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에 대한 친권자 및 양육권자 결정 경험

        박언주(Park Eon ju)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4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이혼 시 미성년 자녀에 대한 친권자 및 양육권자 결정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16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를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견된 주요주제는 폭력의 유지, 정상가족이데올로기, 가해자의 조건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친권자 및 양육권자 결정은 가해자와의 접촉과 가해자의 폭력이 유지되는 가운데 진행되었고, 가해자의 협박과 불공평한 협상이 공존하는 장이었다. 정상가족이데올로기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이 자녀가 성장할 때까지 자녀에 대한 친권 및 양육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혼을 유보하거나 가해자의 폭력성보다는 아버지역할을 강조하는 데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의 조건 중 가해자의 경제력은 자녀의 연령 및 가해자의 자녀학대 여부와 관계없이 가해자의 경제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사례에 한하여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의 조건 중 가해자의 일상적 양육능력은 자녀의 연령이 낮은 사례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battered women’s experiences of the custody decisions in the processes of divorce with abusive former partners. Sixteen battered women were interviewed in-depth. Analyzing the data under the qualitative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ound the main themes of battered women’s of child custody decisions as the continua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and the conditions of the abusers.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ade efforts to achieve sole legal and physical custody of their children against the abusers. Different from th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the co-parenting principle was not the case for battered women in Korea. Battered women made custody decisions in the context of the continua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hold meaningful effects on their custody decisions.

      • KCI등재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의 구성과 행위성

        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1

        본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에 대해 12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심층 면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은 ‘책임을 다하면서 자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삶을 이어감’으로 나타났다. 탈 폭력과정 중에 다양한 삶의 단절을 경험한 가정폭력피해여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 수행과 자녀와의 관계유지 속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폭력과 모성수행이 중첩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자녀를 보호하려는 시도를 하고, 자녀양육에 몰입하여 스스로 모성을 강화하고, 정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책임을 수행하고, 자녀와 서로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삶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모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가정폭력피해여성이 모성경험을 의미화하는 방식을 통해 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밝히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행위성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상황에서 자녀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삶을 이어가는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다양한 행위 및 생존전략을 보여줌으로써 가정폭력피해여성의 행위성을 가시화하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 및 행위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thering experiences of battered women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In-depth interviews with twelve battered women who mothered at least one child when they lived with the violence were conducted. Giorgi phenomenology method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battered women’s narrative on their mothering experiences. Mothering experiences of battered women can be explained as ‘keep their lives going on as taking care of responsibilities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Responsibilities include protecting children from violence, conducting intensive mothering, taking (back) normality, and restor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is worth exploring the construction of mothering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and battered women’s agency through mothering.

      • KCI등재

        소설의 서술자와 발화자 -까뮈의 「이방인」의 경우

        박언주 ( Park Eon Ju ) 한국불어불문학회 200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55

        Comme une forme particulie`re du re´cit, le roman implique un narrateur invisible ou pre´sent. Ce narrateur manifeste plus ou moins son travail organisateur, fixe un point de vue et nuance ses propos Le narrateur d`un roman n`est ni un auteur re´el ni un personnage fictif. En tant que voix qui raconte un re´cit, le narrateur n`est qu`une fonction ou un ro^le adopte´ au texte. Or le `narrateur` au sens propre de ce terme ne peut pas faire e´tat de toutes les proprie´te´s de Meursault dans L`Etranger, narrateur a` la premie`re personne. Le discours de Meursault, qui se limite strictement a` de´crire ce qu`il voit est de´nue´ de toute valorisation subjective. Pourtant, avec ce type de narration non-naturelle, Meursault partage un sentiment de complicite´ avec les lecteurs au fur et a` mesure de son re´cit: le lecteur est amene´ a` se rendre compte du point de vue qui justifie le Meursault-meurtrier et accuse la socie´te´ domine´e par un syste`me de valeurs conventionelles. Le lecteur s`apercoit de ce point de vue gra^ce aux effets rhe´toriques du discours chez Meursault. Ce re´sultat obtenu tient au fait que le re´cit de Meursault est constitue´ d`une narration inconsistante mais d`un point de vue consistant. Cette contradiction pose une autre question: Meursault, narrateur explicite, est-il un sujet ve´ritable capable de re´soudre cette contradiction et de produire un re´cit cohe´rent de L`Etranger? C`est ici que l`on emprunte la notion de l`e´onciateur. Nous concevons ici l`e´nonciateur comme une instance proprement linguistique ou, plus largement, se´miotique, qui est logiquement pre´suppose´e par l`e´nonce´ et dont les traces sont repe´rables dans les discours(le texte) examine´s. Si tous les e´nonce´s pre´supposent un e´nonciateur invisible, le `je` montre´ dans le texte n`est que le sujet de l`e´nonce´ et n`est donc pas le sujet de l`e´nonciation. C`est-a`-dire que le ve´ritable e´nonciateur du texte dans lequel un personnage dit `je`, n`explicite pas l`image de son e´nonciateur, mais au contraire le rend plus implicite encore. L`e´nonciateur, c`est un e^tre qui est cense´ s`exprimer a` travers l`e´nonciation, sans que pour autant on lui attribue des mots pre´cis. Le narrateur `je` qui figure dans l`e´nonce´ sera percu comme un de´le´gue´ direct de l`e´nonciateur. La notion d`e´nonciateur est ainsi un moyen utile a` expliquer le discours litte´raire par `ce qu`il signifie` et non pas par `ce qu`il repre´sente` dans l`espace textuel.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행동변화에 대한 연구

