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산화은을 이용한 O-알킬화 반응; 새로운 4-알킬옥시-2-페닐카복사미딜-1-토실피롤리딘 유?체의 합성

        박명숙,Park, Myeong Suk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6

        새로운 COZ-2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4-hydroxy L-proline의 1-위치에 arylsulfonyl기 2-위치에 arylcarboxamidyl기, 그리고 4-위치의hydroxy에 alkyl기를 도입한 새로운 후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4-Hydroxy L-proline 1을 출발 물질로 하여 N-tosylation으로 1-위치에 4-methylphenylsulfonyl기를 도입하였고 esterification으로 carboxylic acid를 protection하였다. 4-위치의 O-alkyl-(or aralkyl)ation을 위해서 촉매로 silver oxide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 4b-d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Carboxylic acid기의 deprotection을 위해서 간편한 base-hydrolysis의 과정을 거쳐 4-alkyloxy-1-tosyl L-prolines 5b-d를 얻었다. 최종 목적 화합물인 1,2,4-치환된 pyrrolidine derivatives, 4-alkyloxy-2-phenylcarboxamidyl-1-tosyl pyrrolidines 6a-d 4종은 DCC를 사용하여 3 및 5b-d와 aniline과의 축합 반응으로 합성하였다.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X-2 inhibitor, novel compound were synthesized through induction an arylsulfonyl group to 1-position, an arylcarboxamidyl group to 2-position and an alkyl group to 4-position of L-proline. We started from 4-hydroxy-L-proline, the 4-methylphenylsulfonyl of 1-position was introduced through N-tosylation and the carboxylic acid group was protected by esterification. We sucessfully converted to a various derivatives 4b-d for O-alkyl-(or aralkyl)ation of 4-position using silver oxide as catalysis. The 4-alkyloxy-1-tosyl L-prolines 5b-d were synthesized through base-hydrolysis for the deprotection of carboxylic acid. Final compound 1,2,4-substituted pyrrolidines, 4-alkyloxy-2-phenylcarboxamidyl-1-tosyl pyrrolidines 6a-d were synthesized through the condensation of arylamine with 3 and 5b-d using DCC.

      • KCI등재

        TV드라마에 나타난 선택의 스토리텔링* - 다중인격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

