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PMS의 이용방식, 조직학습 및조직성과간의 관계

        박경원(Park, Kyong-Won),반혜정(Ban, Hye-Jung)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제도와 BSC에 기반을 둔 PMS에 주목하여 목적적합한 이용방식의 역할과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성과관리의 도입이 조직성과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성과관리가 경영자의 PMS의 이용방식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학습이 조직성과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성과관리와 PMS의 이용방식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기관의 성과관리는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성과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관리가 관리자에게 목표와 운영의 초점을 제공하고, 성과증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조직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공공기관의 성과관리는 PMS의 진단적 이용방식과 상호작용적 이용방식의 활용을 증가시켰다. 성과정보의 진단적 이용은 통제 및 평가도구로 적절하며, 상호작용적 이용은 새로운 정책접근을 위한 탐색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PMS의 이용방식은 조직성과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S의 적극적인 이용은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PMS의 이용방식 중 상호작용적 이용방식은 조직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학습은 조직성과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공기관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성과정보의 진단적 이용과 상호작용적 이용이 적절히 선택될 수있어야 하며, 조직학습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one of empirical studies to provide evidence on the roles and effec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t a very generic level,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erformance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equences of various different ways in which performance information can be used, and whether the difference in a way of use affects causality of our research model and performance. There were few studies performed o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ly, we obser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erformance management on performance. Secondly, we fi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use of PMS. Thirdly, we find that using the PMS for diagnostic and interactive purposes has direct effect on performance. Fourthly, it was found out that while the diagnostic use of PM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 interactive use of P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t was shown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otal, these results suggests that manager of public sector organizations need to manage performance management efficiently. It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anagers’ proper choice for use of PMS and needs to utilize organizational learning well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환경 동기요인, 환경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 그리고 성과간의 관계

        박경원(Kyong-Won Park),이호(Ho Lee)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8 경영경제연구 Vol.40 No.1

        기업의 환경결정론이 큰 탄력을 받으면서, 문헌도 환경과 관련한 동기부여와 성과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업의 동기요인이 성과의 개선으로 전환되는 구체적인 관리과정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회계 문헌은 환경성과측정시스템(environment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과 같은 특정한 통제 메커니즘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아직은 환경 영역에서 성과를 측정한다는 것이 다양한 기술과 동기적인 저항 때문에 현실적으로 그리 간단하지는 않다. 본 연구는 환경적 맥락에서 이론적으로 의심스러운 성과측정시스템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의사결정과 통제목적을 위한 환경성과측정지표(environmental performance measures)의 이용이 기업의 환경에 대한 동기요인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조기업 132개로부터 수집한 자료의 분석결과는 가설화된 관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중심의 차별화 강도, 이해관계자-중심 및 윤리적인 동기 등은 각기 다른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EPMS에 대한 함의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과정에서 드러난 한계점을 기반으로 미래연구를 위한 몇몇 제언으로 마무리를 짓도록 한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n the role that environment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may play in translating companies’ environmental motivations into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a theoretical model was developed in which the us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measures for a variety of decision-making and control purposes acts as an intervening variable among expected competitive advantage, perceived stakeholders’ pressures and top management’s environmental commit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132 companies provide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ll of the three motivational factors(expected competitive advantage, perceived stakeholders’ pressures and top management’s environmental commitm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e of EPM for decision-making and control,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s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EPM use positively influences economic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study builds insights into the link between environmental motivations and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role played by environment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최고경영진의 특성이 성과측정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박경원(Park, Kyong Won),양동재(Yang Dong Jae)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5

        관리통제시스템이 얼마나 잘 작동할 것인가의 여부는 결국 성공적인 성과측정시스템(PMS)의 구축과 활용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MS의 두 가지 속성인 PMS의 이용과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의 역할을 검정한다. 특히 최고경영진이 PMS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특성을 독립변수로, PMS의 두 가지 속성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을 설정했다. 연구가설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1개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최고경영진의 특성과 PMS의 이용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행정가 출신의 경영자가 전문가 출신의 경영자보다 PMS를 진단적으로 더 많이 활용하며, 상호작용적으로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에 관해서는 경영행정가 출신의 경영자가 전문가 출신의 경영자보다 더 많이 재무적 측정지표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행정가 출신의 경영자가 고전적인 top-down 통제에 집중하면서, 조직을 관리하기 위해 유연하게 적응하기 위한 방식으로서의 통제시스템 이용을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고경영진의 특성은 정보의 근원으로서 PMS의 성공적인 구축과 이용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서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depends on how wel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PMS) are designed and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s of two attributes of PMS, namely use of PMS and the diversity of measures. Especially, in this study investigate how top management use PMS.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of four factors; top management characteristic, use of PMS, diversity of measures, and managerial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firms. The survey data of 211 firms were collected and integrated as the empirical base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n regard to the use of PMS, administrative top managemen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diagnostic use of PMS than professional top management. In addition, administrative top managemen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teractive use of PMS than professional top management. Secondly, In regard to the diversity of measures, administrative top management was associated with higher financial measures than professional top management. Thirdly, two attributes of PMS wer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op management characteristic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successful design and use of PMS.

