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담금 방법을 달리한 오이지의 숙성 중 특성 변화

        미원(Mee-Weon Park),용곤(Yong-Kon Park),장명숙(Myung-Sook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4

        담금초기 소금물의 농도와 온도를 달리한 오이지의 숙성 중 품질요소인 pH, 산도, 색도, 조직감 등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10% 소금물을 끓여 바로 부은 A처리구의 pH는 숙성 3일 경과시 3.30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20% 소금물을 끓여 바로 부은 B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숙성 40일 까지 pH가 4.16으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산도는 모든 숙성기간에서 A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소금 농도의 경우 숙성 3일 후 A 처리구가 30%, B가 45%, C가 36%의 높은 소금침투율을 보였으나 숙성기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증가속도가 완만하였다. 색도 변화에서 백색도는 모두 숙성 3일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후 감소하였고, 녹색도는 B처리구가 숙성 40일 까지 낮은 값을 보인 반면 황색도는 가장 높은 값을 나다내었다. 오이지의 절단강도는 숙성에 의해 생오이 보다 증가하였으나 담금초기 소금물의 농도와 온도의 상태에 따라 오이지의 부위에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고, 최대 절단력을 나타내는 숙성일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이지의 부위 중 밑부위가 가운데 또는 꼭지부위에 비해 최대 절단강도를 보이는 숙성일수가 짧았다. 오이지 담금시 B처리구는 빠른 숙성 시일내에 오이지를 얻을 수는 있으나 오이지의 풍미와 조직감 특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20% 소금물을 가열, 냉각 후 첨가한 C처리구는 오이지의 색상이 지나치게 퇴색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 이용한 전통적인 오이지 담금방법 중에서는 10% 소금물을 가열 후 바로 오이에 첨가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오이지의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e the effects of preparation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The preparation methods were brining the cucumbers in 10% NaCl solution (boiled, method A), 20% NaCl solution (boiled, method B) and 20% NaCl solution (cool to 25℃ after boiling, method C). The cucumber preserved with boiled solution and high salt concentration showed slow fermentation rate. The rate of salt penetration during brining of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increased. The green value of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by method B was lower than by method A and C. The cutting force of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measured by texure analyser showed a rapid increasing rate during initial brining periods.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for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amples at 5% level. The cucumber preserved with salt in boiled 10% NaCl solution (method A)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most of the characteristics.

      • KCI등재

        현황데이터좌표 조정에 의한 지적측량성과 결정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박원창(Park Weon Chang),김감래(Kim Kam Lea),라용화(Ra Yoong Hwa) 한국지적정보학회 201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3 No.1

        현재 수치화된 파일은 종이로 만들어진 도면으로서 제작후 90여년 동안 사용해오면서 신축ㆍ마모ㆍ훼손 등과 축척에 따른 오차를 가지고 있는 지적도면을 벡터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대축척 공도(公圖)로서 뿐만 아니라 개인재산권과 직결되는 지적정보로서의 활용과 지적도면에 대한 현지 복원능력 및 정확한 지적측량성과를 결정할 수 있는 명확한 수치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수치파일을 위하여 지적도면 상에 필지경계점을 관측한 현황데이터, 그리고 경계가 모호한 일필지는 정사영상을 중첩시킨다. 현황면적은 공부상면적, 그리고 지적도면 상의 좌표면적계산법에 의한 면적과도 불일치하므로 공부상면적과 최대한 일치 또는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서 지적측량사의 주관적인 성과 결정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The current digital cadastral map data is the results of vectorizing the cadastral paper map which has been used for more than 90 years thus contain errors by expansion and shrinkage. The accurate digital cadastral map data is required in order to protect the limit of person’s land ownership as well as fulfill the role of large scale national map. A parcel which is not clearly defined can overlap with the ortho-photos and the surveyed points of a parcel for this kinds of digital map. Surveyed area is incompatible with the registered area, and an area from the coordinates calculation. So the problem of subjective survey result determination can be solved from the method that makes the best use of coincidence or minimizing the errors.

