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톨로사-헌트 증후군에서 속발한 경막동맥해면정맥굴샛길 1예

        박아람(A ram Park),김승우(Seung Woo Kim),정승아(Seung Ah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톨로사-헌트 증후군이었던 눈에서 발생한 경막동맥해면정맥굴샛길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고혈압이 있는 64세 여자 환자가 우안 주변의 통증, 우안 눈꺼풀처짐,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 동공산대와 함께, 우안 외사시와 상사시, 그리고 심한 상전, 하전, 내전장애가 있었다. 뇌/뇌혈관자기공명영상에서 뇌혈관 이상은 없었으나 우측 해면정맥굴에 염증 소견이 있어서 경구 스테로이드로 치료하였고 3일 뒤 통증이 소실되어 완전 동안신경마비로 발현한 톨로사-헌트 증후군으로 생각되었다. 2개월 뒤 우안 눈꺼풀처짐은 소실되고 안구운동장애도 호전되었으나, 심한 우안 주변 통증이 다시 발생하였다. 톨로사-헌트 증후군의 재발로 생각되어 고용량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를 시행하였고, 빠른 호전을 보였다. 3개월 뒤 안구운동장애도 소실되었으나, 우안 결막충혈, 박동성 잡음, 안구돌출이 있어 시행한 뇌혈관조영술에서 우측 경막동맥해면정맥굴샛길이 확인되었다. 경정맥코일 색전술 2개월 후 증상은 소실되었다. 결론: 해면정맥굴에 발생하는 육아종성 염증질환인 톨로사-헌트 증후군에서 경막동맥해면정맥굴샛길이 뒤이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과관찰 시 주의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977-98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vernous sin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 following Tolosa-Hunt syndrome. Case summary: A 64-year-old female with a history of hypertension, presented with blepharoptosis and periorbital pain in the right eye and diplopia. Her right pupil was dilated. She had right exotropia and right hypertropia with inability to elevate, depress, and adduct the right ey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cluding angiography, revealed hyperintensities in the right cavernous sinus consistent with inflammation and no vascular abnormalities. Three days after oral corticosteroid therapy, the pain disappeared. A presumptive diagnosis was Tolosa-Hunt syndrome presenting as a form of complete oculomotor nerve palsy. Two months later, she experienced severe pain in the right periocular area, even though blepharoptosis was resolved and ocular motility was improved. A rapid response to high-dose intravenous corticosteroids was consistent with recurrence of Tolosa-Hunt syndrome. Three months later, she had normal ocular motility, but developed a conjunctival injection, pulsatile orbital bruits, and exophthalmos in the right eye. Cerebral angiography showed a cavernous sin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 She received a transvenous coil embolization and her symptoms markedly improved over 2 months. Conclusions: Tolosa-Hunt syndrome, a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 the cavernous sinus may be followed by cavernous sin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 and should be considered during follow-up.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977-982