        박명숙(Park, Myeong-Suk)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torytelling about ‘choice’ found in characters with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appearing in TV dramas. This will be a part of not only figuring out the contemporary status of ‘cho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oosing of the subject but also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storytelling in the latest TV dramas. In the 21st century, scientific technolog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lgorithms, and complex systems is rapidly growing, and also, the ecosystem of choice is changing and becoming reconceptualized dramatically as well. The examples are the choice of multipleheterogeneous subjects, inversion of criteria-choices from choices based on criteria to criteria grounded on the accumulation of choices, a choice at the future point, and the phenomena of storytelling about choice, and so on. Such contemporary status of ‘choice’ is more clearly dealt with in the storytelling of TV dramas, particularly dramas where the main character with multiple subjects is appearing. Here, this author takes MBC’s <Kill Me, Heal Me> and SBS’ <It’s Okay, That’s Love> as the objects of analysis as they attained high ratings and had scripts published to obtain popularity as well as significant fruition in terms of material value.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choice found in these dramas are summed up as below: First of all, the heroes suffering from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persona tend to go with decentralized choice. This is the desire of choice preceding their own identity. It reveals the primitivity of the act of choosing itself. Also, it is the mystery of choice shown in the transition from multiple personality to multiple subjects. Such decentralized choice lets the people having an impulse to live through multiple personality and dreaming of uncontrollable love of salvation at the same time become satisfied vicariously. It is, in fact, the practical drive of ratings and also the rebellion against reasonable choice theory or manipulation of choice in capitalistic society. The viewers empathize with just leaving choice as something in creative area that is unpredictable or inconceivable. That is why they feel sympathy about the choice resulted from it and give support to the beauty of choice.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oes’ hegemonic choices to recover the main personality are found intensively in the story. Concretely, it is about the provision and reproduction of a story. With constant aid from the listener, other personalities provide a story to the social personality voluntarily, and the personality understands the story holistically, which allows the main personality to obtain its hegemony. Also, there are storytelling and exchanging. The main character talks about his secrete story in childhood that he has been reluctant to accept, trying to ignore, denying through unconscious suppression, and wrapping inside their social persona and unwilling to talk out to the outer personality in order to build up the integrated personality. Here, we can be again sure of the fact that the story is a powerful tool to seize hegemony. When the story is made use of, it is needed to done preferentially to recognize value of the story. While the main characters have each of the personalities reproduce their stories as a chance to come to an end, they mention the possibility of exchanging stories with the main personality, which builds up trust for recognition. In the reality that choice is broadening its absolute influence, viewers have agreed to place the direction of choice in the attributes of a story. It is either equipped with totality or towards the sustainable story. This study has again found that in TV dramas, ‘choice’ is the universal keyword that reflects individuals’ identity and social trends and also reveals the psychology of crowds while playing roles as a sight that attracts and collects the public choices and lets 이 연구는 TV드라마 속 다중인격의 등장인물에 나타난 ‘선택’의 스토 리텔링 양상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선택’의 동시대적 위상및 해당 주체의 선택 특성을 파악함은 물론 최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을 이해하는 편린이 될 터이다. 21세기 들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알고 리즘, 복잡계 등의 과학기술의 성장과 더불어 선택의 생태계는 급속하게 변하고 재개념화하고 있다. 다중-이질 주체의 선택, 기준에 따른 선택에서 선택 집적에 의한 기준이라는 기준-선택의 도치, 미래 시점의 선택,선택의 스토리텔링화 현상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선택’의 위상과 관련한 대중적 감수성은 TV드라마의 스토리텔링에서, 특히 다중주체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드라마에서 보다 선명하게 다루어진다. 그리하여 높은 시청률과 한류드라마라는 위상, 대본집 출간 등으로 대중성 확보와 자료적 가치의 유의미한 성과를 보인 MBC의 <킬미힐미>와 SBS의 <괜찮아 사랑이야>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드라마에 나타난 선택의 특징적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중 인격과 외부 인격으로 인한 장애를 겪는 남자주인공들의 탈중심적 선택의 특징이다. 그것은 정체성에 선행하는 선택 욕망으로서 선택 행위 자체의 원초성을 드러낸다. 주인공들의 선택 훼손을 통해, 선택 행위는 근원적으로 욕망에 바탕을 둔 것이며 불안정하고 비절대적이 어서 여기에 합리성을 명명하여 맹신하는 것은 허구임을 보여준다. 또한 다중인격에서 복수주체로의 이행 과정에 보이는 선택의 신비성이다. 복수주체는 실제 기술적으로 가능한 것이어서 이질감 없는 스토리텔링으 로서 선택 생태계의 반영이기도 하다. 이러한 탈중심적 선택은 여러 인격을 살고 싶은 충동과 불가항력적 구원의 사랑을 꿈꾸는 대중의 대리 만족으로서 시청률의 실질적 동인이자 자본주의 사회의 합리적 선택 이론 혹은 선택 조작에 대한 반기이기도 하다. 시청자(향유자)는 선택을 예측불가능하고 불가해한 창조적 영역의 무엇으로 남겨두는 데 공감한 다. 그러기에 그에 따른 선택에 대한 연민과 선택의 아름다움에 대한 지지를 보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남자 주인공들이 중심 인격을 되찾는 헤게모니적 선택의 특징은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야기의 공여와 재현이다. 지속적 청자의 조력으로 다른 인격들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인격에게 이야기를 공여하고 그 인격이 이야기를 총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중심 인격은 헤게모니를 얻게 된다. 또한 이야기 들려주기와 교환이 있다. 주인 공이 시인하기 어려웠고 그래서 애써 외면하며 무의식으로 억눌러 부정했고 사회적 퍼소나로 포장하여 차마 입 밖에 내지 못했던 유년의 내밀한 이야기를 외부 인격에게 들려줌으로써 통합적 인격을 도모하게 된다. 이야기는 헤게모니 장악의 강력한 도구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이야기를 활용할 때, 이야기 가치의 인정이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주인공들은 각 인격들로 하여금 그들 이야기를 재현하게 하여 일종의 완결을 짓는 기회를 주는 한편, 중심 인격과 이야기 교환의 가능성을 언급해 줌으 로써 인정의 신뢰를 마련한다. 선택이 절대적 영향력을 넓혀가는 현실에 서, 시청자(향유자)는 선택의 방향을 이야기의 속성에 두는 데 동의하였 다. 총체성을 띠거나 지속가능한 이야기를 향해 선택을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노년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연구- <디어 마이 프렌즈>를 중심으로 -

