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AE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속도 데이터 기반의 교량의 손상탐지

        박세인 ( Park Sae In ),신수봉 ( Shin Soobong ),이종한 ( Lee Jo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교량과 같은 사회간접자본 시설물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투입된 자본 회수에 오랜 시간이 걸려 대부분 30∼50년의 긴 설계수명을 가진다. 하지만 긴 시간 동안의 환경 변화 및 재해로 인해 설계 시의 예측했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특히 국내 경제성장 시기인 1970대에 건설된 많은 교량들이 현재 공용년수 30년이상의 노후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점검·진단을 통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지만,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실정에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딥러닝과 구조물 손상탐지 기법들을 융합하여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량 모니터링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E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속도 데이터 기반의 교량의 손상탐지 모델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 KCI등재

        睡隱 姜沆과 17세기 초 호남 문학의 일면

        박세인(Park Sei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5

        睡隱 姜沆(1567~1618)은 전남 영광 출신으로 정유왜란 때 일본에 被虜되었다가 1600년에 생환한 문인이다. 생환 이후에는 거소인 영광을 떠나지 않고 강학과 作詩로 소일하였는데, 그의 문집인 『睡隱集』에 전하는 시문 대부분이 이때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수은의 주요 활동 시기가 17세기였음을 주목하고, 그의 문학적 교유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17세기 초반 호남 문학의 일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은집』에서 확인된 수은의 교유 문인들은 대략 100여 명 정도이다. 이들 문인들은 출신 지역이나 주요 활동 공간에 따라 지역 문인과 중앙 문인으로 대별된다. 호남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 문인은 수은과의 교유 관계에 따라 師承관계, 詩交를 나눈 以文會友의 관계로 구분된다. 이문회우의 관계를 맺은 문인들은 호남의 문학적 명문가 출신 인사와 향리의 일반 문인들로 다시 나눌 수 있다. 한편, 중앙 문인은 지방관으로 호남을 방문하여 수은과 인연을 맺은 관료적 인물과 수은에 대한 인간적 호감을 갖고 순수하게 시문으로 교유한 문인들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지역 문인뿐만 아니라 중앙 문인까지 망라된 수은의 다채로운 교유 관계를 통해 몇 가지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먼저, 수은은 16세기 호남의 문학적 명문가 문사들과 교유하며 문운이 가장 성했던 16세기 호남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지역 문단을 이끌어갈 후속 세대를 양성함으로써 호남의 문맥을 지속시키는 데 일조 하였다. 더불어 영광이나 호남의 다른 지역 문인들과 폭넓게 교유하는 한편, 호남을 방문한 중앙의 관료나 당대의 이름난 중앙 문인들과 시교를 나눔으로써 17세기 초반 호남 문학을 흥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수은을 중심으로 이와 같은 방대한 인적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된 까닭은 일본 포로생활 속에서도 절개를 온전히 지킨[全節] 그의 의리 정신과 뛰어난 시적 자질 때문이다. 특히 수은의 전절은 의리의 실천에 적극적이었던 호남의 의리 정신과도 일맥상 통한다. 이는 17세기 초반 호남의 문맥이 文才라는 바탕 위에 도덕적 엄정성의 구비라는 새로운 전통을 형성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수은의 문학적 교유에서 드러난 풍성한 인맥은 당시 호남 문단의 활황을 짐작케 한다. 이는 또한 호남의 문맥이 나름대로 문학적 전통을 세워가며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드러내는 증좌이기도 하다. 따라서 17세기가 호남 문학의 침체기라는 부정적 인식은 이러한 문학적 저변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평가라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Su-Eun[睡隱]. Gang Hang(姜沆, 1567~1618)'s literary association with people, to examine an aspect of Honam lit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re are about one hundred persons, found in 『SuEunJip[睡隱集]』, who associated with Su-Eun. They are classified as writers in provinces or in capital city according to their major stage. Among writers in provinces, some are Su-Euu's pupils and others are friends who formed friendship with Su-Eun, exchanging poems. The writers in the latter, secondly, are classified as high-born personages in Honam area or not. Among writers in capital city, some are government officials who kept company with Su-Eun during their staying in Honam area. As stated above, Su-Eun kept company with many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and this association gave rise to a number of good result. Firstly, he helped Honam literature continue, fostering younger generation who were next leader in Honam literature.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he inherited and developed tradition of Honam literature, keeping company with high-born personages in Honam area, because they worked in the 16th century, the period of the Renaissance. Lastly, owing to his wide-ranging association with other areas and government officials from capital city, Honam literature could be risen in the early years of the 17th centur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were huge human network with Su-Eun as the center. It could be because that he was faithful when he was taken prisoner in Japan and that he was highly talented poet. Some people say that the period of 17th century was the dark ages in Honam literature. But this research shows different explanation. Su-Eun's constancy was connected to the fidelity, the spirit of Honam. This shows that moral Rhadamanthine [嚴正性] was putting into the existing tradition in Honam literature at that time. And richness in human resources, found in his associations with people, shows that there was an activity in Honam literature.

