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시비용과 노동조합이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기업의 자발적 공시

        박경영 ( Kyung Young Park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2

        본 논문은 공시비용과 노동조합이 존재할 때 경제상황에 대한 정보를 소유한 기업의 CEO의 정보공개 전략이 투자자에게만 정보공개 여부를 드러내는 사적 정보공개와 투자자와 노동조합 모두에게 드러내는 공적 정보공개에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기업의 CEO가 투자자보다 노동조합을 아주 많이 신경쓸 때는 공적 정보공개채널에서 그 밖에 경우에는 사적 정보공개채널에서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된다. 또한 투자자와 노동조합은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되는 정보공개채널에서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으며, 기업의 CEO가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 정보공개채널은 매개변수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difference in the CEO’s strategies in the public disclosure and private disclosure when the disclosure cost and labor union exist. As a result, the public disclosure channel can reveal more information in case that the CEO cares about labor union more than the investor. In the other case the private disclosure channel can reveal the more information. Also, the investor and labor union obtain the higher expected payoffs in the channel which reveal more information. But, the channel in which the CEO obtains the higher expected payoffs depends on the parameter values.

      • KCI등재

        전문지식 수준에 대한 명성효과와 기업의 자발적 공시

        박경영(Kyung-Young Park)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한국경제연구 Vol.33 No.2

        본 논문은 명성효과가 존재할 때 최적투자액에 대한 정보를 소유한 기업의 CEO의 정보공개 전략이 사적 정보공개일 경우와 공적 정보공개일 경우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항상 공적 정보공개모형에서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된다. 이에 따라 투자자는 공적 정보공개 채널에서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다. 한편, 기업의 CEO가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 정보공개 채널은 명성효과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명성효과가 큰 경우에는 최적투자액을 관찰하지 못한 기업의 CEO와 관찰한 기업의 CEO가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 정보공개 채널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기업의 CEP가 최적투자액을 관찰하기 전에는 두 정보공개 채널에 대해 무차별하다. 한편, 명성효과가 작은 경우에는 최적투자액을 관찰하지 못한 기업의 CEO는 사적 정보공개 채널에서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 반면, 관찰한 기업의 CEO는 매개변수들의 값들에 따라 다른 정보공개 채널에서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다. 그러나 기업의 CEO가 최적투자액을 관찰하기 전에는 사적 정보공개 채널에서 더 높은 기대보수를 얻는다.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ffect of reputation on the CEO`s disclosure strategies. It is shown that public disclosure channel can reveal always mor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investor prefers public disclosure channel. Meanwhile the disclosure channel which the CEO prefers depends on the reputation effect. When the reputation effect is large, there is the discordance between channels that the informed CEO and the uniformed CEO prefer. However before the CEO obtains the optimal investment level, he is indifferent. When this effect is small, the uninformed CEO prefers the private disclosure channel but the channel that the informed CEO prefer depends on parameter values. However, the channel that the CEO prefers before he obtains the optimal investment level is private disclosure channel.

      • KCI등재

        최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설계 : 게임 이론적 접근

        박경영(Kyung-Young Park),김성태(Sung Tai Kim),임병인(Byung In Lim) 한국재정학회 2015 재정학연구 Vol.8 No.4

