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방정부 예산결정과정에서 지방의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의회를 중심으로 -

        박광국,황종규 ( Park Kwang - Kook,Hwang Jong - Que ) 한국행정학회 1994 韓國行政學報 Vol.28 No.1

        본 논문은 지방정부의 예산결정과정에서 지방의회가 예산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어떠한 예산심의전략을 채택하는가를 경험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지방의회의 예산심의에서의 역할을 수호자 (guardian)와 주창자 (advocate)로 구분하고 1992-94회계년도 동안에 경상북도가 의회에 제출한 예산안과 의회의 예산안 증감액 조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예산심의과정에서 의회의 보호자역할이란 지방정부 재정규모의 팽창을 억제하고 예산의 비효율과 낭비를 제거하여 주민의 조세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삭감율과 삭감건수 및 삭감액의 규모를 분석하였다. 반면에 주창자의 역할은 주민의 선호와 이익을 반영하기 위한 특정예산에 대한 지지와 주창을 의미하는 것으로 증액율과 증액건수 및 증액규모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호자로서의 역할은 세입보다는 세출의 삭감에 집중되어 나타나며 삭감이 용이한 경상비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고 주창자의 역할은 주민 현시성이 높은 토목사업과 사회복지 지출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한편 의회의 예산심의 전략에 있어서 전년대비 요구율보다는 예산의 성격이 주요한 고려대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천시 문화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만화산업을 중심으로

        박광국(Park Kwang-K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05 지방정부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현재 국토균형 발전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클러스터 발전전략을 부천시 문화산업, 특히 만화산업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클러스터 발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틀을 설정하고 공무원과 부천 소재 입주업체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투입인프라 부문에서는 금융인프라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천시 만화클러스터의 물적 인프라 형성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은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산 및 유통인프라 부문에서는 유통 및 마케팅 부분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기획 및 개발분야로 나타났다. 지방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은 시장의 만화산업 추진의지 및 만화산업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시 공무원의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산ㆍ관ㆍ학 연계시스템 강화를 위한 부천시 차원의 정책적 의지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4년제 지역대학과의 연계는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부천시는 문화수위도시임에도 불구하고 MUD Net 클러스터의 관점에서 연계시작 단계에 머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으로 부천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해야 하며 시 주도가 아닌 거버넌스에 바탕을 둔 다양한 주체들간의 협력행정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cluster development strategy highlighted as a way of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artoon indust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ome important variables were drawn to set up an analytical framework. An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employees working on the companies located at Bucheon City. The analytic results showed some interesting findings. First, in terms of input side, while the financial infrastructure was the most vulnerable, both physical infrastructure and assista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were working well, relative to the other governments. Second, when it comes to bo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area were the most vulnerable, followed by planning and development area. Finally, in terms of policy assistance 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while both mayor's will and policy priority were high, the expertise of government officials was lower. Taken all the things together, despite the brand of cultural prime city of Bucheon City, it is still languishing on the beginning of linkage from the perspective of MUD Net clust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ffectively, it is more desirable to adopt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approach rather than the city-driven bureaucratic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미시간주의 빈병회수법안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박광국 ( Park Kwang - Kook ) 한국행정학회 1992 韓國行政學報 Vol.26 No.3

        늘어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급속히 고갈되어가는 천연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미시간주는 1978년말에 모든 청량음료용 및 맥주용 캔이나 비 회수용병에 대해 일정액의 예치금을 부과하는 일명 `bottle bill`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법안의 집행을 둘러싸고 찬성론자들은 쓰레기 감소와 자원보존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주장하는 반면에 반대론자들은 입법시 예기치 못했던 부정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반박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이 법이 가져올 실제적 비용과 편익을 보다 과학적으로 추정하려고 시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비용과 편익의 크기는 할인율에 대한 가정이 달라짐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도 동시에 해보았다. 그러나 상이한 할인율(5%∼15%)의 적용에 관계없이 이 빈병회수법안은 미시간주에 상당한 편익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 결과는 역시 쓰레기 증가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이의 해결을 위해 현재 시행중인 빈병회수제도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광국 ( Park Kwang Kook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3

