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은행의 배당결정요인과 배당이 경영성과와 위험에 미치는 영향

        박영석,정현재 한국재무학회 201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본 연구는 은행의 자본적정성과 배당정책 간 관계를 파악하고 배당이 은행 경영성과 및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정부소유은행과 민간은행 간 비교에 초점을 두어 검토하였다. 정부소유은행의 경우, 기본자기자본비율이 배당성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자본 적정성 미흡에 따른 자기자본규제 압력이 배당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간은행의 경우, 자기자본규제의 압력으로 인한 유의미한 배당 성향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기자본비율 하락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은행의 위험이 주주 외 채권자 및 예금자로 이전(risk-shifting)되는 유인이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위험이전 행태는 금융위 기 기간의 배당증가 현상을 통해 재확인되었다. 그리고 정부소유은행의 배당은 신호효과 를 통해 경영성과 제고와 위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규제 압력 하의 민간은 행의 비용소모적인 배당은 경영위험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은행의 위험추구행위를 억제하고 지급불능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 자본규제의 효과에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자본적정성 미흡 은행에 대한 현행 배당제한 규제에 더하여 은행 배당정책에 대한 개별적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파랑하중을 고려한 계류시스템의 동적거동

        박영석,이명우,호영일 명지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1988 공학기술연구소 논문집 Vol.3 No.-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mooring system of offshore guyed tower.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and geometric nonlinearities a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mooring line. The govering equilibrium equations are derived by the principle of virtual work, and modified Newton-Raphson method and Newmark-β method are employed in response calculations. The drag and inertia effects of fluid are included using a Morrison type equation. Numerical examples demonstrate the validity and capability of the mathematical formulation.

      • KCI등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mplant-supported crown in fibula bone model

        박영석,권호범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Vol.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ress distributions of implant-supported crown placed in fibula bone model with those in intact mandible model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Two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to analyze biomechanical behaviors of implant-supported crowns placed in intact mandible and fibula model. The finite element models were generated from patient’ computed tomography data. The model for grafted fibula was composed of fibula block, dental implant system, and implant-supported crown. In the mandible model, same components with identical geometries with the fibula model were used except that the mandible replaced the fibula. Vertical and oblique loadings were applied on the crowns. The highest von Mises stresses were investigated and stress distributions of the two models were analyzed. RESULTS. Overall stress distributions in the two models were similar. The highest von Mises str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mandible model than in the fibula model. In the individual prosthodontic components there was no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models. The stress concentrations occurred in cortical bones in both models and the effect of bicortical anchorage could be found in the fibula model. CONCLUS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implantsupported crown placed in free fibula graft might function successfully in terms of biomechanical behavior.

      • KCI등재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박영석,박대우,Park Yaung-Seog,Park Dae-W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3

