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Veterinary Medicine for Aerospace Medicine
Won-Chang Lee(이원창)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2010 항공우주의학회지 Vol.20 No.1
1858년 비교의학(Comparative Medicine)자 Rudolp Virchow는 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은 그 응용은 다를 지라도 - 의학적 기반은 구분되지 않고, 구분 되어서도 안 된다고 하였다. 현대 수의학(獸醫學)의 발전은 애완동물이나 가축의 질병을 다루는 범위 이외에 인수공통전염병, 생태학, 역학, 식품위생 및 안정성, 환경위생학 그리고 기초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생의학(Biomedicine)과 항공우주의학(航空宇宙醫學) 및 군진의학(軍陳醫學)분야에 이르기까지 관련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20세기에 들어와서 항공우주의학의 기간이 되는 생체기초실험의 인간을 대신하는 실험동물연구의 상당부분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온 것은 수의학의 업적이라고 하겠다. 미국의 경우 NASA에는 항공우주의학분야에 수의학 담당관이 있고, 일부 연구관 중에서는 우주비행사로 활약 하거나 우주선내에서의 동물실험 연구원으로 활약하는 수의학자들이 있다는 사실은 별로 알려져 있지 않아, 항공우주의학분야와 관련된 수의학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성일세(Ilse Sung),김영효(Young Hyo Kim),김현지(Hyun Ji Kim),김규성(Kyu-Sung Kim)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2016 항공우주의학회지 Vol.26 No.2
일본의 항공의학은 일찍이 항공의학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전문가양성에 주력하여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다. 우리나라는 오늘날 국민소득의 증가와 세계화의 조류에 따라 최근 항공수요가 급증하였으며, 이에 따라 항공안전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본 항공의학의 발전을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도 위상에 걸 맞는 규모와 연구역량의 증가를 통해 항공의학의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Japan aviation medicine, starting with establishment of the Civil Aeronautics Act in 1952 until now. The aviation medical examination system has been periodically revised and in recent years, the age limit has been extended. As the emerging concerns about aviation safety after an aircraft accident, the Japanese aeromedical research center has been developed in earnest. This article reviews the overall situation of Japanese aviation medicine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Korean aviation medicine to go forth through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