        박명숙(Park, Myeong-Suk)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2 No.-

        이 연구는 <디어 마이 프렌즈>를 중심으로 노년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밝힌 것이다. <디어 마이 프렌즈>의 등장인물 대다수는 노인이다. 이는 고령사회에 나타난 TV드라마의 새로운 시도이다. <디어 마이 프렌즈>는 등장인물들의 희화적 행위와 그들의 거침없는 솔직성으로써 노년의 일상을 전경화하여 노인 중심 스토리텔링을 구현했다. TV드라마에서 노년은 그 소구력에 있어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디어 마이 프렌즈>는 이를 장면 중복과 공간 초점화의 스토리텔링으로 극복했다 아울러 <디어 마이 프렌즈>의 노년은 드라마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 말년의식을 바탕으로 한 휴머니티의 의미망을 구축했다. 이는 장르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인 것으로써 향후 해당 장르의 확장에도 유의미하다. 그러나 <디어 마이 프렌즈>의 스토리텔링이 제시한-젊은이와 세대생태계를 이루는 점, 건강하고 재력 있고 총명한 노인이 그렇지 못한 노인을 보살피면서 길 위의 자유로운 여행으로 말년을 채우는 노노(老老) 케어라는 점 등은 우리 사회의 노인 현실을 감안할 때 괴리감도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orytelling aspects of old-age dramas focusing on <Dear My Friends>. First, it materializes storytelling which focuses on the aged through comic scenery of the characters and eccentric frankness and further, it deals with humanity. Second, it has a structure of scene repetitions and spatial focus. Through this, it overcomes the subject matter of old age and increases its finished quality as a genre drama. Third, <Dear My Friends> displays sympathy among generations through incomplete love and declining consciousness. The declining consciousness appearing in <Dear My Friends> represents a popular old age fantasy by making viewers lay the name down or making it correct. This comforts elderly viewers and provides relief for young viewers. However, it used an elderly community as an alternative, and while it is romantic to see a strong elderly person taking care of a weak elderly person, wealthy elderly people looking after poor elderly people, sharp witted elderly people protecting the slower speaking elderly, and remaining days filled with free travel on the road, doubt remains when the reality of our socie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retired baby boomer elderly corps cannot ignore their generational uniqueness in that they lived in the age of industrialization and there are still rough aspects to a social safety ne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메타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의 편향에 관한 연구 - 온달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박명숙 ( Myeong Suk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편향에 관한 것이다. 선학의 성과에 기대어 스토리텔링 담론의 한계와 가치지향을 고찰함으로써 그 연구 영역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스토리텔링학의 확장적 이해를 위한 시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온달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런닝맨의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등의 온달스토리텔링을 대상으로 하여 통시적으로 살폈다. 먼저,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있어서는 생산자 중심의 ‘이야기 요소’로 국한한 논의가 많았다. 그러나 온달스토리텔링은 이야기 요소뿐만 아니라 제시형식의 특성과 향유자와의 인터렉티브 스토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관한 향유자 교육이 따라야 함도 물론이다. 다음으로 스토리텔링의 개념은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재개념화되고 있으나 ‘화술’로 제한 받는 것도 사실이다. 각각의 온달스토리텔링은 ‘화술’과‘텍스트’, ‘작술법’의 층위의 것이었으며 이로써 현재 파생되는 스토리텔링현상들을 아우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의 급격한 증가로 스토리텔링의 소구력이 흥행이라는 시장성으로 제한되고 있는데 온달스토리텔링은 다양한 소구력을 보여 주었다. 스토리텔링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학문적 성장을 위해서는 소구력의 의미를 사회적 기능(신화적 기능)의 통합성, 심미적 인식적 기능의 예술성, 유희적 기능의 시장성으로 폭넓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Storytelling is an ``activity,`` a ``skill,`` and the ``contents`` itself that strategically delivers stories based on the elements and values of a story. However,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tory`` or in approach towards ``telling`` or in discussion of the results, inclination of schematization and uniformization are spotted. When bias is examined using ``Ondal`` storytelling as the primary source, firstly, in term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t is too concentrated on the ``story elements that are centered around the producers (story value, character, location, plot).`` Unlike <Ondal-Jeon> and <Where will we meet again?>, <Ondal the Fool and Princess Pyeong-Gang> of TV digital storytelling showed meta-aspect due to confusion of actors and characters as a result of appearance of six Ondal and Princess Pyeong-Gang each, double consumers named producers and the audience. Thus, th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compose as significant portion of storytelling as the producers of stories do. Therefore, the storytelling technique not only covers the elements of stories but also the ``telling`` through things such as tool(media) and sharing values, and this must be considered in terms of audience as well. Secondly, for the existing storytelling discourse, its levels of meaning are biased to ``speech.`` As the contents of Ondal story show, storytelling not only includes speech but also composition method, and the text aspect. While <Ondal-Jeon> was what had been passed down through speech written down on paper, for <Where will we meet again?>, the formation in which how the story will be projected on the stage is significant. Thus, the audience must read by filling up the holes by participating in composition method related to visualization of the story. <Ondal the Fool and Princess Pyeong-Gang> requires the audience to practice meta-reading that accepts the meaning in multiple levels such as acting skills of the actors, their characters, and subtitles of the producers. Lastly, in evaluating storytelling, the appealing power is often limited to the market value and its appeal to the mass or the size of the ma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Ondal Storytelling possesses a variety of different appealing power for each levels of meaning from speech, stage types, and to interactive structure of digital TV. The social appealing power of <Ondal-Jeon> is outstanding since it was published on the textbook, and <Where will we meet again?> is an appealing power of aesthetic and perceptive value that gains insight on life through poetic stage and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Also, like <Ondal the Fool and Princess Pyeong-Gang>, when Ondal storytelling is put on top of the format of existing program ``Running Man,`` the appealing power of the program format which is based on the team competi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Ondal story. After all, it contained the elements of discourse other than the elements of a story and there is a need to newly illuminate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and besides creation of contents, studies on storytelling that promote educational understanding for the audience are demanded. Thus, the value and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will be enhanced, and the Homonarrans`` aspect of the mankind will be able to be explained.

      • KCI등재
      •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2차원 바코드 검출

        박명숙 ( Myeong-suk Pak ),김상훈 ( Sang-h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2차원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데이터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잡한 환경에서 바코드의 인식을 위해서는 바코드 영역 검출이 중요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QR코드 검출 시스템을 구현한다. 실험은 실생활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바코드 영상을 이용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