        이 연구에서는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환경오염과 지질재해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 178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다. 시료는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고, XRD,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 하상퇴적물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석영반암 지역, 퇴적암류 지역, 아노르도사이트 지역과 편마암류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1.86{\sim}76.74\;wt.%,\;Al_{2}O_{3}\;9.92{\sim}30.00\;wt.%,\;Fe_{2}O_{3}\;2.74{\sim}12.68\;wt.%,\;CaO\;0.22{\sim}3.31\;wt.%\;,MgO\;0.34{\sim}3.97\;wt.%,\;K_{2}O\;0.75{\sim}0.93\;wt.%,\;Na_{2}O\;0.25{\sim}1.92\;wt.%,\;TiO_{2}\;0.40{\sim}3.00\;wt.%,\;MnO\;0.03{\sim}0.21\;wt.%,\;P_{2}O_{5}\;0.05{\sim}0.38\;wt.%$이다. 하상퇴적물의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Cu\;7{\sim}102\;ppm,\;Pb\;15{\sim}47\;ppm,\;Sr\;48{\sim}513\;ppm,\;V\;29{\sim}129\;ppm,\;Zr\;31{\sim}217\;ppm,\;Li\;14{\sim}94\;ppm,\;Co\;5.6{\sim}32.1\;ppm,\;Cr\;23{\sim}259\;ppm,\;Cs\;1.7{\sim}8.7\;ppm,\;Hf\;2.1{\sim}109.0\;ppm,\;Rb\;34{\sim}247\;ppm,\;Sc\;4.5{\sim}21.9\;ppm,\;Zn\;24{\sim}609\;ppm,\;Sb;0.8{\sim}2.6\;ppm,\;Th\;3{\sim}213\;ppm,\;Ce\;22{\sim}1000\;ppm,\;Eu;0.7{\sim}5.3\;ppm,\;Yb\;0.6{\sim}6.4\;ppm$의 범위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tream sediments in the Konyang area. So we can estimate the environment contamination and understand geochemical disaster. We collect the stream sediments samples by wet sieving along the primary channels and slowly dry the collected samples in the laboratory and grind to pass a 200mesh using an alumina mortar and pestle for chemical analysis. Mineralogy,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are determined by XRD, XRE,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For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s, the studied area was grouped into quartz porphyry area, sedimentary rock area, anorthosite area and gneiss area. Contents of major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in the Konyang area were $SiO_2\;41.86{\sim}76.74\;wt.%,\;Al_{2}O_{3}\;9.92{\sim}30.00\;wt.%,\;Fe_{2}O_{3}\;2.74{\sim}12.68\;wt.%,\;CaO\;0.22{\sim}3.31\;wt.%,\;MgO\;0.34{\sim}3.97\;wt.%,\;K_{2}O\;0.75{\sim}0.93\;wt.%,\;Na_{2}O\;0.25{\sim}1.92\;wt.%,\;TiO_{2}\;0.40{\sim}3.00\;wt.%,\;MnO\;0.03{\sim}0.21\;wt.%,\;P_{2}O_{5}\;0.05{\sim}0.38\;wt.%$. The contents of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were $Cu\;7{\sim}102\;ppm,\;Pb\;15{\sim}47\;ppm,\;Sr\;48{\sim}513\;ppm,\;V\;29{\sim}129\;ppm,\;Zr\;31{\sim}217\;ppm,\;Li\;14{\sim}94\;ppm,\;Co\;5.6{\sim}32.1\;ppm,\;Cr\;23{\sim}259\;ppm,\;Cs\;1.7{\sim}8.7\;ppm,\;Hf\;2.1{\sim}109.0\;ppm,\;Rb\;34{\sim}247\;ppm,\;Sc\;4.5{\sim}21.9\;ppm,\;Zn\;24{\sim}609\;ppm,\;Sb\;0.8{\sim}2.6\;ppm,\;Th\;3{\sim}213\;ppm,\;Ce\;22{\sim}1000\;ppm,\;Eu\;0.7{\sim}5.3\;ppm,\;Yb\;0.6{\sim}6.4\;ppm$. Generally, the contents of $Al_{2}O_{3}\;and\;SiO_2$ had a goo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rocks but it had a bad relationships in stream sediments for this study area. The contents of $Fe_{2}O_3$, CaO, MnO and $P_{2}O_{5}$ had a good relationships with major and minor elements in stream sediments of this study area. The contents of Co and V in the stream sediments had a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 toxic elements.

      • KCI등재

        기반암에 따른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박영석,박대우,김종균,송영상,이장존,Park, Young-Seog,Park, Dae-Woo,Kim, Jong-Kyun,Song, Yeung-Sang,Lee, Jang-J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6

