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간적 요인에 의한 침수피해의 영향 분석

        박기용(Kiyong Park),오후(Hoo Oh),전원식(Won-Sik Jeon),이의훈(Eui Ho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장기적인 측면에서 침수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비구조적인 대책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공간적인 요인과 침수피해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공간적인 요인에 의한 침수피해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도시공간적인 요인은 Open Space, 방재시설, 도시화 부문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침수피해 지역은 일정한 지역에 한정되어 발생하며, 공간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pen Space의 면적이 넓을수록 침수피해액이 감소하는 바, 녹지, 공원 등의 감소가 침수피해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도시의 안전이라는 기능적인 부분에 있어서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도시화 부문에 포함되는 인구밀도, 지역내총생산(GRDP) 등의 요인은 그 값이 클수록 침수피해액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침수피해를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녹지, 공원 등의 도시공간 계획을 전략적으로 수립해야 하며, 인구밀도, 지역내총생산(GRDP) 등은 침수피해를 유발시키는 주요 요인이므로 회복력 차원에서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대응과 복구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term measures to minimize flood damage in the event of flooding in urban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factors and the impact of flood damage was analyzed, focusing on non-structural measures. The urban spatial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open spac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nd urbanization se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urban spatial factors influence flood da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ucial factors, such as the reduced green areas and parks included in the open space sectors, resulted in an increased flood damage potential. The posterior factors, such as the population density and GRDP included in the urbanization sector concurrently led to an increase in the flood damage potential. Therefore, to better adapt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rban spatial plans strategically, such as green areas and parks. Meanwhile, the population density and GRDP are also the main factors causing flood damage. Therefore, when used appropriately in terms of resilience, it will serve as adaptations and recovery.

      • KCI등재

        도시 단지내 환경 인프라 재생 효과 고찰 - 대전시 M 아파트 단지 사례연구

        박기용,최창규,신종석,박희경,Park, Kiyong,Choi, Changkyoo,Shin, Jongseok,Park, Heekyeng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는 실제 아파트 단지의 재생이 필요한 환경 인프라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녹색 인프라 기술로 재생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단지내 물과 폐기물의 자원 순환 및 재이용을 위해 단지형 도시 중수 생산 기술과 단지형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무막힘 탄성포장 우수 재이용 기술, 도시농장 기술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심 중수 생산 기술은 하수, 우수, 지하수를 대상으로 중수를 생산하여 단지내 공공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이며, 무막힘 탄성포장 우수배수구 기술은 단지 내에서 우수의 재이용율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반 기술이다.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단지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 및 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이오가스와 비료를 만들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도시농장은 재생용수, 재생에너지, 재생비료를 활용하여 주거민들의 건강 및 여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이다. 이를 통해 단지 내에서 자원 순환 및 재이용이 가능한 하나의 에코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재생 후 녹색지표결과에서 에너지 부문은 4.23, 물부문은 0.32, 폐기물 부문은 0, 토지이용 부문은 0, 환경부문은 2.12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This study introduces a resource recycling system in urban apartment complex using four different technologies. The four technologies, called 4G, include a production technology for reclaimed water (Green water), a biogas production technology from organic waste (Green biogas), a reuse technology of rainwater (Green rainwater), and urban agropark (Green pyramid). Green water is the technology for producing the reclaimed water from wastewater, rainwater and underground water,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BOD, SS, T-N and coliform of reclaimed water were 7.8mg/L, ND (not detected), 4.9mg/L and ND, respectively. Green biogas is the technology for producing biogas and effluent after treating organic wastes (e.g. food waste and night soil) discharged from households, and the average production rates of hydrogen and methane were $0.33m^3/m^3/d$ and $0.24m^3/m^3/d$, respectively. Green pyramid, agricultural farm operated by biogas and reclaimed water, provides a healthy and recreational space for residents, and plant growth rates using treated water and reclaimed water showed height of 1.32cm and weight of 112.8g. Therefore, 4G technologies can improve the recycling rate and treatment efficiencies of waste and wastewater in an apartment complex.