        박언주 ( Eon Ju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30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attered women`s change in their actions, especially their help-seeking from social support systems, in relation to the five stages of change from Transtheoretical model.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how the external factors constructing the change for battered women. In-depth interviews with ten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revealed the following: 1) Korean battered women tend not to go through each of five stages of change sequentially. They usually skip the preparation stage among the five stages of change. 2) Korean battered women tend to show diverse actions not only in the action stage but also in other stages. They seek safety and separation and expand their help-seeking to ge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self-sufficiency. 3) The threshold of abuse, positive responses from social support systems, and self-sufficiency seem to construct women`s change.

      • KCI등재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1980년대 중산층 국제이주가족의 계층 재생산 전략과 젠더역할의 변화

        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2

        본 연구는 한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분석하여, 산업화시기에 형성된 도시 중산층 가족의 1980년대 해외투자이민과정에서의 계층 재생산 전략과 젠더역할의 변화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산업화시기 도시 중산층 가족의 형성을 통하여 한국가족은 전통적 가족에서 근대적 가족으로 이행하였다. 근대적 가족은 성별분업에 근거한 부부중심의 핵가족을 규범적 형태로 하고, 여성의 아내 및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한편, 1980년대는 국제적인 정치경제의 변화에 따라 한국정부가 해외투자이민을 추진하였던 시기이다. 해외투자이민은 이전 시기의 가족초청 및 노동력 송출 방식과는 차별화된 이주유형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투자이민을 통한 국제이주과정에서 중산층 가족의 계층적 기반은 재구성되고, 취약성은 심화되었다. 구술자 가족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은 이주지에서 요구되는 자원과 거리가 있었고, 내면화한 계층규범은 이주지에서의 경험과 갈등을 일으켰다. 둘째, 가족의 계층 재생산을 위한 전략으로 여성의 역할은 생계노동을 포함한 다중적 역할로 확장되었다. 셋째, 여성의 역할은 젠더역할을 강화하는 맥락에서 확장되었고, 젠더권력관계의 재편으로 이어지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earrangements of social class and gender roles of an urban middle class family in the process of family investment immigration to Argentina in 1980s. To achieve the aims, this study analyzed an oral life history of a female elderly woman who was a housewife of the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s social class status was moving downward and its economic condition became more vulnerable since they immigrated to Argentina. There existed the conflicts between the class norms that the family members had internalized and the realities that they faced in Argentina. Second, the woman expanded her roles in order to move upward the social class status of her family. The roles were expanded beyond the housework and intensive mothering to those roles including caregiving and managing the employees of different ethnic groups and networking the family and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y. Third, her roles were expanded only in the ways of enhancing gender roles, and it was hardly found any evidence of restructuring of gender power relationship.