        이 연구에서는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규명을 통해,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에 대한 청풍지역의 자연배경치를 제시하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으며, 화학적 분석을 위해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다. 주성분원소 및 미량성분원소는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기반암에 따른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화강암질편마암지역, 메타텍틱편마암지역, 다도응회암지역, 유치역암 지역, 능주용암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7.31{\sim}72.81\;wt.%,\;Al_2O_3 \;11.26{\sim}21.88\;wt.%,\;Fe_2O_3\;2.83{\sim}8.39\;wt.%,\;CaO\;0.34{\sim}7.54\;wt.%,\;MgO\; 0.55{\sim}3.59\;wt.%,\;K_2O\;1.71{\sim}4.31\;wt.%,\;Na_2O\;0.56{\sim}2.28\;wt.%,\;TiO_2\;0.46{\sim}1.24\;wt.%,\;MnO\;0.04{\sim}0.27\;wt.%,\;P_2O_5\;0.02{\sim}0.45\;wt.%$이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Ba\;700ppm{\sim}8990ppm,\;Be\;1.0{\sim}3.50ppm,\;Cu\;6.20{\sim}60ppm,\;Nb\;12{\sim}28ppm,\;Ni\;4.4{\sim}61ppm,\;Pb\;13{\sim}34ppm,\;Sr\;65{\sim}787ppm,\;V\;4{\sim}98ppm,\;Zr\;32{\sim}164ppm,\;Li\;21{\sim}827ppm,\;Co\;3.68{\sim}65ppm,\;Cr\;16.7{\sim}409ppm,\;Cs\;72{\sim}37.1ppm,\;Hf\;4.99{\sim}49.2ppm,\;Rb\;71.9{\sim}649ppm,\;Sb\;0.16{\sim}5.03ppm,\;Sc\;4.97{\sim}5ppm,\;Zn\;26.3{\sim}375ppm,\;Ce\;60.6{\sim}373ppm,\;Eu\;0.82{\sim}6ppm,\;Yb\;0.71{\sim}10ppm$의 범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ediments in the Cheongpung area.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natural background and predict the prospects of geochemical disaster, if any. We collected the stream sediments samples by wet sieving along the primary channels and slow dried the collected samples in the laboratory and ground them to pass a 200 mesh using an alumina mortar and pestle for chemical analysis.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were determined by XRD, XRF,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For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geological group of stream sediments, the studied area was grouped into granitic gneiss area, metatectic gneiss area, Dado tuff area, Yuchi conglomerate area, and Neungju flow area in the Cheongpung area. Contents of major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in the Cheongpung area were $SiO_2\;47.31{\sim}72.81\;wt.%,\;A1_2O_3 \;11.26{\sim}21.88\;wt.%,\;Fe_2O_3\;2.83{\sim}8.39\;wt.%,\;CaO\;0.34{\sim}7.54\;wt.%,\;MgO\; 0.55{\sim}3.59\;wt.%,\;K_2O\;1.71{\sim}4.31\;wt.%,\;Na_2O\;0.56{\sim}2.28\;wt.%,\;TiO_2\;0.46{\sim}1.24\;wt.%,\;MnO\;0.04{\sim}0.27\;wt.%,\;P_2O_5\;0.02{\sim}0.45\;wt.%$. The con-tents of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were $Ba\;700ppm{\sim}8990ppm,\;Be\;1.0{\sim}3.50ppm,\;Cu\;6.20{\sim}60ppm,\;Nb\;12{\sim}28ppm,\;Ni\;4.4{\sim}61ppm,\;Pb\;13{\sim}34ppm,\;Sr\;65{\sim}787ppm,\;V\;4{\sim}98ppm,\;Zr\;32{\sim}164ppm,\;Li\;21{\sim}827ppm,\;Co\;3.68{\sim}65ppm,\;Cr\;16.7{\sim}409ppm,\;Cs\;2.72{\sim}37.1ppm,\;Hf\;4.99{\sim}49.2ppm,\;Rb\;71.9{\sim}649ppm,\;Sb\;0.16{\sim}5.03ppm,\;Sc\;4.97{\sim}52ppm,\;Zn\;26.3{\sim}375ppm,\;Ce\;60.6{\sim}373ppm,\;Eu\;0.82{\sim}6ppm,\;Yb\;0.71{\sim}10ppm$.

      • KCI등재

        고응력의 지시자로서 방해석 쌍정 분석연구

        박영석,장보안,김정빈,강성승,Park, Young-Seog,Jang, Bo-An,Kim, Cheong-Bin,Kang, Seong-Se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4

