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체주의 패션에 나타난 데페이즈망 특성 연구 - 2013s/s ~ 2015s/s 컬렉션를 중심으로 -

        박소윤 ( Park So Yun ),김현주 ( Kim Hyun Joo ),한정민 ( Han Jung M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본 연구는 현대 해체주의 패션의 데페이즈망 특성 분석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과 데페이즈망 표현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해체주의 패션에 내재된 예술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해체주의 패션 디자이너의 최근 3년간 파리 컬렉션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현대 해체주의 패션의 데페이즈망 특성 분석 결과, 첫째, 사물의 형태왜곡은 신체부위를 과장하거나 옷의 형태를 파괴하는 표현 특성이 있었으며, 현대 해체주의 패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질적 사물의 결합에서는 옷에 사용되지 않는 소재들을 사용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특성이 나타났으며, 현대 해체주의 패션에서 가장 빈도가 낮았다. 셋째, 사물의 전위는 옷의 구성요소가 전위되어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표현특성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사물의 부재는 신체의 한 부분을 가리거나 의복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적 특성이 강한 해체주의 패션을 선행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데페이즈망의 시각으로 고찰하여 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폭넓은 유용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tyle of depaysment and deconstructive fashion through observing modern deconstructive fashion`s depaysment feature, and to examine the artistic meaning contained in deconstructive fashion. This study is held according to the designers latest three year Paris collection. First of all, from analyzing modern deconstructive fashion`s depaysment feature it was known that the distortion of objects shape had the characteristic of exaggerating a certain part of the body or destroying the shape of clothes. Second,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object was done by using materials that are not common for clothes and made the observers feel a sense of difference. Third, the object`s avant-garde was from composition of clothes, which made it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inability to restore its primary role. Lastly, the object`s absence had the characteristic of occluding a part of a body or removing composition of clothes. This research revealed the extensive utility of deconstructive fashion to propose art-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and, from thes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rs of deconstructive fashion.

      • 소비자의 귀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지각 및 소비자 반응의 관계

        박소윤(Park, So-yun),구동모(Koo, Dong-Mo) 한국유통학회 2012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소비자들은 제품의 구매결정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은 물론 가격, 기업의 명성, 브랜드 가치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는 특히 제품 차별성의 감소로 인해 기업에 대한 지각에 의존해 브랜드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이 기업의 활동 및 전략에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소비자는 제품을 만든 기업을 신뢰할 수 있는지, 브랜드 이미지는 호의적인지 등 제품 이면의 무형적 가치를 고려한다.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활동이 소비자들이 고려하는 기업의 중요한 무형적 가치로 강조되고 있다. CSR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주로 활동 동기의 지속성과 순수성에 국한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실제로 CSR활동의 동기에 대해 좀 더 다양하게 인식할 것으로 간주하여 CSR활동 동기에 대한 귀인을 가치지향적, 전략적, 이해관계자 지 향적, 자기본위적 귀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귀인이 소비자들의 CSR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CSR활동의 지각은 충성도, 구전의도와 같은 소비자 반응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CSR활동을 지각하는데 귀인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CSR활동의 지각과 심리적, 행동적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에 연구결과는 CSR추진과 관련한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귀인, 지각 그리고 반응

        박소윤(So Yun Park),구동모(Dong Mo Koo),강보현(Bo Hyeon Kang) 한국경영학회 2012 經營學硏究 Vol.41 No.2

        Most of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and focus on different facets of CSR activities (e.g., ethical management, environmental campaign, human employee, and social welfare) with the pursuit of profit,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urposes of corporate management. So far, CSR activities are perceived to improve corporate imag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loyalty in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CSR activities. However, in some of recent studies, the effect of CSR was not positive. It is because consumers actually do not recognize CSR activities well. In addition, in the prior research, it have been identified various antecedents of CSR, such as fit, attribution of motivation, and consistency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lthough the type of consumers` attribution can be more complex than traditional view, the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by experimental method that polarized the motivation of CSR activities (e.g., profit-oriented vs. social issue-oriented or other-oriented vs self-oriented). As a result, the findings related to consumers` attribution for CSR activities are limited to understand. This study examines consumers` attributions of CSR activities as antecedent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nd corporate identification, corporate reputation, trust, loyalty and word-of-mouth intention as consequences of perceived CSR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th survey data of 200 customers shows that consumers respond positively to CSR activities when they recognize values driven motivation, not to CSR activities when they recognize strategic, stakeholder driven, or egoistic motivation. In other words, consumers recognize CSR activities are companies` values driven motivation. Also, the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orporate reputation, trust, customer loyalty, and wordof- mouth intention, except for corporate identification. CSR is a type of corporate associations related to corporate ability association. CSR has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attitude and response to corporation.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uide and help managers understand the attributions of CSR activities and plan the effective and efficient business strategies.