      • KCI등재

        소아에서 망막검영법과 자동굴절검사로 시행한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의 비교

        박아람(A Ram Park),정승아(Seung Ah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소아에서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를 망막검영법과 자동굴절검사로 시행하여 비교하고, 검사 간 차이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평균 나이 7.4 ± 3.6세인 소아 388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전후 망막검영법과 자동굴절검사(Grand Seiko GR-3500KA)를 시행하여 굴절력을 비교하고, 성별, 나이, 굴절이상 종류, 약시, 사시, 전신질환 동반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구면도수, 난시도수를 각각 비교하였고, 두 검사 결과가 ±0.50디옵터 이상의 차이를 보이면 의미 있는 측정오차로 정하였다. 결과: 현성자동굴절검사는 망막검영법에 비해 구면도수 47.2%에서 더 근시로 측정되었고, 난시도수 37.1%에서 더 크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구면도수 차이는 7세 미만, 원시, 약시인 경우에 더 흔하였다(각각 p=0.002, p<0.001, p=0.033). 조절마비자동굴절검사는 구면도수 29.4%, 난시도수 30.7%에서 망막검영법과 차이가 있었으나, 의미 있는 측정오차는 아니었고 임상양상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조절마비 전후 망막검영법에서 구면도수 차이가 있는 경우의 55.6%는 조절마비 전 망막검영법과 자동굴절검사에서도 차이를 보였으며, 이 두 차이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조절마비자동굴절검사의 제한적 사용이 가능해 보이나, 여전히 30%의 소아에서 망막검영법과 차이가 있었다. 나이가 어리거나 원시, 약시인 경우, 조절마비 전 망막검영법과 자동굴절검사 간 차이를 보인 경우, 현성굴절검사나 자동굴절검사가 망막검영법에 의한 조절마비굴절검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더욱 주의하여야 하겠다. Purpose: To compare the measurements between manifest refraction and cycloplegic refraction using retinoscopy or an autorefractor in children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Methods: A total of 388 children with a mean age of 7.4 ± 3.6 years were examined using retinoscopy and a Grand Seiko GR-3500KA autorefractor before and after cycloplegia. We compared the difference in spherical and cylindrical components between refractions and analyzed the results according to gender, age, type of refractive error, amblyopia, strabismus, and neuro- developmental disorder. A difference in refractions of ±0.50 D or more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discrepancy. Results: Before cycloplegia, the spherical portion of the refractive error via autorefractor measurement was more myopic than for the retinoscopic measurement in 47.2% of patients, and the cylindrical portion was greater in 37.1%. The spherical discrepancies were more common in children aged < 7 years, with hyperopia, or amblyopia (respectively, p = 0.002, p < 0.001, and p = 0.033). After cycloplegia, the spherical component of the refractive error by auto-refraction differed from retinoscopic measurement in 29.4% of patients, and the cylindrical portion differed in 30.7%.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clinical features. More than half of the children with discrepancies in the spherical component between retinoscopic refractions before and after cycloplegia had a discrepancy between auto-refraction and retinoscopic refraction before cycloplegia, and the two discrepanci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Auto-refraction after cycloplegia can estimate retinoscopic values partially. Nevertheless, 30% of the children still showed a discrepancy. The discrepancy of manifest refraction or auto-refraction compared to retinoscopic refraction with cycloplegia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er children, cases with hyperopia or amblyopia, and cases with a difference in auto-refraction and retinoscopic refraction before cycloplegia.

      • KCI우수등재

        방송의 객관성에 대한 연구

        박아란(Ahran Park) 한국언론학회 2016 한국언론학보 Vol.60 No.6

        The concept of objectivity and fairness is substantial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broadcasting. Nonetheless, the notion of “objectivity” has received less attention than “fairness” or “impartiality.” But the importance of objectivity as a broadcasting standard has been increasing in a legal perspective. For instance, the Seoul High Court in 2016 reversed the lower court’s decision in the JTBC <News 9> case, holding that JTBC violated an objectivity standard by ignoring other side’s opinions. Also, several court cases illustrate how the objectivity standard has been utilized to regulate contents of broadcasting.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n courts and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have yet to provide a clear guideline to determine the concept of objectivity in broadcasting. Also, it argues that courts should have considered the differences between broadcasting channels and programs. This article claims that courts should carefully apply the objectivity standard to broadcasting for more freedom of the press, especially in cases related to ‘public interest.’

