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컷팅 기구별 모발 손상에 대한 연구

        박숙경(Park Suk-Kyu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0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4 No.2

          모발에 가위, 클리퍼에 의한 커트 시 나타나는 형태학적인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1. 가위 커트의 경우 모발의 손상도가 높을수록 동인과 정인의 교차점이 절단된 모발 단면상에서 정인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간충물질이 불규칙하고 모표피층이 뜯기는 상태를 보였다.<BR>  2. 클리퍼 커트의 경우 날의 회전력에 의하여 간충물질이 밀리면서 들떠 있는 상태를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거칠고 굴곡이 심한 절모 현상이 나타났다.<BR>  3. 모발 손상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손상된 모발에 있어서는 가위 커트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클리퍼 커트는 건강모발과 손상모발 모두 손상정도가 심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cut hair by scissors, and clipper through observation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re as follows.<BR>  1. In case of scissors cutting, the more hair is damaged, the more point of intersection of moving and still blades is pushed out to the still blade on the section of cut hair, and it also shows the irregularity of matrix and pluck of scale of hair cuticle.<BR>  2. In case of clipper cutting, the section of cut hair shows that matrix is pushed out and comes off the cortex due to turning force of blades. Moreover, it shows rough and severe indented condition.<BR>  3. From damage prevention point of view, it shows that the scissors cutting is the most effective tool in damaged hair case, In the mean time, it shows that the clipper cutting cause severe damage to all the virgin and damaged hair.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숙경(Suk-Kyung Park),유명숙(Myeong-Suk Ryo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우울, 불안, 충동성의 청소년의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과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들과 자아탄력성, 스마트폰 중독의 통합적 모형이 타당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재학 중인 청소년 356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은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을 살펴봄과 함께 자아탄력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teenager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and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is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 integrated model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elasticity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is reasonable, and to suggest ways to prevent and solve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56 teenag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martphone addiction factors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 of adolescents have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smartphone addiction factors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 of teenagers have been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Third, the youths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xamined personal psychological risk factors that affect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ed measures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and solve related problems by micro-analyzing the effects on smartphone addiction by utilizing self-elasticity.

      • KCI등재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현황과 과제

        박숙경 ( Sok Kyung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장애인에 대한 동정심과 이타주의 현장으로 꼽히는 장애인거주시설은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고통의 기록이자 욕구와 희망이 무시되는 절망의 현장이기도 하다. 2013년 현재 1,397개 장애인거주시설에 31,15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지적장애인이 19,330명으로 약 6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체 지적장애인의 약 12.6%에 해당한다. 전체 지적장애인의 12.6%가 자신의 집이 아닌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지적장애학계의 관심은 저조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장애인복지 현장에서는 탈시설에 대한 운동적 요구와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초기 신체장애인 중심의 탈시설 논의가 발달장애인 중심으로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현황을 살펴보고 탈시설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탈시설 개념을 둘러싼 논의, 탈시설 저해요인과 극복과제, 탈시설 추진원칙을 검토한 후, 한국의 탈시설 전개과정과 현황을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탈시설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institutions deemed as the scene of sympathy and altruism are also the record of pain for the people living there and also the scene where the people``s desires and hopes are ignored. This paper is to explore current trends and tasks surrounding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In specific, this paper looked into the concepts of deinstitutionalization, the policy & principles for deinstitutionalization, the Barriers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then analysed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bout institutional protec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Based on this, suggest policy principles and tasks for deinstitutionalization. 1. building the national roadmap for deinstitutionalization 2. the national supports for the transition system toward deinstitutionalization 3. stopping to build new institutions and banning unnecessary entrance into institutions 4. implementing pilot projects to dissolve large scale institutions and relocating employees 5. protecting the institutions at the beginning period toward deinstitutionalization, preparing for the coexistence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residential care, and providing an inducement for voluntarily resolving institutions 6. ensuring that the person concerned participates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policy making toward deinstitutionalization and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centers 7. Transforming the budget support system into the demander side 8. supporting and promoting research on the effects and costs of de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박숙경(Park Suk Kyung)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현장의 논쟁적 이슈의 하나인 ‘탈시설과 관련하여 그룹홈의 정체성을 어떻게 볼 것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핵심적인연구질문은 종사자들이 그룹홈을 시설 또는 탈시설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시설과 탈시설적 특성은 각각 무엇이고, 시설과 탈시설 사이의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그룹홈 종사자 58인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인은 시설, 23인은 탈시설로 보고 있었다. 시설로 보는 이유는 15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한계, 기관의 운영방식, 관련주체들의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탈시설로 보는 이유는 8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강점, 서비스 방식, 종사자의 탈시설과 그룹홈의 관련성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두 개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설적 특성은 ‘훈련과보호중심의 운영목적, 1:4의 열악한 지원체계, 공동생활과 종사자 동거로 인한 자율성과 주도성 침해, 입주선택권 비(非)보장에 따른 장기입주, 대규모시설과 동일한 행정관리와 평가체계 및 예산지급방식, 이용자와 관련자들이 집으로 인식하지 않음’ 이상 6개로 압축되었다. 탈시설적 특성은 ‘가정과 같은 환경, 지역사회에서의 삶, 이용자가 일반수급자임’ 이상 3가지로 압축되었 다. 시설과 탈시설 사이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은 ‘행정관리체계의 비일관성, 운영기관의 철학과 운영방식, 인식주체의 탈시설 개념’ 3가지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s been executed to explore the issue of ‘how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group home in relation with the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causing controversy at welfare field of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main questions of the research have been ‘What is the reason that worker regard group home as deinstitutionalization?’,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respectively?’ and ‘What a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cause group hom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To find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 analysed 58 group home workers’ answers by the open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35 workers regarded them as institution, 23 workers regarde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There found to be 15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institu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innate limit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2. operational way of the group home 3. people’ conception on deinstitutionalisation. There found to be 8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the system’s merit itself, 2. different way of service, 3. workers’ understandings of group homes’ relation with deinstitutionalization. By comparison of two analysi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has been focused into: ‘1. training/protection oriented operation. 2. 1:4의 lousy support system, 3. infringement of self-regulation and initiative by communal life and living together with worker, 4. long-term living because of no choice, 5. the same management and estimation system and budget supply, 6. the fact that the users and related people don’t regard it as ho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has been focused into: ‘1. homely environment, 2. living in the community, 3. the users are general beneficinary. The characteristics that caused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was 1. inconsistency in administry manegement system 2. philosophy and the way the operating agency is run, 3. persons’ understandings of de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서비스지향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객지향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박숙경 ( Sookkyo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서비스지향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고객지향성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J도와 G도의 5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69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과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지향성은 조직몰입(r=.48, p <.001), 고객지향성(r=.65, p <.001), 직무만족(r=.64, p <.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서비스지향성과 직무만족과 관계에서 고객지향성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기관의 서비스 지향적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고, 보다 다양해진 의료서비스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9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J and G province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6.0 and Process Macro 3.5 program.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Service orien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r=.48, p <.001), customer orientation (r=.65, p <.001), and job satisfaction (r=.64, p <.001).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lay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to meet the needs of more diversified medical service recipi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지능의 매개효과