      • KCI등재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박언주(Park, Eon-Ju),김효정(Kim, Hyo-Jung)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경험이 어떻게 탈폭력의 가능성과 연관되는지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16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경험은 탈폭력의 가능성이 확장되는 동시에 축소되는 복합적이고 갈등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경험이 구성되는 배경에는 여성의 자원을 통제 · 착취 · 파괴하고 정당화하는 가정폭력의 맥락과,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와 모성 이데올로기, 그리고 성별화된 기혼여성 노동시장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폭력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회적 지원방안의 모색을 제안하고,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노동과 경제적 자립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battered women’s labor experiences while involved in abusive relationshi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teen battered women who have worked in the labor market as they lived with and have tried to escape from the violence. The Giorgi phenomenology method was adopted for the analyses of battered women’s labor experiences. The results show that battered women’s labor experiences have complicated and ambivalent meanings. Depending on conditions and contexts of battered women’s lives, their labor experiences can both increase and decrease possibilities to leave the violent relationships. Battered women’s labor experiences are situated by a combination of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gender role ideology, motherhood ideology, and gendered labor market. This study is worth extending discussions on battered women from their abused experiences to their labor experiences, one of the issues on battered women which is largely ignored.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policies and services should more fully understand the nature of battered women’s labor experiences as well as support battered women’s ‘safe’ work.

      • KCI등재

        1940년대 출생 여성노인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현모양처이데올로기와 산업화시기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

        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1

        본 연구는 교사로 정년퇴임한 1940년대 출생 전문직 여성 김지영의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산업화시기에 노동시장에 진출한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세 차례에 걸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김지영은 원가족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교원양성 및 충원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전문직에 진출하였다. 현모양처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한 김지영은 결혼과 동시에 퇴직하여 도시 중산층 가족을 형성하고 전업주부가 되었다. 현모양처의 이념과 전업주부 수행 사이의 갈등과 불일치를 경험한 김지영은 1980년에 교사임용고시에 응시하여 다시 교사로 복직하였다. 김지영은 교직의 구조적 조건에 적응하거나 저항하고 전문성과 만족감을 획득함으로써 강한 직업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직업정체성은 현모양처이데올로기와 강하게 갈등하는 형태로 경험되거나 표현되지 않았다. 자녀에 대한 어머니로서의 죄책감은 회고적으로만 존재했고, 직업정체성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ofessional women’s labor experienc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relation to the ideology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aim, three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im who was born in 1944. Her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as analyzed. Kim accomplished her higher education and became a teacher. A year later, as she got married, she quit her job as a teacher. She formed an urban middle class family and stayed in a housewife role for ten years. Experiencing the conflict between the ideology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the reality in the performance of the full-time housewife, Kim went back to school for teaching. Kim developed a strong job related identities as she adapted herself to or resist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workspaces, and as she achieved her professionality and her feelings of satisfaction. She involved in the diverse out-of-family activities after work. Only in her retrospect, Kim felt guilty about leaving her children at home while doing those activities. However, it seemed that her guilty was not a great influence on her job related identities.

      • KCI등재

        경제적 폭력에 관한 가정폭력 연구의 동향과 함의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설아(Sur Ah Hahn),박언주(Eon Ju Par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0 비판사회정책 Vol.- No.68

        본 연구는 경제적 폭력에 관한 가정폭력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향후 한국의 경제적 폭력 연구와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제적 폭력에 대한 최근 미국에서 출간된 연구를 중심으로 경제적 폭력의 개념과 측정, 경제적 폭력의 영향에 대한 연구 동향과 가정폭력 피해자의 경제적 능력 상실과 빈곤에 개입하는 프로그램 및 정책과 관련한 연구성과를 소개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향후의 경제적 폭력 연구와 가정폭력 피해자의 경제적 능력 및 빈곤 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가정폭력의 하위유형인 경제적 폭력에 대해 한국적 맥락에서 개념화하고 측정함으로써 피해자의 경제적 폭력 경험을 가시화할 필요성이 있다. 가정폭력의 독립적인 하위 폭력 유형으로써 경제적 폭력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척도를 개발하여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폭력의 하위유형인 경제적 폭력 피해자들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사회복지 전문직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Economic abuse is a subcategory of domestic violence that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from both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in South Korea.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economic abuse produced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path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in South Korea on this important issue. Based on the recent literature on economic abuse, the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economic abuse, measuring tools for economic abuse, as well as the current research trend and studies on policy and programs to address economic abuse.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conducting research on economic abuse and developing economic empowerment and anti-poverty policies and program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South Korea: (1) grounding the concept of economic abuse in the South Korean context to develop a measuring tool that accurately captures the South Korean experience of economic abuse and (2) bringing into light the experience of economic abuse in distinctively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related to gender and class differences to develop concrete and effective policies and programs. Lastly, the study highlights the essential role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in developing economic empowerment policies and programs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KCI등재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여성 생계부양노동의 의미