      • KCI등재

        서울순환도로 강교도장색채의 현황조사

        박아람(Ah-Ram, Park),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최근 도시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경관의 정비와 계획에 있어 색채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건축물만이 아닌 교량과 같은 경관요소의 색채에 대해서도 심의와 자문 등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해 나가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고속도로나 도시순환도로 등의 많은 교량 색채디자인에 있어, 배경이 되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보다는 교량의 존재감을 강조하여 경관의 연속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해침과 동시에, 각 지역과 장소가 가진 개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관과의 관계를 고려한 교량색채 개선의 시사점 도출을 위해 문헌고찰, 교량 색채의 적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도시순환도로에 대한 현황 현지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량색채는 교량의 기능성, 심미성과 함께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교량이 설치되는 장소의 경관 및 환경특성의 반영이 요구된다. 둘째, 기존의 교량색채는 단순한 장소구분에 따라 파랑색과 초록색, 적황색을 적용하여, 주변경관과의 조화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해 주변 자연 및 도심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한 색상의 적용과 채도의 조절이 요구된다. 셋째, 서울과 일본 도쿄의 도시순환도로를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의 결과, 서울순환도로의 색채환경은 주로 중?고채도의 GY와 BG 색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여 획일화된 경향이 강하고 주변과의 관계성 고려가 약했다. 한편, 도쿄 순환도로는 저채도의 Y와 Neutral 등 안정적 색상이 주변 경관에 강한 대비를 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량색채의 개선을 위해 주변의 색채환경과 관계성이 높은 색채의 적용 및 지역의 교량색채의 규정수립, 검토체계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순환도로의 강교색채를 대상으로 교량색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e role of color is becoming greater in a design department and an improvement of townscape with increased importance of townscape recently. Systematic management is working to the color of not only buildings but also street furnitures and advertisements through deliberation and consultation. Also, as for the color of bridges, developed direction that we have more case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separately. In the past, mostly accent colors, not assimilated color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to decrease continuity of townscape phenomena are often in the color design of bridges on highways and urban belt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irection of bridges" color design considering the harmony of townscapes. The following research was performed: the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the real condition of bridge color and an analysis of the problem, and a local research and an analysis on representative urban beltways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idges" color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company with the functionality and the aesthetics. Second, as a result of an interview at the related office about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bridges" color application, blue and green, red was applied to the existing colors of the bridge according to simply sorted regions. Third, as a result of local surveys in Seoul and Tokyo, colors on a Seoul beltway are mostly GY and BG color with a midium, high chroma. So, uniform trend is strong and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is weak. Colors on a Tokyo beltway are stable colors like Y and Neutra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 issue of the bridge color and the implication for improving for steel bridges" color of beltway. However, what the subject of field research is limited to a capital region and wha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s lack are limit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ridge color plan blended of local.

      • KCI등재

        법원과 언론: 언론 자유에 대한 고찰

        박아란(Ahran Park) 한국언론법학회 2017 언론과 법 Vol.16 No.2

        과거 법원의 언론과 국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법관은 판결로만 말한다’는 법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즉 법원은 충실한 재판이 곧 국민과 소통하는 방법이라 여기고 재판 외의 수단을 통해 소통하는 것을 되도록 자제하였다. 그러나 국민들의 사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미디어가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법원이 언론과 국민의 관심으로부터 거리를 두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이 연구는 법원과 언론의 상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을 세 가지 주제의식하에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법원이 언론 자유의 최후의 보루로서 어떠한 역할을 해왔는지를 판결을 통해 분석하는 한편, 언론 자유 확대를 위한 법적 판단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재판 공개와 관련하여 법원이 단순히 법정의 문을 열어두는 수준을 벗어나 방송과 뉴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국민들의 알 권리 실현에 기여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법원과 언론의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법원 공보관 제도와 법조 기자에 대해 조사하고 공보관과 기자 인터뷰를 통해 각각의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법원과 언론이 서로의 역할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언론 자유의 기능과 가치를 지켜내기 위해 함께 노력한다면 이들의 건전한 상호작용을 통해 민주적 시민사회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이 연구는 제안한다. A famous Korean legal maxim states: “Judges speak only though their rulings.” As this maxim illustrates, Korean courts had rarely communicated with the press and the public in the past. Yet legal situations in the digital age have changed. As the public has more interest in court’s decisions and its process, journalists and people want to have more access to courtroom and court’s documents. This paper examines leg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courts and the press. It analyzes court’s decisions relating to journalists to find out how the courts have contributed to freedom of the press. Also,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urts need to consider the watchdog function of the press to establish democratic society, although balancing freedom of the press with other individual rights is significant. Then, this paper reviews the issue of broadcasting courtrooms. This research interviewed the Public Information(PI) judges and court reporters to know about their communication. PI judg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news facilitators, albeit their duties are relatively limited in searching and providing court rulings to journalists. Court reporters also must do investigative and in-depth reporting instead of simply delivering court’s opinions.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을 기반한 기술기회 도출을 위한 의미론적 접근방법