      • SCOPUSKCI등재

        소금종류에 따른 오이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미원(Mee-Weon Park),용곤(Yong-K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3

        오이지의 pH는 숙성 5일까지 소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숙성 10일부터 천일염으로 담근 것이 숙성 말기까지 재제염과 정제염으로 담근 것보다 높았다. 산도는 숙성 5일까지는 천일염으로 담근 오이지가 가장 높았으나 10일 이후부터는 정제염으로 담근 것이 가장 높았다. 오이지의 소금농도는 정제염으로 담근 것이 숙성 전기간을 통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오이지의 색도 중 황색도는 천일염으로 담근 오이지가 숙성 3일에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재제염과 정제염으로 담근 오이지는 숙성 말기까지 증가하였다. 오이지 가운데 부위의 절단강도는 천일염과 재제염으로 담근 오이지는 생오이보다 증가한 반면 정제염으로 담근 오이지는 감소하였으며, 숙성 전기간을 통해서는 천일염으로 담근 오이지가 가장 높았다. 또한 오이지 가운데 부위의 최대절단강도는 천일염 > 재제염 > 정제염의 순으로 높았다. 오이지의 관능적 특성 평가결과 숙성 10일이후부터는 맛, 텍스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천일염을 사용한 오이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i(Korean pickled cucumbers)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bay, refined and purified salt). The pH of Oiji prepared with bay salt was higher than those prepared with refined and purified salts. The salt concentration of Oiji prepared with purified salt showed the highest value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cutting forces at middle part of Oiji prepared with bay and refined salts were higher than those of raw cucumber, and bay salt resulted in the highest force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od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salts at 5% level. Oiji prepared with bay sal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mos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 SCOPUSKCI등재

        한 가족에서 발생한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

        희원(Hee Weon Park),전수일(Soo Il Chun) 대한피부과학회 1990 대한피부과학회지 Vol.28 No.6

        We report three cases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in one family. The punctiform, spider-like and nodular telangieectatic lesions were presented in these all patients, the father, son an daughter. But nevus flammeus-like lesion which was the unusual manifestation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was noticed on daughters chest. There were no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and no evidence of systemic disease. Histological findings showed only dilated telangiectatic blood vessels in the upper dermis. (Kor J Dermatol 28(6): 826 830, 1990)

      • SCOPUSKCI등재

        담금 방법을 달리한 오이지의 숙성 중 펙틴질의 변화

        미원(Mee-Weon Park),용곤(Yong-Kon Park),장명숙(Myung-Sook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1

        숙성에 따른 오이지의 조직감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펙틴질의 변화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담금방법을 달리한 오이지의 알콜불용성 고형물을 제조하여 가용성 펙틴의 함량, 구성비 및 무기질 함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가용성 펙틱 중 열수가용성 펙틴(HWSP)과 염가용성 펙틴(NaSP)을 DEAE-cellulose 칼럼으로 분리한 후 갈락투론산(GA)과 중성당(NS)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오이지의 알콜불용성 고형물을 제조하여 가용성펙틴의 함량과 구성비를 조사한 결과 생오이의 경우 HWSP의 함량이 가장 높아 총펙틴 함량의 약 60%를 차지하였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오이지의 담금 방법에 관계없이 NaSP의 함량은 증가한 반면 HWSP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오이지의 알콜불용성 고형물의 마그네슘 함량은 세 처리구 모두 숙성 3일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A처리구는 20일, B, C처리구는 3일 이후 부터 감소하였으며, 칼슘 함량은 A처리구 30일, B처리구 10일, C처리구는 20일 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DEAE-cel-lulose 칼럼에서 HWSP와 NaSP를 각기 다른 농도의 phosphate buffer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각 분획의 GA와 NS의 구성비를 조사한 결과 생오이의 경우 HWSP는 0.2M, NaSP는 0.4M에서 용출되는 분획이 주된 피크로 나타났으나 오이지의 경우 HWSP에 있어서 A, B, C처리구 모두 0.2M 분획의 GA와 NS의 구성비가 감소한 반면 0.05M, 0.4M, 0.5M 분획의 구성비가 증가하였다. NaSP는 세 처리구 모두 생오이와 같이 0.4M 분획이 주된 피크로 나타났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0.4M 분획의 GA와 NS의 구성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in alcohol insoluble solids (AIS) extracted from cucumbers pickled in salt. The preparation methods were brining the cucumbers in 10% NaCl solution (boiled, method A), 20% NaCl solution(boiled, method B) and 20% NaCl solution (cool to 25℃ after boiling, method C). The composition ratio of hot water soluble pectin (HWSP) in AIS decreased during brining, while that of 0.4%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 (NaSP) increased remarkably. The contents of Ca and Mg in AIS increased regardless of preparation methods used. By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HWSP from fresh. and brined cucumbers were divided into six fractions. 0.2M peak was the main fraction in fresh cucumber, whereas 0.05M and 0.2M peak were the main fraction in pickled cucumbers. On the other hands, NaSP from fresh and brined cucumbers were divided into five fractions and 0.4M peak was the main fraction. However, the composition ratios of galacturonic acid and neutral sugar of 0.4M fraction in brined cucumb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 cucum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