      • KCI등재

        방사선 치료시 배경분리알고리즘을 이용한 비젼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박기용,최재현,박제원,Park, Kiyong,Choi, Jaehyun,Park, Jea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normal tissue in radiation therapy, to minimize radiation, it is most important to maximize local tumor control rates in intensive research the exact dose to the tumor sites. Therefore, the initial, therapist accuracy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patient fatigue therapist has been a problem that is weighted down directly. Also, by using a web camera,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mage to be updated to the reference image is calculated, if the resul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using the system for determining the motion has occurred. However, this system, it is not possi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movement of the patient, the background is changed when moving the treatment bed in the co-therapeutic device was not able to sift the patient. In this paper, using a alpah(${\alpha}$) filter index is an attempt to solve these limitations points, quantifies the movement of the patient, by separating a background image of the patient and treatment environment, and movement of the patient during treatment It senses only,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s due to patient movement.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정상 조직에는 방사선을 최소화 하고 종양 부위에 정확한 방사선을 집중해서 조사하여 국소 종양 제어율(Local Tumor Rate)을 극대화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초기에는 치료사들이 직접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치료사들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준영상과 갱신되는 영상의 차분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환자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없고 토모치료기의 치료베드 이동시 변화되는 배경을 환자와 가려낼 수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지수가중치(${\alpha}$) 필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정량화 하고 환자와 치료환경의 배경이미지를 분리하여 치료중 환자의 움직임만을 감지하여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었다.

      • KCI등재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과정 및 교육방안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수업설계 행위는 객관적 논리와 주관적 판단, 사고와 행동, 이성·감성·실천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전문적 행위이므로, 예비교사는 전문화된 학습경험을 통해 수업설계 전문성을 성장시켜 나가야한다. 본 연구는 전통철학의 이원론을 비판하면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 이성과 감성의 통합, 마음과 세계의 통합을 강조하는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경험과 그 성장 과정 그리고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였다. 첫째, 듀이가경험의 본질로서 설명한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 ‘경험과 사고’, ‘질성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 ‘계속성’, ‘교변작용’을 각각 해석한 다음, 이 개념들이 모두 통합되어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으로서 설명한 ‘하나의 경험’을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즉, 경험의 재구성은 인간이 행하는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경험이 환경과의 계속적인 교변작용을 통해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둘째, 경험의 본질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설계 경험의 본질을 각각 정리한 다음, 기존의 수업설계모형 관점 및 반성 관점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이 하나의 완결된 경험으로 재구성 즉,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각 과정에서 교사교육자가 지원 및 제공해야할 교육활동이나 환경을 제안하였다. 즉, 수업설계 경험의 재구성은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수업설계 경험이 환경과의 끊임없는 교변작용을 통해, 지적·정서적·실천적 활동이 서로 어우러지면서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교사교육자는 이 재구성 과정을 이해해야함은 물론이고,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질의 직접적 변형”을 가능케 하는 교육적 활동을 만들고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교육자는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공동의 경험을 하는 동반자이며 함께 성장해 나가는 존재이다.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는 교사교육자는 “서로의 관심을 인정하고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민주적교사이다. 민주적 교사교육자의 수업설계 교육은 기교에서 예술로 승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growth and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based on the Dewey’s philosophy. Firstly,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was interpreted. This means trying and undergoing, experience and thought, qualitative thought and rational thought, continuity, transaction. Moreover, the process in which all of these concepts are integrated and experience reconstructed was arranged and comprehended. Secondary, from the standpoint on Dewey’s concept about the nature of experience, the nature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as explored in term of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with understanding activity about designed instruction’,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ith thinking’, ‘integration of qualitative thinking with rational thinking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ntegr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ransaction with environment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and thinking’. Lastly, the education plan was explored in five steps based o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n this method is to support the growing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o sum up, th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ir first instruction design activity sets off the reflective thinking. Then, the tentative idea is derived from reflective thinking activities(defining problem, cause analysis, observation of data) and applied for redesign of instruction. This redesigned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nd testified. These processes will continue repetitively until negative emotions are not drawn up about the proven results.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s process of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experience from mere activity throughout interaction with environments. In reconstruction 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proces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ctivities were in harmony not in isolation. The educator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design and practic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골반변위 중년여성의 태권도 수련형태가 골반 교정과 골밀도, 골대사호르몬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박기용 ( Ki Yong Park ),이주희 ( Joo Hee Lee ),성민재 ( Mi Jae Sung ),진시형 ( Si Hyung Jin ),김성진 ( Sung Jin Kim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 체조와 품새 태권도의 참여가 골반이 변위된 40세 이상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골반변위, 골밀도, 그리고 골대사호르몬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골반이 변위된 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대사적 이상이 없고,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으며, 최근 1년간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중년여성 24명을 대상으로 태권도 수련형태에 따라 태권체조집단 12명과 품새 태권도집단 12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어 참가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품새 태권도집단과 태권체조집단 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종속변인별로 구하였다.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는 사전검사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측정값을 서로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nvariance)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조성의 변화에서는 태권체조집단과 품새 태권도집단 모두 체중과 체지방률은 감소, 제지방률은 증가하였으며, 골반변위 차이의 변화에서는 태권체조집단과 품새 태권도집단 모두 장골 길이, 장골 넓이, 천골 넓이, 다리 길이의 균형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의 변화에서는 태권체조집단과 품새 태권도집단 모두 BMD, T-score, Z-score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대사호르몬의 변화에서는 태권체조집단과 품새 태권도집단 모두 렙틴, 부갑상선호르몬,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성장호르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지질의 변화에서는 태권체조집단과 품새 태권도집단 모두 TC, TG, LDL-C은 감소하였으며, HDL-C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여성의 태권도 수련방법에 있어서 일련의 규정된 동작에 따른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 품새보다 율동에 의한 유산소성 운동이 가미된 태권체조를 통해 예민할 수 있는 중년여성의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aekwondo participation for 12 weeks, including Taekwon gymnastics and Taekwon ``Pumsae``, on body composition, pelvis deformation, bone mineral density, bone meabolism hormones and blood lipids in the middle-aged women with pelvis deforma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voluntarily participated 24 middle-aged women who were (a) living in A city, (b) having pelvis deformation, (c) aging over 40 years, (d) having no medical problems and metabolic dysfunction, (e) and having no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for last 1 year. The 2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of the Taekwon gymnastics and Taekwon ``Pumsa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 The separate analyses of covariance were used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significant increase in lean body mass in the both Taekwon gymnastic group and the Taekwon pumsae group. In the both groups,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pelvis deformation including the balance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ongitudinal bones, the width of the sacrum, and the length of the leg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BMD, T-score, and Z-score in the both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leptin, parathyroid hormones, insulin-like growth factor-1 and growth hormones in the both groups. In the changes of blood lipids, TC, TG and LDL-C were decreased and HDL-C was increased in both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middle-aged women, the Taekwon Gymnestics, which aerobic exercises by rhythmic movement are included,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than the Taekwon pumsae, which easily bore them by only allowing to perform the regulated movement.