      • KCI등재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와 성과측정시스템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박경원(Park, Kyong W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2 국제회계연구 Vol.0 No.46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에 따른 성과측정시스템(PMS) 이용방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PMS 이용방식이 활동의 특징인 성과관리의 수준, 즉 목표를 명확하게 명시할 수 있고, 바람직한 성과측정지표를 선택할 수 있고, 관리자가 업무 프로세스를 잘 알고 통제하는 정도에 달려 있다고 가설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의 압력이 PMS의 이용방식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한다. 또한 공공부문의 PMS 이용방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으로부터 수집한 166개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관리의 수준과 PMS 이용방식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의 압력과 PMS 이용방식간에도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MS의 이용방식은 조직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성과관리의 수준이 높을 때에는 덜 심각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과관리와 외부의 압력은 조직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관리는 관리자에게 공공부문의 목표와 운영의 초점을 제공하여 조직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PMS) in the public sector. I hypothesize that the way in which these systems are being used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ies -particularly on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is a broad construct encompassing clarity of goals, the ability to select undistorted performance metrics, and the degree to which managers know and control the transformation process. I examine the influence of external(political or stakeholder) pressure on PMS use. I also expect that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at use their PMS in way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outperform those that fail to achieve such fit. I test hypotheses using survey data from 166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 fi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use of PMS. I obser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pressure and use of PMS(except incentive use). Using the PMS for operational, incentive and exploratory purposes positively influe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is effect is less severe when the level of performance management is high. I also find that performance management and external pressure tends to enhance performance.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use of PMS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is not significant.

      • KCI등재

        상황변수,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박경원(Park Kyong-W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경영전략과 환경 불확실성이 다양한 성과측정지표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핵심은 재무적 측정지표와 비재무적 측정지표간의 구별에 있다. 일반적으로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불확실한 미래 또는 통제불능 상황에서 다양한 수준의 정보가 가치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영전략과 환경 불확실성은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실증분석결과, 상황변수와 관련하여 공격형 전략과 환경 불확실성은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 즉 재무적⋅비재무적 측정지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다양한 성과측정지표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정보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어형 전략은 기업내에서 유사성과 안정성을 위해 재무적 측정지표를 강조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재무적⋅비재무적 측정지표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전략과 상관없이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적⋅비재무적 측정지표의 이용을 확대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성과의 실재를 지지하고 있다. 경영성과에 대한 추가적인 함의를 얻기 위한 성과측정지표 다양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경영전략과 환경 불확실성에 따라 성과측정지표를 차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경영성과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총괄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물은 상황변수와 PMS의 정렬 관점보다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rategy,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as well as their separate and joint effects on performance. A key part of our investigation is the distinction betwee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In general, the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s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the users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addition, broad sets of information are able to have the value for several decisions under uncertain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test the effects of business strateg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Both prospector strateg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were statistical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However in case of defender strategy,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diversity of financial measures and diversity of nonfinancial measures. There is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regardless of strategy. These results support the existence of performance benefits from increasing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In addition, the test for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additional test indicated that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uld be possible when differential level of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s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business strateg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In total, these results support the view that diversity of performance measure benefits performance as we find that, regardless of strategy, firms with more extensiv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have higher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의 회계투명성 제고에 관한 연구

        박경원(Park, Kyong Won),반혜정(Ban, Hye J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2

        우리 기업의 낮은 회계투명성이 국가경쟁력의 저해요인으로 인식되면서 국가와 기업은 투명성 제고를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기업회계의 선진화를 위해 감독당국에 의한 회계감리 실시, 회계위반관련 집단소송 도입, 감사인 독립성 강화 및 감사인의무교체제 도입 등 회계감독을 강화하고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지난 2011년 미국이나 일본 등의 국가보다 국제회계기준(IFRS)을 상장회사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게 된 이유도 기업의 회계를 투명하게 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회계투명성이 낮은 국가라는 인식을 불식시키면서 회계부문의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의 회계투명성은 여전히 국가경쟁력 수준보다 낮게 평가되면서 국제적 저평가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회계투명성의 퇴보가 감사인의 독립성 약화와 기업의 회계수준 저하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사외이사와 감사위원회의 형식적인 운영 및 IFRS 도입 이후에도 재무제표 작성에 대한 책임의식 부족 등이 회계투명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본 사례는 지난해 ‘2012 투명경영대상’을 수상한 OCI의 회계투명성 제고 노력을 소개하고, 회계투명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이해관계자와의 신뢰회복을 위해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의 제공, 지속적인 투명경영 및 윤리경영의 추진,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기업은 회계투명성 제고가 비용이 아닌 투자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내부 보고 및 회계관리 노력을 강화함으로써 회계투명성을 확보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줄일 뿐만아니라 코리아 프리미엄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A level of accounting transparency of Korean firms is recognized as a hindrance fact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ough there have been many initiatives to improve accounting systems and auditing practices(i.e. audit review of supervisory authorities, introduction of class action concerning stock, and enhancing system of external auditor independence) since the IMF crisis in 1997, the practices are not still perceived to be satisfactory. The companies also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IFRS) and the listed companies of Korea should adopt the K-IFRS as accounting principles from 2011. Korea is not rated as a transparent country in accounting. But adopting K-IFRS will boost the country’s transparency in accounting and will be able to improve the Korea Discount. This case study introduced the accounting and operating status of OCI and suggests the ways of enhancing accounting transparency.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companies mus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ull disclosure that result in trust improvement with interesting group. Companies also must promote transparent and ethical management and strive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oint of view that the enhancing accounting transparency of companies is a investment, not an expense. Companies will be able to generate Korea Premium by ensur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y through internal control and accounting practices.

