동당사는 북한 당국의 만행 장소로 규정돼 반공․안보를 위한 공식 기억인 ‘집단적 기억’을 형성하고 남한 사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활용되었다. 그러나 ‘대항기억’의 관점에 따르면, 노동당사는 성취, 파괴, 트라우마, 노스탤지어 등 상이한 경험의 대상으로서 미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되살아난 억압된 기억들은 현재의 경험들과 융합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며, 그것은 또다시 ‘문화적 기억’으로 재코드화해 미래로 계승된다.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노동당사는 기억의 장소로서 ‘역사적 기념비’가 되는 한편 일종의 반기념비로서 과거의 성취보다는 상실과 소멸을 상기시킨다. 그곳에서는 문화적 형태로 연성기념비에 해당하는 행사가 열리며 다크 투어리즘이 행해진다. 폐허의 노동당사는 남/북, 중심/주변, 번영/몰락, 현존/부재와 같은 상반된 요소들이 혼재하는 언캐니한 공간이다. 그곳에 잠재한 다양한 기억을 파악함으로 써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돌아보고 현 시점에서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할 수 있다. 노동당사는 여전히 새로운 기억이 첨가되고 있는 역동적인 경험과 문화적 실천의 장소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bor Party Headquarters Building in Cheorwon to explore multiple layers of its meaning as a place of memory.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the political building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Its ruin has belonged to South Korea since the armistice. The building is a ruin, both natural and artificial. It is a place with various memories, which have formed a structure of palimpsest. For decades, it has been building on “collective memories” of anticommunism and established a sense of South Korean identity. From a standpoint of the “counter-memory,” however,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in a more microscopic manner. Oppressed memories could be resurfaced to be integrated with current experiences to produce a new meaning. It would be subsequently recoded as “cultural memories” to be succeeded in the future. Being registered as a Korea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building became a non-intended “historic monument.” As an anti-monument, it also reminds us of the loss and extinction. Many cultural events of “soft monument” are held there. In the uncanny building, such dualities as south/north, center/periphery, prosperity/collapse, presence/absence are merged and blurred. The various memories lead us to reconsider our viewpoint on Korean modern history. It is still a place of dynamic experiences and cultural practices, which would create new memories.

      • KCI등재

        『포로여인 에마 Ema, la cautiva』에 나타난 "문명과 야만"의 변주와 전복

        박은영 ( Eunyoung Park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9 No.1

        ``문명과 야만``이라는 주제는 아르헨티나에서 국민문학의 태동 이래로 문학의 핵 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르미엔또를 시작으로 이 주제는 많은 작가들에 의해 다루어졌으며 라틴아메리카 문학사와 사상사 안에서도 주요 흐름을 형성하 여 왔다.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야만을 상징하는 인디오들에게 납치 된 백인 포로여인은 토대문학의 중요한 소설적 소재이자 장치였고,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텍스트에 등장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다시 쓰기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은 보르헤스에 이어 이 소재의 다시 쓰기를 시도한 세사르 아이라의 『포로여인 에마』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소설에서는 백인 포로여인과 인디오가 기존 의 전통적인 틀에 의해 재현되지 않는다. 오히려 백인의 세계와 인디오의 세계의 전형적 가치들이 해체되는 방식을 통해 가치의 이분법적 틀 자체를 전복하고 있 다. 그리고 이 작업은 아이라의 주요한 서사전략인 ``의도된 경박함``을 통해 가벼운 어조와 현대적인 문체를 통해 독자에게 제시된다. 이 과정 속에서 아이라는 현실 의 역사와 창조된 이야기를 뒤섞어내며 19세기 아르헨티나의 토대문학이 부인하고 삭제하려고 했던 목소리들을 동시대 공적담론의 장으로 불러들인다. The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has been a central concept to understand Argentine Literature since its beginning period till the recent 21st century. Starting from the foundational work of Domingo Faustino Sarmiento this theme was treated by many authors and had been a very important one in the Latin Americ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Latin American Thoughts. From this conflictive and deterministic perspective, the captive woman by a barbaric Indian man could work as an important subject and device for the literary works. Even until this century the rewriting of this theme is actively executed. This article analyzes Cesar Aira’s Ema, la cautiva which rewrites this theme after J. L. Borges’s “Historia del guerrero y la cautiva”. In this Airian novel, the captive woman and the native Indians are not represented in the stereotypical novelistic frame. Rather the typical dichotomized frame is subverted through the dissolution of the values of the Whites and those of the native indians. And this is fulfilled through the ‘intentional frivol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narrative strategy of Aira. In this process he mixes up the real history and the created story and succeeds in letting the voices heard, the voices that the Official discourses tried to eliminate and negate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Eunyoung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알코올기대의 매개효과와 대처반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26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알코올기대, 대처반응 및 음주문제를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알코올기대는 스트레스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인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0.26, p<0.001). 스트레스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접근대처반응은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회피대처반응은 스트레스의 영향을 강화하여 음주문제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0.12, p<0.01). 따라서 대학생의 음주문제에 대한 개입에서는 인지적 요소인 알코올기대에 초점을 맞추고, 회피대처전략의 선호 및 사용을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alcohol expectancy and moderating effect of coping response on the 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tress and drinking problem. Methods: Data collected from 264 university students’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life daily stress, alcohol expectancy, coping response, drinking problem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alcohol expectancy was significant (β=.26, p<.001).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approach coping response wa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avoidance coping response was significant (β=.12, p<.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drink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must pay attention on alcohol expectancy and try to decrease the preference of avoidance coping response.

      • 비교할 특징점의 제한을 통한 지문 인식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박은영(Park Eunyoung),한상훈(Han Sanghoon),조형제(Cho Hyungje)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기존의 지문 인식 시스템은 입력 영상이 회전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서 진행되어 왔다. 입력 영상이 회전되었을 경우에는 특징점의 위치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매칭경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회전에 무관한 지문 인식을 위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회전에 무관하게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은 알고리즘도 소개되었으나 특징점 간의 비교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회전에 무관한 지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되 비교할 특징점의 대상을 줄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