        박아람(Ah-Ram Park),강지호(Ji-Ho Kang),이준석(Junseok Lee),박상성(Sangsung Park),장동식(Donsik J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8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8 No.4

        최근 제 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면서 세계의 산업 구조와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끼치고 있다. 기업 및 국가에서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 출시를 위해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양의 과학 지식이 생산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단일 매체를 통한 기술 동향파악 연구가 대다수로 편향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와 논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고려해야 하는 세부기술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의미론적 복합단어를 단일 키워드로 도출, 도출된 키워드를 통한 시기별 핵심기술과 세부기술 파악을 위해 Word2vec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최근 헬스케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부기술로 ‘나노’, ‘포함’, ‘생물정보’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파악에 생체계측기기 기술이 고려할 기술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업의 기술 전략수립에 필요한 정보로 제공하고자 한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influencing on market structure around the world, there are lots of efforts to develop various types of products and services, which leads massive scientific knowledge and research out to the academic world. However, existing researches are mainly about understanding technology trends through a single type of data, that can cause a biased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understanding technology trends and extracting its sub-technologies which should be developed, by using quantitative data of patents and research papers. It collects data of technology related to wearable devices to apply Word2vec analysis to examine its core technologies by extracting semantic components word into a single keyword. As a result, it was healthcare studies that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recently, and it showed ‘nano-technology’, ‘include’ and ‘Bio-information’ in consequence of sub-technologies. This analysis result can be a basis for establishing an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 KCI등재

        팩트체크와 명예훼손

        박아란(Ahra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2017년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다수의 팩트체크 기사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중재신청이 되거나 민 · 형사소송이 제기되었다. 특히 팩트체크 기사에 대해 명예훼손을 이유로 중재신청 내지 소송의 위협을 가하는 자가 주로 공인(公人)들이라는 점은 심각한 문제이다. 그렇다면 팩트체크 기사는 명예훼손 위협으로부터 어떻게 보호될 수 있을 것인가. 공인에 의한 명예훼손 소송의 경우 법원의 판결을 통해 확립된 ‘진실 오신(誤信)의 상당성’ 및 ‘악의적이거나 현저히 상당성을 잃은 공격’의 법리로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진실 오신 상당성’ 및 ‘악의성’의 법리가 법원에서 혼용되어 사용되면서 법원칙 본래의 취지를 약하게 만들고 있으며, 공인의 발언을 검증하는 팩트체크 기사의 경우 ‘진실 오신의 상당성’의 법리로는 보호되기 어려운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팩트체커가 검증을 위해 공인의 명예훼손적 발언을 그대로 보도한 경우 ‘전문(傳聞)보도의 법칙’에 따라 언론은 원칙적으로 원(原) 발언자와 마찬가지의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영미법상의 ‘중립보도 면책특권(neutral report privilege)’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팩트체크와 명예훼손의 관계를 검토하는 한편, ‘진실 오신의 상당성’ 법리의 확대가능성 및 그 한계를 살펴본다. 또한 ‘진실 오신의 상당성’의 법리를 보완할 수 있는 ‘중립보도 면책특권’을 검토하고 이러한 면책특권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As fake news and disinformation becomes a global phenomenon, fact-checking would prove to be more important than ever. During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several public figures seriously complained about fact-checking news articles that decided their political comments as “false.” Moreover, fact-checkers were sued for defamation by public figures. Such lawsuits will likely have a serious chilling effect on the pres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ress should be protected from such threat of defamation lawsuits by public figures and the court should develop legal principles for free press. Examining the current legal principles such as “possible misapprehension of truth,” this paper suggests that such principles should be more clearly defined to strengthen freedom of the press.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that “neutral report privilege” should be adopted to protect fact-checking articles that simply deliver public figure’s libelous comments against other public figure.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 언론 개념의 특성 및 한계

