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평가법(CVM)에 의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

        김영하,박승,Kim, Yeong-Ha,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민간기금 조성측면에서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가상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이용하여, 쾌적한 도시공원 유지를 위한 거주민이 인식하는 경제적 가치를 평가했다. 그 결과, 부산시 APEC기념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해 월 가구당 지불 가능한 추정금액은 5,673원에서 8,358원으로 평가되었다. 추정금액을 공원 유치권역의 가구로 확대하여 살펴보면, 2012년 편성된 공원 관리예산의 2.2~3.3배 수준으로 분석되어, 지역 거주민들이 인식하는 쾌적한 공원 유지를 위해 지불의사금액이 편성된 관리예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주는 응답자의 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으로 분석되었으며, 연령대가 높고, 교육수준이 높은 응답자에서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거주민의 공원이용 및 인식에 따라 도시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이용 빈도가 높은 거주민이 지불의사가 높으며, 주1회 이상 공원이용자가 전체 지불의사금액보다 1.1배 높은 추정금액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공원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보다 공원을 만족하는 것이 더 높은 지불의사금액으로 이어지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공원 만족도 제고를 위한 공원시설관리 및 이용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공원에 대한 인식을 기부로 연결할 수 있는 공원문화 보급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economic value recognized by the residents for the pleasant urban park management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o APEC Memorial Park in Pusan in terms of private fund develop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city park. As a result, the estimated amount payable by each household for the management of APEC Memorial Park in Busan was between 5,673 won and 8,358 won. If such amount is expanded to households in park hosting area, it was 2.2~2.3 times of the park management budget in 2012, which demonstrates the willingness to pay (WTP) of residents for pleasant park was higher than the management budget. Social factors of respondents affecting WTP for city park management operation included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Those with high age and high education level had higher WTP. And, WTP was much affected by the use of park and recognition of residents. In particular, those with high frequency in the use of parks had higher WTP, and the users with more than once per week had 1.1 times higher WTP than overall WTP. Then, the satisfaction of park rather than recognition of necessity of park had led to higher WTP.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nage park facility management and use program operation to enhance park satisfaction an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park culture distribution policy to link such recognition to donation.

      • KCI등재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김영하,안양욱,박승,Kim, Yeong-Ha,An, Yang-Wook,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 KCI등재

        도시공원 입지특성에 따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 도심권을 대상으로 -

        김승환,이규홍,박승,Kim, Sung-Hwan,Lee, Gyu-Hong,Park, Sung-Bum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2

        부산은 해안구릉지의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공원의 입지가 이용가치가 낮은 산지 주변으로 다수의 공원이 지정되어 있으며, 지역 간의 균형적 입지 측면에서도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생활권 내 도시공원에 대한 환경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변시가지와의 상호 관계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도시공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내륙권역과 해안권역으로 구분하고, 녹지연계적 관점에서 결절부 녹지대에 해당하는 내륙권역의 표고 150~300m, 해안권역의 100~150m 내외의 산지 및 구릉지에 입지하는 도시공원을 분석한 결과, 시가지와 도시공원의 형태가 관입되거나, 지대(地帶)적 중첩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공원이 이루는 녹지대는 시가지의 형상과 도시기능에 의해 녹지연계의 방향성과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을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미조성 도시공원에 대한 이용성 증진 방안, 녹지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방안을 검토하였다. 완사면 녹지대를 이루는 도시공원은 비교적 양호한 접근성과 뚜렷한 인식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심산지에서 연계된 녹지대가 수렴되는 도시하천과 해안지대에서의 도시기능의 활력과 개방성 확보가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지대생활권에서 녹지대에 분포하는 한정적 가용지와 배후녹지로 연계되는 주요 연결로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그린웨이를 활성화하고, 주요 도로와 도시공원의 주진입부가 교차하는 지역에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을 형성하는 것이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주요방안으로 제시하였다. Seen topographically, Busan is a city that is coastal and hilly. In the city, most parks have been formed around mountain areas that are not so useful. They also are unbalanced in loc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of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manage urban parks towards green network promo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analyzed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located within the main living spheres of Busan.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ose parks and downtown areas surrounding them to classify types of the parks. In associa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entire of the city into inland and coastal regions. And the researcher examined mountainous and hilly urban parks that were 150 to 30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former region and 100 to 15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latte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bove examination found that parks of Busan feature physically penetrating and overlapping with downtown areas of the city. How well the green zones of Busan in form of urban park are inter-connective and influential to each other heavily depends on shapes and functions that the downtown areas of the city have. In this study, urban parks of Busan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then analyz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how to increase the utility of another urban parks that are expected to be formed and how to promote so-called the green network that integrates greens. Considering finding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case of forming an urban park in a gently sloped green zone which is easily accessible and noticeable, it's important that the park should include a stream to which another green zone is converged or, if the park is located near a costal area, contribute to promote urban functions and openness. While, in a high-altitude green zone, it's more effective to form so-called the green way that consists of some limited usable site of the zone and greens behind it and then form a hub of regional communit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main road and main gate to the urban park, contributing to the green network promotion.