      • KCI등재

        공공기관의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

        박경원(Kyong-Won Park),이호(Ho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17 관리회계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성과측정시스템(PMS)의 이용에 대해 조사한다. 본 연구는 PMS가 이용되는 방식에 따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과는 성과관리의 효율성에 달려 있다고 가정한다. 성과관리의 효율성은 목표의 명확성, 왜곡되지 않은 성과 메트릭스의 선택 능력, 그리고 관리자가 업무 프로세스를 인지하고 통제하는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이 그들의 활동특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PMS를 이용하는 경우, 그러한 적합성을 달성하지 못한 기관보다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으로부터 회수한 95개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과관리의 효율성과 성과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명하고 측정가능한 목표가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문헌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PMS의 탐색적 이용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성과관리 효율성의 수준과 무관하게 나타났다. PMS의 탐색적 이용이 전략을 전달하고, 의사소통 과정에서 목적에 대한 애매모호성과 혼란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PMS의 인센티브-지향적 이용은 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에서 PMS의 도입 효과는 성과관리의 효율성과 시스템을 관리자가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달려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와 공공정책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PMS in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is one of empirical studies to provide evidence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PM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study provide some interesting insights into the functioning of these organizations. This study hypothesize that the way in which these systems are being used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se performance effects depend on contractibility. This study expect that public sector that use their PMS in way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outperform those that fail to achieve such fit.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obser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contractibil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find that an exploratory use of the PMS tends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ositive effect appears to exist independent of the level of contractibility. But our findings didn’t indicate that contractibi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PMS and performance. We also find that using the PMS for incentive purposes has no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PMS in public sector thus depends both on contractibility and on how the system is being used by managers. This study seems to have some interesting implications, both for practice and for public policy.

      • KCI등재

        녹색혁신의 결정요인, 녹색혁신 및 성과간의 관계

        박경원(Kyong-won Park),조우위신(Yuxin Zou),리앙 쉬에화(Xuehua Liang) 한국회계정보학회 2024 회계정보연구 Vol.42 No.2

        [연구목적] 최근 기업은 저탄소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환경친화적인 비즈니스 활동에 적응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대내외적인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기업은 녹색혁신 및 녹색공급사슬관리를 실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녹색혁신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녹색혁신의 결정요인과 녹색혁신이 환경성과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최종분석에 96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PLS-SEM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환경윤리와 녹색제품에 대한 시장의 수요는 녹색제품혁신과 녹색프로세스혁신 모두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관계자의 관심은 녹색프로세스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경영진의 몰입은 녹색제품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제품혁신은 환경성과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녹색프로세스혁신은 조직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성과는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성과의 개선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환경효율성의 ‘Win-Win’ 패러다임을 뒷받침한다. [연구의 시사점] 녹색혁신은 기업의 환경윤리, 녹색제품에 대한 시장의 수요, 이해관계자의 관심 및 경영진의 몰입에 의해 주도된다. 녹색혁신과 같은 환경비즈니스 실천에 참여하는 것이 환경성과 및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이 녹색혁신을 성공적으로 채택하고 실행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을 고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Companies are facing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to accelerate the paradigm shift centered on low carbon and adapt and imple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business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trend, it is becoming important for companies to actively promote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such as green innovation.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odel that verifies the determinants supporting green innovation and the impact of green innovation on performance. [Methodology]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manufacturing companies to verify this. 96 sampl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PLS-SEM. [Findings] It was found that corporate environmental ethics and market demand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both green product innovation and green process innovation. It was found that stakeholder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green process innovation, and management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green product innovation. It was found that green product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upports the ‘Win-Win’ paradigm of environmental efficiency that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lications] Green innovation is driven by corporate environmental ethics, market demand for green products, stakeholder interest, and management commitment. It suggests that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business practices such as green innovation can help improve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