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성별 간 차이를 중심으로-

        박병선 ( Byung Sun Park ),배성우 ( Sung Woo Ba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4 No.-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and its predictor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Data(KWPA)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analysis. Utiliz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Secondly,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factors(depression, self-esteem, and coping style on conflict)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had differential impact on growth rate based on gende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y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men`s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tended to decrease more rapidly over time compared to women. Third, while all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coping style on conflict were significant factors of longitudinal change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for women, only self-esteem, and coping style on con-flic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ngitudinal change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for wom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on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기능평가척도 단축형의 측정불변성 검증

        박병선(Park, Byung-S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개발된 정신장애인의 기능평가척도 단축형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성별과 진단명에 따라 측정불변성이 유지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98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원저자가 제시한 원척도의 요인구조를 잘 유지하고 있었고, 성별과 진단명에 따른 측정불변성을 요인분산/공분산불변성 모형까지 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Scale Short-Form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 and to test its measurement invariance over gender as well as diagnosis groups. For this, data of 982 people with mentally ill were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FAS-S fitted well to the factor structure presented by the original author and that its factor structures were invariant across gender as well as diagnosis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지시관형사의 사용 양상 연구

        박병선(Park Byung Sun) 언어과학회 2004 언어과학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demonstrative pre-nouns by co-occurrence in Korean. This paper shows the quantitative method for the study of collocation and colligation in Korean. For this study, the paper uses the Sejong part-of-speech tagged corpus on a 5,500,000 word scale. For the exact and objective quantitative study, this paper uses most suitable statistic formula which are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y. By demonstrative pre-nouns 이(I-this), 그(GUE-that), 저(JEO-that),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adjacent co-occurrence of base w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words in the same PO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ew methodology in the Korean quantitative research is presented for collocation and colligation.

      • KCI등재

        선어말 어미 ‘-었-’의 의미 기능 재고 - 형용사 ‘멀었다’를 중심으로 -

        박병선 ( Park Byung-su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이 논의의 목적은 형용사 ‘멀다’의 용법 중에서 ‘수준이나 정도가 다른 것에 미치기에 부족하다’의 의미로 쓰이는 ‘멀었다’에 사용되는 선어말 어미 ‘-었-’의 문법 의미 기능 규명을 통해 선어말 어미 ‘-었-’의 문법 의미 기능의 특징을 새롭게 규명하는 것이다. 선어말 어미 ‘-었-’의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면 대체로 시제(tense) 범주에서 ‘과거’를 나타내는 기능이나, 상(aspect) 범주에서 ‘완료’로 보는 것이 가장 많았다. 이 외에도 양태(modality)의 범주로는 ‘확신’의 기능으로 보기도 한다. 그렇지만 ‘멀었다’에 사용되는 선어말 어미 ‘-었-’은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그 어떤 문법 범주로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번 논의에서는 기존의 연구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분명히 정리하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사전 의미 기술에 대해 분석했다. 그리고 해석론적 관점에서 ‘멀었다’의 쓰임의 특징을 밝히고, 이런 특징을 갖게 된 통시적 특성도 분석해 보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선어말 어미 ‘-었-’의 의미 기능 중에 현재 상태를 나타냈었던 예전의 용법이 아직까지도 계승되어 쓰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아직 멀었다’ 표현에 나타나는 특성이, 실제 용법 분석을 통해 [현재 상태] 뿐만 아니라 [목표성]이 있고, ‘멀다’가 형용사이지만 목표를 향한 변화를 전제로 한 동사적 특성이 있는 [지향성]이 있을 때에 ‘-었-’과 결합하여 쓰임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y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re-final ending “-eoss-” from the grammatical semantic function perspective; it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and is insufficient to reach a different degree of use of the adjective “meoleossda.”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grammatical semantic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eoss-” by examining its usewhen it in “meoleossda.” Among studies on the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eoss-,”and those representing the “past” tense or the “complete” aspect are most common. Some studies have attempted to see these in a separate or integrated view. It is also viewed as a function of “confidence” as a category of modality. However, the pre-final ending “-eoss-” used in “meoleossda” could not be explained by any of the grammatical categories covered in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is problem, the limitation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grammar categories have been clearly summarized in this study. I first looked at the dictionary semantic description,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meoleossda” from an interpretive point of view, and analyzed the synchron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ssume that the old usage, which indicated the current state of the meaning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eoss-,” is still being used.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usag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expression “ajik meoleossda,” there is not only a present state, but also a goal, and, although “meolda” is an adjective, as an orientation it has a verbal characteristic that presupposes a change toward a goal.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eoss-” when it is ther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비행과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별 및 학교급간 차이를 중심으로 -