        박아란(Ahran Park) 한국언론법학회 2015 언론과 법 Vol.14 No.3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변화는 뉴스를 접하는 주된 창구를 변화시켰다. 인터넷은 미디어 이용자들이 뉴스를 접하는 지배적 경로가 되고 있고 이러한 변화는 이용자들의 언론에 대한 인식도 변화시켰으며 보도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양상도 바꾸어 나갔다. 테크놀로지의 빠른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 미디어 관련 법률도 바뀌고 있으나, 언론 개념의 불확실성은 법과 규제의 설득력을 약화시키고 사회적으로 소모적인 논쟁을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론 개념의 연혁을 살펴보고 언론의 자유와 관련된 논쟁을 통해 언론 개념은 새로운 미디어를 포섭하면서 발전한 개념이라는 것을 논의하였다. 또한 언론 관련법에서의 언론 개념에 대한 정의 분석을 통해 현행법은 언론의 범주를 여전히 전통적인 언론매체에 한정한 채 규제의 필요성에 따라 뉴미디어를 법 적용대상으로만 추가하여 포섭하고 있으며, 이러한 법구조는 언론 개념에 대한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판례상의 언론 개념을 살펴본 뒤 이러한 언론 개념이 포털의 알고리즘에 의한 편집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팟캐스트, 뉴스 큐레이션, 페이스북 뉴스서비스, 1인 미디어 등 최근 나타난 다양한 뉴미디어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존의 언론 개념이 뉴미디어에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열린 개념으로서 언론 개념은 발전하는 뉴미디어를 포함하면서 탄력적으로 진화할 필요가 있으며, 탈 매체중심적 시각에서 불법행위를 야기하는 콘텐츠에 법과 규제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일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New media technology has affected the audience’s news consumption. More audiences are using and accessing the Internet to get news, which influenced the media user’s concept on the press. While the laws and policys have struggled to catch up with the fast-evolving media technology, the vague concept of the press has undermined the compelling power of the law and regulation. Also it has yielded consuming social disputes relating to regulation on web portals. This research reviews the history of press concept and examines how the concept of the press has developed in order to encompass new media. Also it finds that current media laws are adopting a restricted concept of the press. Such laws and legal interpretations are likely to increase perplexity in applying current laws to new media. After reviewing the court’s rulings on web portals, this paper claims that the portal’s algorithm is similar to exercising “editorial decision” of tradtional pr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press should be defined more flexibly in the age of new media. It proposes that the law must focus on illegal contents, not on the form of media, to balance freedom of the press with other individual rights in the age of the Internet.

      • KCI등재

        서울시 강남구지역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이미지 연구

        박아람(A Ram Park),김동찬(Dong Chan Kim),임진강(Jin Kang Lim) 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5

        Recently, sales attempting of emotion between the flower shop and cafe is increasing by their strategic partnership. The combination of them, however, is at an early stage. So it’s unsystematic and also related research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Thus, the research tried to contribute to flower cafe’s vitalization by analys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 of the flower cafe.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6 flower cafe located in Gangnam-gu, Seoul. The research method is as in the following. General public group and professional group, each of them is 100 people, are the research object. They did a survey which is about their sense of the flower cafe, visual preference about display elements,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cafe and a difference of awareness between the groups.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s 18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y preferred color of all display elements and didn’t prefer POP(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Additionally, an average of ‘Modernistic-Traditional’, which is an adjective item of cafe image characteristic, is the highest while the average of ‘Graceful-Unpretentiously’ is the lowest. In the research,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visual preference about display elements is display goods, and the most influence elements in image characteristic of cafe is scale feeling. Moreover, there are the difference between a gender about preference and image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general public group has higher perception than the professional group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lower cafe makes user easily access to flower and plants, and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of display and preference of ca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