      • KCI등재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의 효과 분석

        박기용(Park ki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박기용, 2016)”을 중등 예비교사 교육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과 2016년 각각 00대학 교직과목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 신청한 30명과 35명의 예비교사에게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을 활용한 수업설계 교육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한 수업설계모형의 효과는 Kirkpatrick(1994)의 4수준 평가모형을 활용하며, 예비교사들이 수업설계모형을 학습한 결과에 대한 반응(reaction), 학습성과(learning), 성찰(reflection)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 활동이 본인에게 도움이 된다는 반응을 제시하였으며, “수업설계안과 사고방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수업설계모형 학습전·후에 작성한 수업설계안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예비교사 자기평가 모두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목표와 수업요소 간의 연관성 영역에서 상당한 향상이 이루어졌다. 둘째, 예비교사가 스스로 수업설계 활동 변화에 관하여 성찰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설계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고, 기존 수업설계안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완성도 높은 수업을 설계할 수 있었다는 긍정의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 활동의 모든 초점은 학습자의 학습과 변화에 있다는 것을,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의 중요성을,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지속적인 노력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무엇보다 수업설계모형에 대한 학습경험이 향후 수업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과 자신감이 생겼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DT-IDmodel)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The effects of DT-IDmodel were tested by investigating 65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action, learning, and reflection of DT-IDmodel, using Richey & Klein(2007)’s Model validation research method and Kirkpatrick(1994)’s the four levels evaluation model. The results of study, pre-service teachers react that DT-IDmodel were of help to designing instruction. But pre-service teachers have some difficulties discovering instructional problems, developing instructional solutions. Pre-service teachers’ designing and thinking of instruction were changed positively by learning the DT-IDmodel.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s’ design activities were improved in objectives and interrelations of instructional component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on the differences of instructional design between pre-design and post-design were that they understand instructional design method, design the better instructio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instructional problems and developing instructional solutions.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박기용(Park Ki-yong)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9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effected by Oni figures in Japan. Tokkeabi stories, which are fantasy stories for kids, give children interests and help them establish their identity.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up to this day show that there is a close affinity between Tokkeabi in Korea and Oni in Japan. In terms of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a horn, a face, a dress, accessories, and a magic club, Tokkeabi seems to have copied Oni. A certain group’s archetypal complex creates their own imaginative products. Korea is supposed to have its own archetypal objects, too. However, the department of Korea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elementary school, still teaches students Oni figures instead of Korean own Tokkeabi even after 65 years from independenc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is situation distorts Korean tradition and damages its identity. Some scholars, who are aware of this problem, have created a new Tokkeabi figure, but they haven’t reflected archetypal Tokkeabi from old literature and legendry. So Tokkeabi that is inadequate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be taught a proper tokkeabi figure expressing Korea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