        고응력사의 지시자로서 방해석 쌍정 분석법을 이용하여 방해석내 쌍정이 생성될 당시의 변형온도와 고응력장의 상태 및 방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에 소규모로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는 석회질 암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에서 쌍정의 형태(한 방향 또는 두 방향의 얇고 두꺼운 직선형 쌍정), 변형률(1.235-7.453%), 두께($0.77-1.94{\mu}m$), 치밀도(25.26-41.99 twins/mm) 등을 고려하여 추정한 연구지역에서의 방해석 쌍정에 의한 변형온도는 약 $150^{\circ}-200^{\circ}C$ 이하로 나타났다. 주변형률의 크기와 방향에서 최대수축변형률($e_3\leftrightarrow{\sigma}_1$)의 방향은 경상분지 남부에 해당하는 GS-1와 영남육괴 남부에 해당하는 BS-1 지역에서 N-S, 그리고 옥천습곡대 서남부에 해당하는 NR-1 지역에서는 E-W 방향을 보였다. 최대인장변형률($e_1\leftrightarrow{\sigma}_3$)의 경우 GS-1과 BS-1 지역은 $NWW-SEE{\sim}NNE-SSW$ 그리고 NR-1 지역은 N-S 방향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지역에는 방해석 쌍정의 생성과 관련된 서로 다른 고응력장이 최소한 두 번 이상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 temperature of deformation and the state and direction of paleostress at that time when twins in calcite grains had been produced were observed, using analysis of calcite twins as indicators of paleostress history.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target of carbonate rocks distributed randomly small size in the southern area of south Korea. Considering the appearance of twins (thin or thick straight twins with one or two twin sets), average twin strain (1.235-7.453%), thickness ($0.77-1.94{\mu}m$) and intensity (25.26-41.99 twins/mm) from the results of calculated calcite twins, it is estimated that calcite twins were produced under temperatures lower than approximately $150-200^{\circ}C$. In the magnitudes and directions of principal strains, the maximum shortening strain axis ($e_3\leftrightarrow{\sigma}_1$) is approximately N-S direction in the GS-1 area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as well as in the BS-1 area in the southern Yongnam Massif, whereas E-W direction in the NR-1 area in the southwestern Ogcheon Fold Belt. In case of the maximum extension strain axis ($e_1\leftrightarrow{\sigma}_3$), it is oriented in NW-SE and NE-SW directions in the GS-1 and BS-1 area, respectively, and in N-S direction in the NR-1 area. That is, it is suggested that the paleostress which produced the calcite twins may be applied at least more than two times in the study area.

      • KCI등재후보

        토킹-픽처: 풍경과 말의 역량을 통한 기억의 환기

        박영석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0 No.25

        본고는 일반적인 영화의 재현적인 내레이션 체계에서 벗어나 시각이미지와 음향이미지가 가지는 고유의 힘을 강조하는 이미지 구성 방식에 주목한다. 말과 사운드의 순수한 역량이 자율적으로 펼쳐지면서, 풍경이나 장소의 역량으로 구성된 시각이미지와 다채로운 방식으로 조응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이미지 간에는 힘의 위계가 없고 설사 그 위계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 효과는 매우 일시적이다. 이처럼 풍경과 말의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영화들을 ‘토킹-픽쳐’라 부를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이미지 구성 방식이 영화 전체의 내러티브 구조 속에서 어떤 순간 돌출되고,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여 심층적 의미를 이끌어내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은 장-마리 스트라우브와 다니엘 위예의 <시실리아!>(1999)와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의 <세계의 시초로의 여행>(1997)이다. 두 영화는 형식적으로 ‘토킹-픽쳐’의 특징에 부합하며, 중심 내러티브가 명확한 까닭에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에 용이하다. 두 영화는 모두 길 위에서 시작되어 중심인물의 여정을 따라 진행되는 로드무비 형식을 띤다. <시실리아!>의 주인공 남자는 기차를 타고 이동하며 그 내부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다. <세계의 시초로의 여행>의 네 인물들은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며 대화를 나누고, 여행 도중 특정한 지역에 다다르면 차에서 내려 그 장소를 탐방하며 대화를 나눈다. 그 장소와 관련된 사적 기억들은 다른 인물들의 기억이나 역사적 지식과 만나 다층적인 함의를 발생시킨다. 두 영화에서, 여정의 종착지는 누군가의 집이다. 이 장소는 어떠한 근원적인 장소이며, 들뢰즈적 의미에서 배아를 품고 있는 결정체로 존재한다. 이 장소가 품고 있는 지질학적, 지층적 기억은 구체적이거나 실증적인 역사를 넘어 보다 근본적인 것, 즉 들뢰즈적 의미에서 잠재적인 것으로서의 기억이다. 따라서 이 여정은 기억의 심층으로 수렴하는 과정이 되는데, 이때 두 영화는 풍경과 말의 역량을 통해 역사적 기억과 개인적 기억을 환기하고 그 심층으로 침잠해 들어간다. 이를 베르그손적인 ‘순수 기억’이 일순간 기억 이미지로 현실화되는 과정, 혹은 들뢰즈적 ‘순수 사건’의 표면 효과와 관련하여 사유해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