      • KCI우수등재

        공원 이용 실태 조사를 위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성 연구 - 부산시 도시공원을 사례로 -

        박근현,박승,Park, Keunhyun,Park, S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공원 이용행태는 주로 이용자 설문이나 행태 관찰을 통해 조사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방식들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응답자나 조사자의 주관에 취약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로 인해 개별 도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공원 이용 실태 조사기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조사를 위한 무인비행장치의 활용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체계적 관찰 기법인 여가활동 관찰 기법(SOPARC)과 비교하여 본 기법의 유용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관찰결과는 SOPARC의 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기법 모두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나타냈다.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방법은 기존 관찰기법들에 비해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고, 정밀한 이용자 수 조사 및 공간 시설 이용패턴 파악에 적합한 장점을 가진 반면, 자세한 이용자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날씨 등 조사 여건의 제약이 많다는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두 기법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원 이용 조사 시 유의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wo primary tools to study park use are surveys and direct observation. Existing methods, however, are limited in terms of considerable costs in both time and money and the personal bias of respondents or observers. These limitations result in a lack of efficient, reliable, and affordable tools to investigate park use. This study explores the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to explore park use in urban parks in Busan metropolitan city. By comparing with a systematic observation tool, SOPARC(System for Observing Play and Recreation in Communities), this study finds that the number of park users observed by two different techniques are highly correlated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oth methods show a high level of test-retest reliability. Comparing to existing methods, the UAV-using observation tool could cover larger target areas and is suitable to count park users in a more reliable and efficient way and map their use patterns, although it is weak in collecting detailed user information and surveying under poor conditions such as rain. Thus, the UAV method could complement direct observati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of a UAV method to study park use.