        김효정(Kim, Hyo-Jung),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가족 내 남성이 부재한 상황에서 생계부양노동에 나서야 했던 1920년대생 두 여성 노인의 구술생애사에 대한 분석이다. 각 구술자 당 세 차례에 걸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은 남성부재와 여성의 생계부양노동을 초래하고 전통적 가족에서 근대적 가족으로의 변화와 근대적 핵가족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정을 지연시키거나 변형시켰고, 이에 대한 여성들의 경험은 가족과 개인이 이러한 변화의 과정 중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다른 의미를 획득한다.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써 농업에 기반을 둔 전통적 가족노동체제의 유지는 여성에게 주어진 생계벌이의 책임을 가족생존전략의 맥락에 위치시켜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을 지연하였고, 생계부양자로서 여성의 노동경험은 노동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근대적 개인의 형성으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한편 도시 비공식부문에서 수행된 여성의 생계부양노동 경험은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 방향을 달리하며 근대적 노동주체로의 성장 가능성을 열었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활동 경험에서 형성된 여성의 가족생계부양에 대한 자신감은 가족의 생계부양자로서 여성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이로 인한 여성의 삶과 경험을 전통적 가족에서 근대적 가족으로의 변화과정이라는 맥락에서 논의함으로써,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정에서 여성의 노동경험이 갖는 의미를 드러내고 근대와 여성에 대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wo elderly women’s life histor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women’s experiences as a breadwinner and the absence of men in the family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ree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 who was born in 1928 in Cheongyang and with H who was born in 1927 in Yeonan, respectively. Their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omen’s experiences in regard to the absence of men and earning a living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are intertwined with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families. Women’s work experiences obtain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in which women and their families are situate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Moreover, women experience the absence of men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it occurs in the traditional family labor system or in the modern family labor system. In postwar Korea,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amily labor system often prefers as a survival strategy for families, which influences the postponement of introduc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may affect that women’s work experiences in paid labor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do not lea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worker’s identity. Meanwhile, women’s work experiences in the informal sector of urban areas may open up new possibilities for women to be the subject of labor, while women tend to place more significance on the identity as a mother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their families than the identity as a worker who are the modern subjec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내폭력 피해여성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연구

        박언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2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사회적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의 의도를 중심으로 피해여성의 저항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연구는 “왜 폭력적인 관계를 떠나지 않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하거나 피해여성들이 “떠나는 과정”을 밝히는데 주력해 왔으며, “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는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들이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주목하여 피해여성의 행위성을 부각하고, 피해여성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특정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를 밝힘으로써 기존의 사회적 지원체계가 갖는 한계에 대해 논하고 대안을 모색하려 하였다. 10명의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도움요청을 하지 않는 행위는 가해자의 추가적 폭력을 막고, 관계를 유지하며, 피해여성을 향한 비난 및 양가적 메시지를 피하기 위한 의도적이며 선택적인 행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떠날 준비가 된”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위기개입 위주의 지원체계에 대해 피해여성은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비가시적 행위로 저항하며 기존의 지원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는 가해자를 떠나는 것이 폭력을 종식하는 유일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통념을 넘어서는 방향으로 사회적 지원체계가 재정비되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battered women's reasons for not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Likewise, it attempts to conceptualize battered women's resistance based on intent of women's acts of not seeking help.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redirect their attention from "Why do battered women stay in the abusive relationship?" to "Why do battered women not seek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The former question has stigmatized battered women and limited their cho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battered women's agency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and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intent and meanings of such acts. In-depth interviews with ten battered women revealed the following. Battered women seem to intentionally choose not to seek help from certain social support systems. They do not seek help from such systems in order to prevent further abuse, to keep the relationships, and to avoid blames and ambivalent messages against themselves. Battered women's readiness to leave the abuser appears to affect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Battered women tend to postpone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until they believe that they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It seems problematic that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s achieve the goal of stopping wife abuse by supporting only the battered women who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systems provide the battered women who are not ready to leave the abuser with diverse and sensitive services to promote their help-see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