        박병선 ( Park Byung Sun ),심성지 ( Shim Seong Jie ),배성우 ( Bae Sung Woo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이 비행과 자살성에 미치는 영향이 남녀집단 간에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http://archive.nypi.re.kr/)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Ⅰ’의 9,43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 불안, 비행, 자살성이 높아지고, 불안은 비행과 자살성을 모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우울은 높을수록 자살성은 높아지지만 비행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집단간 비교에서 남학생의 경우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부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집단 비교에서 초등학생의 경우에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울은 오히려 비행을 줄이는 쪽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초·중·고등학생 공통적으로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우울보다는 불안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었고, 스트레스가 자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불안보다는 우울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nd suicidality and to understand the gender and school level differences among the examined variabl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data of 9,435 collected for children/youth mental health improvement research I by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were utili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tress they have, the higher the depression, anxiety, juvenile delinquency, suicidality they get. In addition, anxiety tend to increase the level of juvenile delinquency and suicidality. However,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more suicidality but the less juvenile delinquency they have. Second, for male students, all the paths examined in the study were significant but the path from depression to juvenile delinquency was negative. Third, the analyses of school level differences showed that depression had positive impact on decreasing juvenile delinquency for elementary students only but depression had no impact on juvenile delinquency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impact of stress on juvenile delinquency, anxiety rather than depression had greater influence regardless of student level. On the contrary, in the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stress on suicidality, depression compared to anxiety had greater influence. Lastly,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박병선(Byung Sun Park),배성우(Sung Ok Lim),임성옥(Sung Woo B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3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1995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 연구들을메타분석 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들과 각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고 조절변수를 탐색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으로 30개 변인이추출되었다. 둘째, 메타분석에 의해 통합된 상관계수의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희망, 주변사람들 지지, 가족 지지, 가족기능,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가족관계, 우울, 신체적 건강,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증상, 사회적 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간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재활서비스 환경, 낙인, 병식, 약물부작용, 약물에 대한 태도, 재활프로그램 참여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주상태(지역사회, 병원)를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거주상태에 따라 사회적 기능과 가족기능 변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For data analysis, journals,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5 and 2012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alculated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explored moderator variabl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30variables 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ables which showed large effect sizes included self-esteem, social support, hope, support from people, family support, family function, self-efficacy, empowerment, family relationship,depression, physical health, personal relationship, stress coping, symptom,and social functioning. Third, variables with medium effect sizes included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stigma, insight, drug side effect, attitude toward drug, participation on rehabilitation service. Fourth, moderator analyses were conducted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state (community or hospital). Moderate effects were identified in the social functioning and family functioning.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병선(Byung Sun Park),진혜민(Hye Min Jin),허만세(Maan Se Ho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8 No.-

        본 연구는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과병원에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중독자 2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둘째, 우울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족지지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인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를 모두 포함한 경로모형이 유의하였고, 모형에 포함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가족요인들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재활에서 우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치료적 기제로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함의로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is factors in male alcoholics. The sample consisted of 215 inpatient alcoholic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function mediated th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in male alcoholics. Second, de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nfluential factors that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ing the path model is significant and all path of path model i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les of the depression and family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in alcoholics, and that the intervention of depression is needed and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could be utilized as therapeutic mechanisms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lcoholism.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ways of improving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for alcoholics.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구,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

        박병선 ( Park Byung-sun ),박수지 ( Park Susi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에서 제공하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 방안 연구Ⅲ`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전체 자료 중에서 중·고등학생 6,32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선택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인터넷 게임중독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는 인터넷 게임중독에 부(-)적인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의 개별적인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로 인한 인터넷 게임중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가족, 친구, 교사와의 관계를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friend, teacher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stress on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For this, we used data on 6,3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ulled from the Study of Ways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Youth III, which was conducted in 2013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e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Our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was shown to have positive direct effect on internet game addiction, while the relationships adolescents have with their families, friends, and teachers were shown to have negative direct effect on their internet game addiction. Second,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 of these relationship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mpact of stress on internet game addi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game addiction caused by stress was need to use the family, friend, teacher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