      • KCI등재후보

        미국헌법상 동성애자의 권리 : Romer 사건과 Lawrence 사건 검토를 중심으로

        박승호(Park,Seung Ho) 미국헌법학회 2011 美國憲法硏究 Vol.22 No.2

        동성애자는 오랜 세월 혐오의 대상이었고 많은 차별의 대상이었다. 미국에서 동성애자가 어둠 속에서 나와 자신의 권리를 사회적으로 문제삼고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들어 와서이다. 1960년대에는 동성애를 직접 쟁점으로 삼지 않고, 프라이버시나 음란성 여부 등의 간접적인 문제에 대해 논쟁이 이루어졌으며, 1970년대에는 동성애자의 정체성 문제처럼 직접적인 문제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1980년대에는 합의에 의한 변태성행위(sodomy)가 허용되는지, 동성애자의 군입대가 허용되는지 등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가 거론되었다. 1990년대에는 동성애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클린턴 행정부가 집권하면서 동성애가 본격적으로 정치쟁점이 되었다. 2000년대에는 미연방대법원이 동성애자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고, 급기야 2003년에는 Lawrence 사건에서 동성간 변태성행위를 처벌하는 것은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 조항에 위반되어 위헌이라고 판시하였다. Bowers 사건(1986)은 프라이버시권을 결혼, 가족, 출산 등의 특정한 생활영역 안에서의 사적인 선택이나 행동을 보호하는 것으로 규정하여, 동성애자가 변태성행위를 할 권리는 프라이버시권과 무관하며 헌법이 보호하는 ‘기본적 권리’가 아니라고 함으로써 동성애자들을 좌절시켰다. Romer 사건(1996)은 성적지향을 이유로 차별당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시조례들을 무효화하는 Colorado 주헌법 수정2조가 미연방헌법의 평등보호 조항에 위반된다고 판시한 사건인데, 동성애자의 평등권을 확인한 사건이다. Lawrence 사건(2003)은 동성간 변태성행위를 처벌하는 Texas주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의 성행위를 규제하려는 정부의 시도에 대해 다수의견의 태도가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성간 변태성행위를 처벌하는 법을 합헌이라고 판시한 Bowers 사건을 번복하면서, 동성간에 은밀한 성행위를 하는 것은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 조항이 보장하는 자유의 행사라고 하였다. 미국에서 동성애자의 헌법상 권리에 관하여는 그동안 많은 진전이 있어 왔다. 혐오의 대상이었으며 AIDS 전파의 주범으로 인식되었고 차별의 대상이었던 동성애자는 오늘날 (물론 일부 주이기는 하지만)혼인까지도 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확보하였다. 아직 많은 법적 문제들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지금보다 진전된 상황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States have attempted to criminalize homosexuality by passing laws that prohibit “crimes against nature,” “buggery,” “deviancy,” and sodomy. States sometimes borrowed from English common law to define the offense as “the abominable and detestable crime against nature, either with mankind or with beast.” Frequently these laws were challenged as vague, unenforceable, and an invasion of privacy. It was often unclear whether the laws applied only to homosexuals or to married couples as well. Laws that discriminate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receive rational basis review - the plaintiff must show that there is no legitimate reason for the law, or that the means are not rationally related to the asserted government interest. By the way the Supreme Court has not yet ruled as to whether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warrants the application of intermediate or strict scrutiny.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has many characteristics that are present in other areas where heightened scrutiny is used. There is a long history of discrimination against gays, lesbians, and bisexuals. Laws discriminating on this basis generally reflect prejudices and stereotypes, rather than any actual differences. Also,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sexual orientation is immutable and not a matter of individual choice. In Bowers v. Hardwick, 478 U.S. 186(1986), the Supreme Court narrowly sustained - by a 5-4 vote - the constitutionality of a Georgia statute that criminalized sodomy. A majority of Justices held that the Due Process Clause of the U.S. Constitution amendment XIV did not confer any fundamental right on homosexuals to engage in acts of consensual sodomy, even if the conduct occurred in the privacy of their own home. In Romer v. Evans, 517 U.S. 620(1996), the Supreme Court used the rational basis test to invalidate a Colorado initiative that encouraged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Colorado’s Amendment 2 repealed all state and local laws that prohibited discrimination against gays, lesbians, and bisexuals. The popularly approved initiative also prevented future laws to protect these individuals. The Supreme Court found that Amendment 2 impermissibly discriminated based on sexual orientation. In Lawrence v. Texas, 539 U.S. 558(2003),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 state cannot prohibit private, consensual homosexual activity. Overruling its earlier decision in Bowers v. Hardwick, the Court held that the right to privacy protects the right of consenting adults to engage in same-sex sexual activity in their bedrooms. However, Justice Kennedy’s majority opinion focused on privacy and due process, not equal protection. Moreover, Justice Kennedy’s opinion did not state the level of scrutiny being used and thus it is unclear, even under the right to privacy, whether rationale basis review or heightened scrutiny is to be applied to laws that prevent private, consensual same-sex sexual activity.

      • KCI등재후보

        혼외자차별에 관한 미연방대법원 판례

        박승호 ( Seung Ho Park ) 안암법학회 2008 안암 법학 Vol.0 No.27

        An illegitimate child is one whose parents were not lawfully marri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his birth. Many states have statutes which disadvantage illegitimate children. The discrimination may take the form of ineligibility to take by intestate succession, inability to sue for the parent`s wrongful death, disentitlement to claim a presumption of dependency(relevant for receipt of certain government benefits, such as social security survivor`s benefits), etc. The court`s course in reviewing state classifications based on illegitimacy-classifications disadvantaging nonmarital children-has been a wavering one. What is clear is that, although the court has never labeled illegitimacy a "suspect" classification, it has in fact exercised a degree of heightened scrutiny in most of the cases and has struck down illegitimacy classifications with some frequency. Only in the late 1980s, in Clark v. Jeter, did the court explicitly endorse an intermediate scrutiny standard. The Supreme Court consistently has invalidated laws that deny a benefit to all nonmarital children that is accorded to all marital children. In the cases of "Levy", "Glona", "Cahill", and "Trimble", the laws in question allowed all marital children to receive a benefit that was denied to all nonmarital children. In each instance, the Supreme Court found that the discrimination violated equal protection. No similar bright-line rule exists when the law provides a benefit to some nonmarital children that it denies to other nonmarital children. In other words, rather than discriminating between marital and nonmarital children, these laws distinguish among nonmarital children. Such statutes are subjected to intermediate scrutiny and evaluated on a case-by-case basis with the court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mportant interest served and whether the law is substantially related to that goal. In response to Supreme Court decisions invalidating laws denying benefits to all nonmarital children, some states adopted relatively short statutes of limitations for establishing paternity. The Supreme Court has been consistently hostile to these limitation periods. So long as the father and child remain alive, paternity can be established at any point in time.