        본 논문은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십을 조절변수로 상정하여 이루어졌다. 즉, 조직문화의 각 유형과 그에 상응하는 리더십 간에 매칭을 이룰 때 조직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조직업무의 특성과 조직 연령에 따라 지배적 조직문화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특정한 조직문화가 지배적 문화로 나타날 때 이에 상응하는 리더십 유형이 존재하는지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청과 유관기관인 한국임업진흥원의 정책기획부서와 사업집행부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위계문화와 지시적 리더십, 집단문화와 참여적 리더십이 상호작용할 때는 조직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반면 합리문화와 성취지향적 리더십, 발전문화와 지원적 리더십의 상호작용은 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문화가 강한 곳에는 지시적 리더십이 일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문화들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끝으로, 조직업무의 특성과 조직 연령 면에서 조직 간 문화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ed by the leadership variable.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 survey of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Promotion Institute. The hypothesis that the match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tested. Analytic results show that the matching hierarchical culture and directive leadership makes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is the case for the matching group culture and participatory leadership. In addition to this finding, the following results are highlighted. First, strong directive leadership can be identified in strong hierarchical culture, but the other leadership styles cannot be matched with corresponding organizational cultures. Second,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age.

      • KCI등재

        한국문화산업의 정책방향

        박광국(Park Kwang-K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08 문화산업연구 Vol.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ur major research questions. Firs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e industry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Second it investigates the rationale for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to the cultural industry by reviewing two theories called cultural imperialism and cultural network. Third, it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industry in Korea and analyses the reason why culture industry in Korea is not full in blossom. Finally, it concludes by suggesting the alternatives for future direction of culture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ur major research questions. Firs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e industry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Second it investigates the rationale for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to the cultural industry by reviewing two theories called cultural imperialism and cultural network. Third, it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industry in Korea and analyses the reason why culture industry in Korea is not full in blossom. Finally, it concludes by suggesting the alternatives for future direction of culture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문화정책 집행사례 분석

        박광국(Park Kwang-Kook),도운섭(Do Un-Sup),주효진(Joo Hyo-Jin) 서울행정학회 200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달구벌축제의 집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반적 조건이 시기적으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달구벌축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집행변수들과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시기(연도)가 지날수록 정책목표의 구체화 정도, 최고정책결정자의 관심, 상위관료의 업무에 대한 전문성 등이 점진적으로 꾸준히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서간의 업무협조와 문화예술인들의 의사결정 참여 정도는 약간 떨어졌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달구벌축제 프로그램의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 사업추진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문화이론, 목표, 전략적 수단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무원간의 인식도 차이분석

        박광국(Park Kwang-Kook) 서울행정학회 200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5 No.3

        The paper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nvestigates the dominant model 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on in Korea in terms of both the provider's and the receptionist's perspective. The second part analyzes to what extent do they differ in terms of the cognition level related to cultural purposes and strategic means. The third part explores which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to guide the cultural policy in Korea among the U.S., French, Sweden model.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among central, regional,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both cultural purposes and strategic means.

      • KCI등재

        대전환의 시대, 차기 정부 조직개편의 방향과 과제

        박광국(Park, Kwang K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대전환의 시대에 차기 정부를 둘러싼 환경을 진단하고 조직개편을 할 때 중시해야 할 요인들을 조직구조적 요인과 비구조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역대 정부의 조직개편이 국민에 대한 반응성을 고려하지 않고보여주기식 조직개편을 단행함으로써 행정문제를 개선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점을 환기시켰다. 만약 조직개편이 이루어지더라도 반드시 조장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조직관리자에 의해 물리적 통합이 아닌 화학적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개편 시 반드시 조직행태, 조직문화, 디지털 기술의 접목과 같은 융합적 사고가 수반되어야 한다. 동시에 조직개편은 반드시 최고 주권자인 국민에 대한 책임성을 가지고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조직개편이 의도한 효과를 달성했는지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이 법・제도적으로 확립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both organizational structural factors and non organizational structural factors that should be emphasized when diagnosing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next government and reorganizing it. Literature review demonstrates tha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s of previous governments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responsiveness of the people and carried out the show-style reorganization, which resulted in exacerbating administrative problems rather than improving them. It was also emphasized that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should be based on chemical integration, not physical integration, which must be carried out by an organizational manager with facilitative leadership. For this, convergence thinking such as grafting of organizational behavi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digital technology must be accompanied by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since government re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sponsibility for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and institutional monitoringsystem to check whether the intended effect of reorganization has been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