      •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시스템 동바리의 손상탐지

        박세인 ( Park Sae In ),정현진 ( Jung Hyun-jin ),이종한 ( Lee Jo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건설공사의 대형화와 고층화에 따라 타설하중을 지지하는 가설구조물인 동바리의 시공 편리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 동바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존치 기간이 짧은 가설구조물의 특성상 사고 위험이 존재함에도 체계적인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계측데이터의 분석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시에도 현장의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동바리의 구조적 결함을 모사해 손상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정의된 손상시나리오에 따라 동적하중에 대한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여 딥러닝 기반의 손상 탐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시스템 동바리의 손상탐지

        박세인 ( Park Sae In ),정현진 ( Jung Hyun-jin ),이종한 ( Lee Jo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건설공사의 대형화와 고층화에 따라 타설하중을 지지하는 가설구조물인 동바리의 시공 편리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 동바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존치 기간이 짧은 가설구조물의 특성상 사고 위험이 존재함에도 체계적인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계측데이터의 분석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시에도 현장의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동바리의 구조적 결함을 모사해 손상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정의된 손상시나리오에 따라 동적하중에 대한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여 딥러닝 기반의 손상 탐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시스템 동바리의 손상탐지

        박세인 ( Park Sae In ),정현진 ( Jung Hyun-jin ),이종한 ( Lee Jo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건설공사의 대형화와 고층화에 따라 타설하중을 지지하는 가설구조물인 동바리의 시공 편리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 동바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존치 기간이 짧은 가설구조물의 특성상 사고 위험이 존재함에도 체계적인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계측데이터의 분석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시에도 현장의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동바리의 구조적 결함을 모사해 손상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정의된 손상시나리오에 따라 동적하중에 대한 가속도의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여 딥러닝 기반의 손상 탐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박세인(Se-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우리나라가 이룩한 경제, 과학기술발전에 과학기술 국제협력은 기술확보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활용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국가과학기술력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이 형성된 배경, 변화양상, 변화요인 등에 대해서 역사적으로 검토한 연구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도화되었고, 진화되어 왔는지를 기술수원기, 기술도입기, 호혜협력기, 외연확장기, 협력고도화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는 구조에 의해 발생한 계기에 의해서 시작되고, 점차 다른 제도와의 연계, 행위자인 정부의 전략적 선택 행위로 이어져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는 단절적으 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중층성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Korea’s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or this, it examined Korea’s institutions for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by dividing the whole period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into five sub-periods; period of technology aids, technology transfer, mutual cooperation, expanded cooperation, and highly sophisticated cooperation, respectively. It, then, reviewed the evolv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this study, the structure (environment), the actor (government), the institution of higher rank (science & technology policy)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influencing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Up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analysed how and through what evolutionary process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nstitutions have evolved so far.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institutional layering” i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n Korea. The momentums for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tem from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domestic economic environment. They influence upon economic policy, industrial policy, and S&T policy, which, together with the actor (the government), again brings about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econd,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s taking place gradually. As mentioned above, the momentums for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originate from international and domestic macro environment. These momentums do not directly influence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rather they give indirect influence, through other related institutions,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and make its gradual change or 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have the “institutional layering”.

      • KCI등재

        손상시나리오 기반 시스템 동바리 취약부재 도출 및 붕괴 위험성 분석

        박세인 ( Sae In Park ),주현 ( Ju-hyun Park ),안효준 ( Hyojoon An ),이종한 ( Jong-han L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국내 건설 사업은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건설 산업재해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상당수가 가설공사와 가설구조물과 연관성이 있지만, 짧은 운영기간과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건설현장 특성으로 인해 현장 안전관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시스템 동바리는 콘크리트의 타설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구조물 중 하나로써, 제작 시 결합부를 미리 부착해 설치 및 해체에 용이해 최근 적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시스템 동바리는 부재간의 연결성 및 수직부재의 지점조건 등 여전히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어 붕괴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스템 동바리의 구조계 및 하중,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연결부 및 지점조건, 횡변위 발생의 손상 시나리오를 정의하였다. 손상 시나리오와 함께 단위 구조계를 정의하여 임계 좌굴하중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손상 시나리오별 취약부재를 도출함으로써 시스템 동바리의 설계 및 시공, 운영 시 안정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 결과를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many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large and complicated, and construction accidents also steadily increase, which grows interest in the safety and maintenance during construction. Many of the construction accidents are related to temporary construction and structures, but the safety evaluation an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are unclear and indefinite due to the short operating period and continuous change in the form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The system support, which is one of the temporary structures to support the pouring load of concrete, was proposed to easily install and dismantle members with connection parts pre-manufactured. The use of the system support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temporary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However, the system support, which consists of multiple members, still has uncertainties in connectivity between members and supports of vertical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load, and accident cases of the system support to define the damage scenarios for member connection, support condition, and lateral displacement. The decrease rate of the critical loa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amage scenarios based on the defined unit structure of the system suppor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vulnerable members for each damage scenario, which could induce instability of the temporary structures dur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tructure.