      • KCI등재

        소비자의 브랜드 애착 후 압박 수용 행동에 대한 연구

        박승배(Seungbae Park),홍재원(Jaewon H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브랜드에 애착한 소비자들의 압박수용행동에 관한 연구이다. 상황에 대한 기존 연구는 희소성(scarcity)을 중심으로 시간압박(time pressure)이나 희소성 압박(scarcity pressure)에 포커스를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에 애착한 소비자들은 시간압박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애착하고 있는 브랜드는 시간 압박으로 인해 충동적으로 구매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브랜드에 애착한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사회적 압박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에 애착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준거집단과 같은 사회적인 압박이 있다고 구매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브랜드에 애착한 소비자들은 희소성 압박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량한정 마케팅 전략은 대체적으로 마케팅 효과가 높지만 특히 브랜드 애착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넷째, 가설 4에서 제시한 바와는 달리 브랜드에 애착한 소비자들은 장소 압박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essure acceptance behavior of consumers attached to brand. Existing studies on the situation have focused on time pressure or scarcity pressure based on scar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who are attached to the brand are relatively insensitive to time pressure. This indicates that the brands to which consumers are attached do not purchase impulsively due to time pressure. Second, consumers who are attached to the brand are relatively insensitive to social pressure.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who are attached to the brand do not purchase the same social pressure as the reference group. Third, consumers who are attached to the brand are relatively sensitive to scarcity pressure. Therefore, the quantity - limited strategy is generally effective for marketing, but it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with high brand attachment. Fourth, unlike the hypothesis 4, consumers who are attached to the brand are relatively insensitive to the stress of the place.

      • KCI등재

        겨드랑동맥의 분지의 형태에 따른 어깨밑동맥의 변이

        박승범(Seung-Beom Park),이재호(Jae-Ho Lee),최인장(In-Jang Choi),최우익(Woo-Ik Choi),진상찬(Sang-Chan J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0 No.3

        이 논문에서는 겨드랑동맥의 분지 양상의 여러 가지 변이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겨드랑동맥은 작은가슴근에 의해 세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작은가슴근을 기준으로 몸쪽 부위가 첫째 부분, 작은가슴근과 겹치는 부위가 둘째 부분, 작은가슴근보다 먼쪽 부위가 셋째 부분이 된다. 그 중 겨드랑동맥의 셋째 부분에서 어깨밑동맥, 앞위팔휘돌이동맥과 뒤위팔휘돌이동맥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동맥들의 변이는 매우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128쪽의 팔에서 어깨밑동맥의 분지 양상에 대해 연구했다.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37.5% (48/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로 관찰되었다. 한편, 어깨밑동맥이 뒤위팔휘돌이동맥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25.8% (33/128) 관찰되었는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21.1% (27/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가쪽가슴동맥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는 12.5% (16/128) 관찰되었고, 이 경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4.7% (6/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7.8% (10/128)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뒤위팔휘돌이동맥과 가쪽가슴동맥 모두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19.5% (25/128) 관찰되었는데 셋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12.5% (16/128), 둘째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7.0% (10/128)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어깨밑동맥과 함께 분지하는 동맥에 따라서 일어나는 부위가 의미 있게 다르게 나타났다 (p=0.025). 이 결과는 해부학뿐만 아니라 임상의사들에게도 어깨밑동맥의 분지 양상의 변이에 대한 경향을 제시해 줄 것이며, 그로 인해 각종 혈관 시술 및 외상환자 진단 및 치료 시 정확하고 빠른 대처를 가능하게 하고 또 불필요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xillary artery (AA) is often referred to as having three parts, with these divisions based on its location relative to the pectoralis minor muscle. In third part, AA gives off the subscapular (SSA), anterior circumflex humeral, and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ies (PCHA). However, variations in these arteries were extremely diverse. So, we observed actually some branching patterns of these arteries in this study. Method: We studied the pattern of SSA in 128 upper limbs from donated cadavers. Result: SSA was originated directly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37.5% (48/128) and 4.7% (6/128), respectively. A PCHA made a common trunk with SSA in 25.8% (33/128), and these trunks arose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21.1% (27/128) and 4.7% (6/128), respectively. A lateral thoracic artery (LTA) arose from SSA in 12.5% (16/128), and these were originated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4.7% (6/128) and 7.8% (10/128), respectively. In 19.5% (25/128) of upper limbs, LTA, SSA, and PCHA have a common trunk, and these arose from the third and second parts of AA in 12.5% (16/128) and 7.0% (9/12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SSA, its orig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