      • 고지방 식이로 유발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제조법을 달리한 보이차 추출물이 지질대사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 ( So Yun Park ),서부일 ( Bu-il Seo ) 한약응용학회 2019 한약응용학회지 Vol.19 No.1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an antioxidative activities effects of raw ethanol extracts and fermented ethanol extracts of pu-erh tea (Camellia sinensis L.). Methods : The 6 kinds of raw pu-erh tea and 6 kinds of fermented pu-erh tea was prepared 24 hours by stirrer extraction with 30% ethanol.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through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lso, examined total poly 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The most outstanding pu-erh tea was used to measure pancreatic lipase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 induced mice model. Results : The antioxidant effects of raw pu-erh tea and fermented pu-erh tea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6 kinds of raw pu-erh tea was 23.41±0.06 ㎎/g (imuyasaeng), 25.41±0.04 (imugwalpungchae), 31.99±0.10 (musangmyomi), 34.54±0.29 (gojingamlae), 33.28±0.30 (gosan-yeong-a), 30.75±0.06 (baosan). and 6 kinds of fermented pu-erh tea was 10.07±0.08 ㎎/g (polangsan), 7.77±0.04 (imugyomog), 10.35±0.04 (banjang-eunho), 7.98±0.06 (namnasan), 10.77±0.05 (gungjeongboi), 10.89±0.04 (donghai3geub).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raw pu-erh tea was higher than fermented pu-erh tea. Conclusion : pu-erh tea extracts has a excellent effect on antioxidant in in vitro, and raw pu-erh tea extract have a better effect on high-fat diet induced mice through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 KCI등재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박소윤 ( So Yun Park ),현은자 ( Eun Ja H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국내 창작 그림책에서 시기별 아버지 등장인물의 변화를 분석해보고 현대 그림책에서 아버지가 어떻게 묘사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도서 판매 상위 6개 서점의 베스트셀러와 권장도서 목록, 서울시와 부산시에 위치한 어린이 도서관의 개관이후 대출 순위 목록과 수상작을 중심으로 아버지가 등장하는 국내 창작 그림책 총 140권을 선정하여 아버지의 등장배경, 함께 등장하는 인물, 감정표현, 부모 행동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국내 그림책의 아버지는 집안에서 존재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1-2004년부터 딸과 함께 등장하는 비율과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아버지 행동유형은 20년간 지속적으로 일상생활 활동, 놀이접촉, 전반적인 터치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큰 변동은 없었다. 그러나 2001-2004년에 방관과 같은 감추고 싶은 아버지의 모습을 그리는 시도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국내 그림책에서 아버지 등장인물의 변화는 2001-2004년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ther character models exposed to children and change in father characters through analysis of fathers portrayed in domestic children’s picture books, The following question was examined: How have father characters in Korean children``s picture books change over time?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best-selling lists, recommendations from the top six Korean bookstore, lending book ranking lists at children libraries in Seoul and Busan, and award-winning books in Korea. Thus, a total 140 books were selected. The tool was based on checklist of father role in children’s picture books modified from Adams et al.(2011), Anderson and Hamilton(2005) as well as. The books were analyzed with the checklist from June 29, 2015 to August 17, 2015. The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the checklist items calculated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domestic children’s picture books, appearance of father at home increased gradually, and the father``s appearance with daughter increased rapidly in 2001-2004. From 1995-2000,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the major theme. However, from 2001-2004,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increased much more, change seems like an attempt to break away father. Daily life activity, playful contact and overall touching were predominant actions of paternal characters present in the piacture books, and there was no change over the period. However, from 2001-2004, other actions of parental characters such as remaining a spectator appeared more frequently, and the appearance of father who wants to hide increased. Overall, changing in the character was seen from 2001-2004.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인식 및 요구도 분석