      • KCI등재

        수은(睡隱) 강항(姜沆)의 연작형(連作形) 제영시(題詠詩) 고찰

        박세인 ( Se In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睡隱 姜沆(1567, 명종 22~1618, 광해군 10)의 連作形 題詠詩인 <水月亭三十詠>과 <癡軒八詠>의 대비적 고찰 통해 睡隱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연구되었다. 수은의 문집 『睡隱集』에 수록된 14제 52수의 제영시 중 연작형 제영시는 이들 두 작품뿐이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누정 주변에 펼쳐진 자연 경관을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7언절구로서 8연 이상의 연작시라는 형식적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의 作詩 배경과 연작의 구성 방식 그리고 物象의 형상화 양상 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수은의 연작형 제영시가 갖는 시적 지향까지 살펴보았다. 먼저, 수은이 水月亭과 癡軒을 대상으로 지은 <水月亭記>와 <癡軒記>를 통해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의 작시 배경을 고찰하였다. <수월정30영>은 정치적 실패를 경험하고 귀향한 수월정 주인 鄭渫의 상처를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그에 비해 <치헌8영>은 치헌의 주인이자 수은과 사돈 간인 丁鎔의 ``어리석은[癡]`` 삶의 가치와 자긍심을 드러내고자 창작되었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모두 八景歌型 연작 제영시에 속하지만, 가장 기본적 공통점인 소제명의 제명 방식에서부터 차이가 두드러진다. <수월정30영>의 소제명은 자연 경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나, <치헌8영>은 상징적 의미가 유사한 경물을 단순히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연작의 구성에서도 <수월정30영>은 序(제1영)-本(제2영~제24영)-結(제25영~제30영)의 안정적인 3단 구성 안에 수월정 주변의 다양한 경관을 펼쳐 놓았다. 그러나 <치헌8영>은 本(제1영~제7영)-結(제8영)의 2단 구성을 통해 癡翁의 인품과 유관한 경물을 되풀이하고 마지막 8영으로 종결하는 방식이다. 수은은 이렇게 서로 다른 구성 방식을 통해 두 작품의 상이한 작시 의도에 따라 물상을 형상화하고 있다. <수월정30영>에서는 자연의 다기함을 활용하여 이상적 세계를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시간의 순환적 질서를 통한 자연의 영속성과 불변성, 경물의 조화로움과 다채로움, 자연과 동화된 인간의 모습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치헌8영>은 다소 단조로운 형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은은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경물을 선택하여 치옹의 ``어리석고 우직한`` 삶의 ``정신적 우월함``을 반복해서 드러내고 있다. 한편, 수은과 수월정 주인 정설 그리고 치헌의 주인 정용에게서 ``버려짐[棄]의 상처``와 버려진 후에 ``자연으로의 귀의``라는 동일한 경험이 발견되고 있다. 수은은 일종의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작시 행위를 하고 있으며,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을 통해 자연 속에서 상처의 치유를 통한 자존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다. Examining Su-eun(睡隱) Gang Hang(姜沆, 1567~1618)`s <Suwalljung 30 Poems(水月亭30詠)> and <Chihun 8 Poems(癡軒8詠)>, this article aims to enlarge an understanding of Su-eun`s poetry. A Su-eun`s literary collection, 『Sueunjip(睡隱集)』 includes his poems on arbors(52 poems under 14 titles), the poems of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only written as a series of poems. First, I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were written by consulting Su-eun`s two essays, Suwalljung and Chihun. Su-eun wrote <Suwalljung 30 Poems> to encourage Jung Sul(鄭渫) the owner of Suwalljung, who had retired to the country after his political failure. Meanwhile, <Chihun 8 Poems> was written to emphasize an ironic value of ``silliness[Chi(癡)]`` in Jung Yong(丁鎔)`s life as honesty and sincerity, who was the owner of Chihun and Su-eun`s in-law. Although bot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a series of poems that contains a good deal of landscape,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ways in which poems in each series are titled. The titles of the poems in <Suwalljung 30 Poems> vividly describe the landscape of Suwalljung, but the titles in <Chihun 8 Poems> merely present natural objects that imply human nature. As for poetic forms, <Suwalljung 30 Poems> describes the landscape in a well-structured form: Introduction(Poem1)-Body(Poem2~Poem24)-Conclusion(Poem25~Poem30); however, <Chihun 8 Poems> consists of only 2 parts, Body(Poem1~Poem7) and Conclusion(Poem8), in which the described natural elements mirror Sir. Chi(癡翁)`s life. Then, I looked into poetic styles. <Suwalljung 30 Poems> creates an ideal world that embodies the eternity and constancy of nature, harmony and variety, and human life close to nature. Meanwhile, <Chihun 8 Poem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illy yet honest life`` in a simple description of natural elements that symbolize fidelity and honor. Finally, I examined poetic vision of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Su-eun, Jung Sul and Jung Yong, all of them suffered from ``abandonment`` and returned to ``nature`` after abandonment. Thus, Su-eun composed the poems for both Jung Sul and Jung Yong in empathy with them and tried to recover his self-esteem by healing his wounds i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