        박숙경 ( Sookkyo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지능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 6개 대학교에서 간호학을 전공하는 간호대학생 205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과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사회지능(r=.48, p<.001), 의사소통 능력(r=.39,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r=-.31,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사회지능(r=-.34, p<.001), 의사소통 능력(r=-.37,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지능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지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제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ouble-mediated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205 nursing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6.0 and Process Macro 3.5 program.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intelligence (r=.48, p<.001), communication skills (r=.39, p<.001),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r=-.31, p<.001).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intelligence (r=-.34, p<.001) and communication skills (r=-.37,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verifi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intelligence are necessary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minimiz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 KCI등재

        한-몽 교류과정에서의 시설보호 확산 징후

        박숙경(Park, Sook-Ky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6

        한국의 시설보호정책은 일제식민지, 미국과 소련의 분할통치에 따른 분단과 내전,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서구로부터 이식ㆍ확산된 것이다. 한국은 시설화의 폐해를 경험하며 탈시설화 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해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상황은 신흥 개발도상국가들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최근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겪고 있는 몽골 역시 선진자본주의국가와의 교류과정을 통해 시설보호정책이 이식ㆍ확산되어 시설화의 폐해를 경험할 위험성이 높다. 복지제도 구축과 확산이 이뤄지는 시기에 몽골이 어떠한 철학과 이념에 근거하여 복지제도를 구축해 갈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문헌연구와 관련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몽골의 장애인 및 시설보호 현황, 한-몽 교류과정에서 시설보호모델 이식 및 확산 징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몽 교류 과정을 통해 대규모 시설보호 모델이 몽골에 이식ㆍ확산되는 징후가 포착되었다. 일단 시설보호정책이 선호되어 대규모 시설이 설치되면 시설은 자기영속성을 갖고 중식하며 복잡한 이해관계가 구축되어 탈시설화 정책으로 전환되기가 매우 어렵다. 한국과 신흥개발도상국가들과의 교류과정에서 시설보호정책의 이식과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복지계의 논의와 제도적 대안 마련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Korea’s institutions have been transplanted from the West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divide and rule of the Unite States and the former Soviet Union followed by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civil war, and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Korea is now in the throes of change toward deinstitutionalization after experiencing the harmful effects of institutionalization. This Korean experience is highly likely to happen in the developing countries similar way. As Mongolia is under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the country is at high risk for experiencing the harmful effects of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exchange with and aid from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It is very important what kind of philosophy and ideology Mongolia embraces as the basis for building its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country builds and diffuses its welfare system. I explored in this paper wha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is and how the symptom of institutionalization occurs at the process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To achieve this, I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t home and abroad and interviews of expe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dition of Mongolia’s welfare for the disabled is similar to that of Korea’s in the beginning and that a tendency toward adopting Korea’s institution-centered model proceeds in Mongolia without policy considerations for deinstitutionalization. I hope that Mongolia does not follow the same route of institutionalization as Korea and that Mongolia develops a far-sighted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by mingling the value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with Mongolian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 이후 삶의 변화

