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동과 서의 실천적 지식인 - 사회인문학의 자원과 갈래 : 아렌트, 하버마스, 성찰적 공공성: 사회인문학적 고찰

        박영도 ( Young Do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5 No.-

        아렌트와 하버마스는 시장 중심의 자유주의적 공공성과 국가 중심의 관료적 공공성과 구별되는, 시민적 연대성에서 출발하는 민주적 공공성 개념을 발전시킨 대표적 이론가들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들의 공공성 개념을 사회인문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성찰적 공공성 개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의 기본관점은 아렌트의 경연적 공공성 개념이 두 방향에서 성찰적 공공성으로 변형 내지 확장될 수 있는데 비해, 하버마스의 담론적 공공성 개념은 그 중의 한 방향만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출발하여 먼저, 아렌트가 다원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상호주관적 망이라는 순수한 내재성의 차원에서 제시한 경연적 공공성 개념의 특성을 제시할 것이다. 하버마스는 (아렌트의 경연적 공공성 개념이 거부하는) 합리성과 공공성의 연관을 복구함으로써 평등한 자유가 가능한 이성적 조건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고자 했는데, 여기서 우리는 성찰적 공공성이 갖는 성찰성의 첫 번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담론적 공공성은 언어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고, 이로써 또 소통적 자유의 제도화가 또 다른 자유의 침해를 가져온다는 소통적 자유의 역설에 직면한다. 이 역설을 벗어나기 위해선 두 번째 의미의 성찰성, 즉 공공성을 구성하는 언어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에 대한 성찰성이 요구된다. 요컨대 공공성은 상호주관적 지평에서 출발하되, 정의의 관점과 이 정의의 관점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의 전망 모두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조망될 필요가 있다. 공공성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전망의 한 특징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Hannah Arendt and Jurgen Habermas are regarded as the two most important theorists of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based on civi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ncept of the reflective public sphere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ir concepts of the public spher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Humanities. The paper first describ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rendt`s concept of the agonistic public sphere, which Habermas then critically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the discursive public sphere. This concept is reflective in that it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the public sphere which was rejected by Arendt. This transformed interpretation is now able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ational social condition for all members of a society to enjoy equal freedom in its use-value without violence? We can find here the first sense of the word "reflective" of "the reflective public sphere." Habermas` discursive public sphere has, however, no conceptual device to answer the second reflective question: what is excluded by language itself that constitutes the discursive public sphere? This absence of the second sense of reflectivity results in the new paradox of freedom, where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mmunicative freedom gives rise to the structural destruction of the freedom of the excluded. To avoid this kind of paradox,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must be reflective in both senses of the word mentioned abov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P. acnes와 HaCaT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관한 Blue Light의 효과

        박영도 ( Young Do Park ),이규석 ( Kyu Suk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09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7 No.11

        Background: Acne is a multifactorial disease. Particularly, Propionibacterium acne acts on triglycerides and releases cytokines, which trigger inflammatory reactions and alter the infundibular keratinization status. Recently, visible light, especially blue light, has been shown to activate the endogenous porphyrins of P. acne, which results in a photodynamic reaction that destroys the bacteria. However, the effect of blue light on inflamed lesion, inflammatory papules, pustules, are largely unknown.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bactericidal effect of blue light on P. acnes as well as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HaCaT cells. Methods: We performed the colony count assay in blue light irradiated-culture media of P. acnes and RT-PCR analysis in blue light irradiated-HaCaT immortalized keratinocytes. Results: A 7 minute irradiation with blue light was bactericidal to P. acnes. I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toll-like receptor (TLR) 2 in HaCaT cells. Expression of TNF-α-induced TNF-α and TLR 2 were down-regulated by blue light in HaCaT cells. Conclusion: Blue light is a potential anti-acne treatment. (Korean J Dermatol 2009;47(11):1213~1219)

      • KCI등재

        “민주적 근본주의”와 그 불만

        박영도(Park, Young-D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4

        ‘민주적 근본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지젝은 오늘날 민주주의가 반자본주의 투쟁 의 형식이 아니라 오히려 자본주의적 적대를 민주주의와 근본주의 간의 대립으로 전치함으로써 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가로막는 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반민주적 정치기획을 제시한다. 이 글의 목적은 지젝의 이 반민주주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먼저 1장에선 지젝이 말하는 ‘민주적 근본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방식으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밝힌다. ‘민주적 근본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연결고리는 법과 초자아의 내적 연관인데, 2장에선 이것이 지젝에게서 어떻게 해명되는지를 재구성할 것이다. 지젝의 반민주적 정치기획은 이 법과 초자아의 내적 연관을 돌파하는 메시아적 분할의 전략을 따른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전략의 의미(3장)와 문제점들(4장)을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선 지젝의 기획의 문제점들이 왜 발생하는지를 경계의 사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즉 그 문제점들이 일반적으로는 초월- 내재적 표기 -무기의 3항관계로 구성되는, 그리고 특수하게는 타당성- 의미- 주이상스의 3항관계로 구성되는 경계의 사유가 지젝에게서 의미-주이상스의 2항관계로 환원된 결과라는 것을 밝힌다. By “democratic fundamentalism” S. Zizek means the contemporary worldwide belief in democracy as the form of the struggle against capitalism, which ontologicizes democracy into a depoliticized universal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se Zizek’s ultra-left anti-democatic project implied in his criticism of the ‘democratic fundamentalism’. At first, I will describe in what sense Zizek thinks the democratic fundamentalism plays the role of the ideology of the global capitalism (1). Secondly, I will analyse th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aw and super ego, which is presented by Zizek as the psychoanalytic base of his critical explanation of the democratic fundamentalism(2). As the way to break through this circular relationship he offers the strategy of the messianic division on which his anti-democrtic project is based. So I will discuss the meaning(3) of and problems(4) with this strategy. Lastly I will explain how these problems come from the reduction of the thought of/on boundary based on the triad of the transcendental-the remarked immanence-the unremarked to the thought of outside based on the dyad of the remarked immanence-the unremarked.