        박소윤(So-Yun Park),서현아(Hyun-Ah Se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김해 지역에 소재한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에서 모의수업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예비유아교사의 현재 수준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의수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모의수업은 교원양성교육에서 필요하며 수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모의수업 횟수를 늘리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교수자의 모의수업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경력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 수업지식과 기술이 있는 교수자에게 모의수업 준비단계와 평가단계의 최소 2회의 피드백을 받길 원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원리 및 방법과 유아와 효과적 상호작용 및 발문에 대해 지도받고자 하였다. 피드백은 학급 구성원 모두와 교수자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수자 피드백 이외에는 영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모의수업 경험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for 350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4 years university located in Busan, Ulsan, and Gimhae. And through this, the purposes of study are to provide basic data based on the current level of pre-school teachers for instructors lead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seek effective management plans for simulated instruction to improve teach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simulated instructions were necessary in teacher training course and helped to improve teaching ability, but they did not actively agree to expand simulated instructions and we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 methods of instructors in demonst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They wanted to receive feedback from instructors who have practical teaching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field experience at least two times during preparation stage and evaluation stage of the simulated instructions. And they wanted to be guided specifically on principles and methods of preparing educational plans, effective interactions and questions with young children. They wanted the feedback, the most preferred form of feedback is form of participations by all class members and instructors. In addition to instructors feedback, they required experience of simulated instruction in which infants and toddlers participate together.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의 미디어 활용 게임 이용 실태와 과몰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박소윤(Park So-yun),김은정(Kim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미디어 게임 이용 실태 및 과몰입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울산지역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 부모 345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자녀의 기관유형과 연령에 따라 부모의 미디어게임 과몰입 인식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또는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자녀가 즐겨하는 미디어 게임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33.3%(115명)로 나타났고, 영유아들은 주로 교육 및 학습을 위해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한 게임을 주로 하며, 24개월-47개월 사이에 처음 미디어 활용 게임을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 1-2회, 하루 평균 30분-1시간 이내, 게임이 끝날 때까지 집중하며 미디어 활용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게임을 하는 동안 부모는 옆에 같이 있어주거나 다른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들은 자녀들이 게임을 하는 이유를 단순 재미와 부모 모방, 놀이친구 부재의 순으로 인식하였으며, 응답부모의 75%가 대체로 미디어 활용 게임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미디어 활용 게임 이후 자녀의 변화에 대해서는 놀이가 다양해지는 긍정적인 변화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게임을 요구하는 부정적인 변화를 함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인식한 영유아기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대한 인식은 평균 1.40(SD=.62)로 대체로 낮게 나타났고, 자녀의 기관유형, 자녀의 연령에 따라 부모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wareness of obsession with multimedia games for par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For this purpose, 345 parents of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Busan, Gyeongnam, and Ulsan area were survey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7. The data obtained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33.3% (115 peopl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enjoyed media games, and infants and toddlers mainly used games using smartphone apps for education and learning, And 24-47 months, respectively. It is also shown that the game is focused on media use until the game ends, 1-2 times a week, 30 minutes -1 hour a day on average. Parents perceived that children play games in the order of simple fun, parental imitation, and absence of play friends, while 75% Were generally negative about media-based games. As for the changes of children after the media utilization game,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change that the play becomes diverse and the negative change which requires the game more with time. In addition, perceived parental perceptions of infant and toddler s game and commitment were generally low,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 percep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child s age.

      • KCI등재
      • KCI등재

        창작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인물 분석

        박소윤 ( So-yun Park ),현은자 ( Eun-ja H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그림책은 사회가 가치 있게 여기는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의하면 유아들은 문화적 산물인 그림책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이는 내면화되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아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중요한 문화적 산물인 그림책에서 아버지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도서 판매 상위 6개 서점의 베스트셀러와 권장도서 목록, 서울시와 부산시에 위 치한 어린이 도서관의 개관이후 대출 순위 목록과 국내외 수상작을 중심으로 아버지가 등장하는 도서 총 500권의 도서를 선정하여 아버지의 등장배경, 함께 등장하는 인물, 감정표현, 부모 행동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버지는 집밖(41.69%)보다는 집안(52.66%)에서 등장하였으며 둘째, 아 들과 함께(40.26%), 딸과 함께(28.26%), 혼자(21.49%)순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는 웃기와 같은 긍정적 감정(55.05%)을 부정적 감정(42.18%)보다 더 표현하였으며 넷째, 부모 행동 유형은 일상생활 활동(24.73%), 놀이접촉(23.92%), 전반적인 터치(14.85%)순으로 나타났으며 보육활동(8.63%), 기능접촉(6.66%), 가사노동(5.03%), 정서적지지(4.96%), 방관이나 부부싸움, 폭력, 무기력과 같은 기타활동(4.12%), 직업활동(3.20%)로 나타났다. Picture books are cultural products that reflect the valuable culture of the society. According to symbolic interaction theory, children constitute the meaning of father through picture books as cultural products, and this meaning is internalized, and affects the behavior of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ther’s character models exposed to children and change of father’s characters, through analysis of fathers portrayed in domestic and translated children’s picture books. Research issues according to the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character of father in children’s picture books in which father appear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father present at home, appears with son, express positive emotion, and has lots of daily life activity, playful contact and overall touching, so father is positive presence. In children’s picture books in which father and mother both appeared, father present at home, but don’t have interaction with children actively, expr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equally, and has lots of daily life activity, playful contact and overall touching. On the other hand, in children’s picture books in which father alone appeared, father present at outdoors, has more frequent interaction with children, express more positive emotion overwhelmingly, and has lots of playful contact, daily life activity and overall tou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