        박숙경(Park, Sok-Kyung),James. W. Conroy,전근배(Jeon, Geun-Bae),김윤태(Kim, Youn-Tae) 한독심리운동학회 2021 심리운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인권침해로 인해서 시설이 폐쇄된 대구의 희망원에서 지역사회로 이주한 중중‧중복 발달장애인 9인의 삶과 행동이 탈시설 이후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추적한 연구다. 이를 위해 탈시설 이후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과 행동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미국의 성과연구소(COA)에서 개발된 PLQ(Personal Life Quality Protocol)을 사용하여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이주한지 6개월이 경과된 시점의 삶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당사자 또는 당사자의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지원자를 대상으로 시설퇴소직후와 조사시점을 비교하여 각 항목에 대한 최근 한달간의 평균 수치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분석은 SPSS 18을 활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통합, 생산성, 자기결정, 삶의 질, 행동의 개선이 크게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n evaluation of a supportive community living demonstration project. Nine persons with significant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ved from the Korean institution Hope Village, where major human rights violations had been documented. They moved into one or two person apartments with full 24 hour supports in Daegu City. Research using PLQ(Personal Life Quality Protocol). PLQ is protocol for measuring developmental disabled person s quality of life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every measured dimension of life and service quality: Behavior, Perceived Quality of Life, Inclusive Activities, Choice Making and Autonomy in Daily Life, Productivity and Meaningful Day Activities and Close Relationships.

      • KCI등재

        인천 지역 초등학생의 결식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박숙경(Sook-Kyoung Park),김명희(Myung-Hee Kim),최미경(Mi-Kyeong Choi)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0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children's skipping meals after researching eating habits and lifestyle, parents' appreciation in nutrition behavior and dietary intake, throughout the research based on 4th to 6th grade students, total of 362 children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oen. There were 104 students in skipping meals group and 258 students in eating meals group, with the average ages of 10.9, and 10.8, respectively.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4.5 ㎝, 38.6 ㎏ for skipping meals group, and 145.7 ㎝, 39.3 ㎏ for eating meals group. Parents' appreciation of importance in breakfa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ether children skip the meals or not (p<0.01). 43.7% of parents in skipping meals group answered that they serve breakfast everyday, compared to eating meals group with the percentage of 94.9%,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serving breakfast for their children (p<0.001). The skipping meals group answered that the reason they do not have breakfast is because they do not have time, whic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41.2%. For the eating meals group, 40.5%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have appetite, which also showed difference (p<0.001). The skipping meals group tended to wake up later than those who have breakfast in the morning(p<0.01). The breakfast time for skipping meals group was later than the eating meals group, and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breakfast of not, it showed a difference as well(p<0.01). Total score of nutrition attitude in skipping meals group and eating meals group were 30.8 and 32.1, showing that eating meals group showed more good in nutrition attitude (p<0.05). Daily intakes of energy (p<0.01) and protein (p<0.01) in skipping meal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eating meals group. Skipping meals group had lower rates in INQs of protein (p<0.01) and zinc (p<0.01), showing that skipping meals group is having low quality meals in nutr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with skipping meals are more likely to have meals that lacks nutrition or have low quality meals, and the time of rising hour in the morning, frequency of eating snacks can also affect whether or not they skip meals.

      • KCI등재

        지적장애 이용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천가의 인식유형

        박숙경(Park Sook-Kyung),김용득(Kim Yong-Deu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1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지적장애 이용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천가들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헌신적 옹호 지향형 등의 세 가지 인식유형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인식유형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 생활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실천가 30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253개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피상적 평등 지향형 48.2%, 성찰적 실천가 우위 인정형 40.5%, 헌신적 옹호 지향형 11.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양자관계에 대한 실천가의 주관적 인식내용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고, 현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해석을 통해 양자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 모색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 types of service practitioners working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users who use residential and domiciliary c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two research methods: Q-methodology and survey.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types of practitioners'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users. The first is the type of superficial orientation for equal relationship. The second is the type of reflective recognition on the driven relationships by practitioners. The third is that of compassionate at the advocacy for service users. In the result of survey in which respondents are practitioners working in residential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community service centers, 48.2% of respondents show the first type, 40.5% the second, 11.1% the third. Recently, in the area of personal social servic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importance of service users'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service provision is gaining higher concerns. In this context, making change on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workers and users is raised as important issue. In this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develop equal and supporting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