      • KCI등재

        민주주의의 역설과 경계의 사유

        박영도(Park Young-d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8

        민주주의 역설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차원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한 차원에서는 자유 민주주의의 두 구성원리인 입헌주의 원리와 인민의 자치라는 민주주의 원리 간의, 인권과 주권 간의 대립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를 놓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다른 차원에서는 이른바 ‘정치적인 것’의 회귀에 관한, 그리고 정치적인 것과 입헌 민주주의적 게임규칙을 포함하는 ‘정치’의 관계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민주주의 역설에 관한 이 두 논의 차원은 인민의 자기지배라는 원리가 근대적 법형식이라는 칼의 문을 통과하면서 겪는 변형 및 상처와 관련된 논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설의 이 두 차원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선 경계의 사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여기서 경계의 사유는 내재/초월의 구별이라는 틀 속에서 타당성 검사 및 정당화의 문제에 집중하는 내부의 사유와 표기(表記)/무기(無記)의 구별이라는 틀에 따라 말해진 것 속에서 말해질 수 없는 것의 흔적을 추적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바깥의 사유’를 모두 넘어서려는 사유를 말한다. 먼저 1) 민주주의 역설의 진원지를 해명하기 위하여 법치로 요약되는 법과 권력의 상호구성과 전제의 관계를 해명하고, 그 한가운데 있는 빈터를 분석한다. 2) 입헌 민주주의의 역설에 대한 하버마스의 해결방식을 미첼만과 하버마스의 논쟁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3) 하버마스의 해결책을 경계의 사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어서 하버마스의 내부의 사유와 대립하는 4) 바깥의 사유의 사례로서 데리다의 해체적 정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There are two dimensions in the debate on the paradox of democracy. The first one is about the paradox of constitutional democracy, which results from the confrontation of two principles of modern democracy; rule of law and self-government of people. The other one is about ‘the return of the political’ and its relation to politic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paying due regards to both dimension and treating adequately that paradox requires ‘the thought of/on borderlin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triadic structure of the transcendental / the marked / the unmarked. Beginning with analysing the void within the rule of law, I will reconstruct Habermas' solution to the paradox of democracy and show from the viewpoint of ‘thought of/on borderline’ that Habermas' solution has some deficiencies because his thought remains in the ‘thought of inside’ which reduce the triadic structure to the dual structure of the transcendental/the immanent. And then I will critically show that Derrida's deconstructive politics remains, contrary to Habermas' Thought, in ‘the thought of outside’, which reduces the triadic structure to the dual structure of the marked/the unmarked.

      • KCI등재

        신유가(新儒家)에서 내재적 초월의 구조와 그 의미

        박영도(Young-Do Park)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4

        동일성을 절대화하는 보편주의적 독단의 위험과 차이를 절대화하는 상대주의의 회의주의적 위험을 모두 피할 수 있기 위해선 내재적 초월의 사유가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일상생활 속에 머무르면서 일상생활을 초월한다’는 것을 최고의 경지로 간주해왔던 동아시아의 전통적 사유로부터 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신유가, 특히 성리학의 사유모델을 내재적 초월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먼저 내재와 초월의 구별은 표기와 무기의 구별이 표기의 영역 속으로 재진입하면서 발생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 관점에서 출발하여 신유가적 사유의 발생맥락을 조명하고, 신유가의 우주론적이고 탈목적론적인 내재적 초월의 문법을 해명한다. 마지막으로, 우주론적인 초월의 길이 무너진 현재, 탈목적론 적인 내재적 초월을 계승해 가는 하나의 길로서, 사회적 소통의 차원에서 내재적 초월의 문법을 구성하는 길을 스케치한다. Various forms of struggle for recognition in contemporary world require us to reconstruct anew the grammar of immanent transcendence to steer carefully between the dogmatism of the universalistic mode of thought and the relativism of the contextualistic mode of though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in the spirit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oughts, a possibility to meet this requirement in the Neo-Confucian thought which, from the start,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ormulation: ‘it transcends daily ordinary activities, yet it is not divorced from them.’ At first, I show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the transcendent is originated in the re-entry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arked and the unmarked into the marked. Based on this thought, I try then to explain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 rising of the Neo-Confucian thought in its debates with the Buddhist thought. And, then, I show that the Neo-Confucian model of the immanent transcendence is characterized by its cosmological framework of human/cosmology and its post-teleological structure. Finally, I show the reason why the cosmological framework can not work today and suggest to reconstruct the Neo-Confucian post-teleological structure of the immanent transcendence on the field of social commun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