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 지압이 간호사의 요통과 두통에 미치는 효과

        박은미,조가원,심숙희,최정민,이은진,Park, Eun-Mee,Jo, Ga-Won,Sim, Sug-Hee,Choi, Jong-Min,Lee, Eun-Jin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8 No.2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low back pain and headaches in nurses. Methods: A open-labe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used. Thirty-nine nurses with low back pain for more than 3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uricular acupressure stickers were applied to the participants's waist, head and Shen 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2 weeks.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Headache Impact Test-6 (HIT-6)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participants' pain. Results: The mean differences of the VAS and the HIT-6 we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the pre and post-tests. A repeated-measures ANOVA revealed that low back pain and headache measured using NR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pre and post-tests over 2 week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uricular acupressure could be used as a useful intervention for self-care for nurses with low back pain and headache.

      • KCI등재후보
      •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지와 대응에 관한 연구

        박은미 ( Eun Mee Park ) 안양대학교 복지행정연구소 2010 福祉行政硏究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지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인지와 대응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보육교사들 중 학대아동 발견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그렇지 않은 보육교사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른 학대아동 발견경험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 경력이 많은 교사들일수록, 아동학대 관련 교육을 많이 받은 교사들일수록 학대아동 발견 경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아동학대 예방교육 수강횟수 등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집단간 학대아동 발견시 신고의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장애학생 어머니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은미(Park, Eun-Mee) 한독심리운동학회 2021 심리운동연구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장애학생 어머니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는 부모 역할로 인한 여러 가지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자녀에게도 그 영향이 미치게 된다. 이에 발달장애학생 어머니들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녀를 좀 더 안정적으로 양육하기 위해서 심리운동 활동을 중재하였으며, 우울 감소의 매개변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들을 적용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한 연구대상은 평소 우울을 호소하는 E특수학교에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고 회기당 50분씩, 14회기로 심리운동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심리운동 활동 중재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우울 척도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향상되고 우울은 감소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를 토대로 장애자녀가 있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정서적 지원 활동을 위해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motorik activity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various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parental role, which affects their children as well.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which is the negative emotion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raise their children more stably, psychomotorik activities were mediated, and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applied as mediators of depression to examine the changes. sa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E Special School, who complained of usual depression, and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were randomly selected, and psychomotorik activities were organized in 14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the self-efficacy scale, self-esteem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conducted as pre-test and post-test to find out the changes after the intervention of psychomotorik activ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mproved and depression decreased. Based on these changes, I hope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s will continue to be made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ctivities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유아기 및 유치원 아동의 도전적인 행동에 대한 예방 및 중재

        박은미(Park, Eun-Mee)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비정형적인 사회적․정서적 발달의 초기 발현은 도전적인 행동의 발생이다. 일부 도전적인행동은 초기에 나타났다가 그 이후에 사라지지만, 어떤 행동은 지속되기도 하고 심지어는 확대되어 점점 더 문제가 되는 발달 궤도, 학교 실패 및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하기도 한다. 점점 더 많은 관심이 도전적인 행동의 조기 판별 및 예방과 그러한 행동을 초기에 해결하기 위한 전략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 및 미취학 아동의 레퍼토리에서 도전적인 행동에 대해 알려진 것을 논의하고 예방 및 중재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지만 검증된 실제의 조정된 채택이 도전적인 행동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오늘날 사회에서 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안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고무적인 신호가 있다. An early manifestation of atypical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s the occurrence of challenging behaviors. While some challenging behaviors dissipate during and following the early years, others persist and even escalate, marking increasingly problematic developmental trajectories, school failure, and social maladjustment. Increasing attention has begun to focus on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and on strategies for resolving such behaviors at their earliest appearanc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iscuss what is known about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repertoire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nd present a model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Although research in this area is limited, there are encouraging signs that a coordinated adoption of validated practices could substantially reduce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reby enhance the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children in today’s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 프랑스어 모음체계 변이현상을 반영한 이중음색모음 발음지도 방안

        박은미(PARK Eun-Mee)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En français contemporain, on parle d'un changement affectant le système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epuis quelques années. Ces voyelles à double timbre comptent quatre paires : les voyelles antérieures non-arrondies /e/ et /ɛ/ comme dans parlé-parlait, les voyelles postérieures arrondies /o/ et /ɔ/ comme dans saute-sotte, les voyelles antérieures arrondies /ø/ et /oe/ comme dans jeûne-jeune et les voyelles centrales /a/ et /ɑ/ comme dans mâle-malle. Ces voyelles constituent un aspect très variable en français contemporain. Nous étudierons la distribution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ans les données parisiennes, les enquêtes d'Aix-Marseille et Roanne. En nous basant sur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un tel principe de distribution existe, c'est la loi de position qui dicte un timbre fermé en syllabe phonétiquement ouverte, et un timbre ouvert en syllabe phonétiquement fermé. Dans de nombreuses régions de France, surtout dans tout le Midi, la plupart des locuteurs ne différencient pas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 /e/ et /ɛ/, /o/ et /ɔ/ et /ø/ et /oe/. Il existe la loi de position déjà, mais partiellement seulement pour le français parisien. Et aussi dans le français de Roanne, domaine à la joncture des dialectes d'oïl et d'oc, la loi de position est appliquée pour /e/ : /ɛ/, elle n'est pas appliqué pour /o/ : /ɔ/ et /ø/ : /oe/. Le changement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est en cours. Nous proposerons une norme qui permet à un apprenant de FLE d'avoir une prononciation acceptable qui ne choque pas l'oreille des locuteurs natifs. D'abord, Nous apporterons des précisions sur la loi de position qui est appliquée pour les voyelles à double timbre dans la plupart des contextes. Ensuite nous montrerons les différences et les concordances concernants l'opposition des voyelles à double timbre : des paires minimales. En conclusion, nous expliquerons la perte d'opposition phonologique graduelle avec le temps surtout /A/, mais également /E/ et /Ø/, et dans un mesure pour, pour /O/.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남부 지역의 음운 특성과 활용방안

        박은미(PARK Eun-Mee)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6 프랑스문화연구 Vol.33 No.-

        Depuis de nombreuses années, les linguistes observent trois caractéristiques phonologiques dans le sud de France. D’abord, les locuteurs dans le midi généralement ne différencient pas les voyelles moyennes : /e/ et /ɛ/, /o/ et /ɔ/ et /ø/ et /œ/. Ces locuteurs ont deux sons différents dans des contextes distincts. Mais les sons ne peuvent s’opposer en distribution complémentaire. Cette distribution complémentaire est connue sous le nom de Loi de Position. Puis, la plupart des Français ne font plus la différence entre les voyelles /œ̃/ et /ɛ̃/. Dans la région parisienne, le phonème /œ̃/ présente une variante [œ̃-ɛ̃] plutôt une variante [ɛ̃]. Mais dans le sud-est de France, [œ̃] coexiste avec une variante réduite [ə̃]. Enfin le maintien et le chute du schwa est en train de se stabiliser dans les contextes variables du schwa dans le midi. Nous avons examiné un changement des voyelles moyennes et des voyelles nasales dans les français parisiens par rapport de la système des vocaliques méridionales. Et nous avons envisagé le processus de stabilisation du schwa et la variation sociolinguistique dans le sud de France Nous proposerons une norme qui permet à un apprenant de FLE d’avoir une prononciation acceptable qui ne choque pas l’oreille des locuteurs natifs. nous apporterons des précisions sur la loi de position pour les voyelles moyennes, sur la variante [ə̃] pour le [œ̃] et sur la stabilisation du schwa concernant un régistre form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