        본 논문은 게임 이론을 이용해서 생계급여와 자활사업에 대한 투자가 근로능력이 있는 조건부 수급대상자의 자활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최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설계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주요 분석 결과와 그에 근거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가 기초생활보장지원 예산을 전부 생계급여액으로 설정하는 경우 조건부수급자들이 최소한의 노력만 기울이면서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조건부수급대상자의 자활노력 수준이 생계급여액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고 있음을 보였다. 이 결과에서 생산적 복지를 달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정부가 주어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사업예산을 생계급여액과 자활사업 투자액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는 매개변수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개변수들의 적절한 조합이 이루어질 경우 정부와 조건부수급대상자 모두의 후생이 증가하는 파레토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정책적으로 시사하는바는 정부가 생산적 복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사업예산을 생활급여액과 자활사업 투자액으로 적절하게 배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if both a subsidy for a minimum living standard and governmental budget for the self-supporting program have an impact on the self-supporting effort of a representative conditional beneficiary who has an ability to work unde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using a game theoretic approach. We try to design an optimal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come from main findings as follows: first, our basic model in which a government allocates total budgets for basic living security only among subsidies for the minimum living costs shows that he makes the least effort and takes part in the program together. It means that the more the subsidy a subsistence beneficiaries receive, the less the effort to get out of the poverty situation they make. It implies that it is not easy to achieve the productive welfare. Second, according to the extended model, there exist plausible combinations of several parameters to raise the efficiency when the government reapportion the budget into the subsidy for the minimum living and the program. It implies that there can be Pareto-improvement to increase the welfare of two parties, i.e., the government and a conditional beneficiary. Our extended model shows that a productive welfare system can be attained under an optimal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cheme in our model.

      • KCI등재

        농촌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솔비 ( Sol-bi Park ),박경영 ( Kyoung-young Park ),김현준 ( Hyeon-june Kim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unctional disability for the elderly in rural Korea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or 76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rural area and above 65 years. We assessed cognitive function, functional disability, depression using LACLS, WHODAS 2.0, SGDS-K.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pearman’s correlation among LACLS, SGDS-K, WHODAS 2.0, age, educational level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find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WHODAS 2.0 total score was 50.59, summary score was 9.94 and functional disabili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is in the 70th percentile. The highest level of disability occurred in areas related to ‘life activities (household)’,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he lowest level of disability occured in areas of ‘self-care’, ‘getting along with people’. Functional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r=.398), cognitive function (r=-.547), depression (r=-.563) but not educational levels (r=-.215). Finally, we confirmed that depression (β=.371), cognitive function (β=-.263), widowed status (β=.303), age (β=.272), non-participation of community program (β=.165) was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52.80 %.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important factors of functional disability.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ese factors when we developed program related to health for the elderly (aged > 65 years) in rural Korea. Further, we need to standardize WHODAS 2.0 in order to enhance its applicability in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의 적용

        박경영(Kyoung-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라쉬분석을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SchoolFunctionAssessment)도구의 구성타당도, 척도 적합성을 검증함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국내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 충청 지역의 만 7세~12세(초등학교 1학년~6학년)인 98명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보호자 및 담임·특수교사 또는 작업치료사와 직접 면담 또는 전화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라쉬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모형(unidimensionality)에 대한 적합통계치(fitstatistics)를 제시하였다. 또한, 라쉬분석의 평정척도모형(ratingscalemodel)을 이용하여 평정척도의 적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라쉬분석 결과각 25개 하위척도 내 총 328개 항목 중 단일모형 적합통계치가 부적합한 항목은 PartII 과제지원 영역에서 총 4개였고, PartIII 신체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8개, 인지/행동적 과제 영역에서 부적합 항목은 14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모든 평가 하위영역의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판 학교기능평가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평정척도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점 평정척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부적합 항목이 발견되어 앞으로 국내 타당도 확립과 준거제시를 위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SFA) for Korean Version using Rasch analysi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98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oul, Kyoung-Ki, Chung-cheung.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unidimensionality and rating scale model. The 4 items out of SFA Part II were found to be misfts. The 18 items out of physical tasks, the 14 items out of cognitive/behavioral tasks in Part III were found to be misfit. All rating scale in SFA was appropriat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validity and criterion cut-off score for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편향되지 않은 조언자의 신호로써의 거짓 조언

        박경영 ( Kyung Young Park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1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자가 조언자의 편향성에 대해 확실하게 알지 못할 때, 편향되지 않은 조언자가 자신의 편향성을 신호하기 위해 편향된 조언자의 행동과 다르게 행동할 유인을 갖는다. 이때 편향된 조언자가 참된 조언을 하는 상황에서는 편향되지 않은 조언자가 자신의 편향성을 드러내기 위해 극단적으로 거짓 조언의 전략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편향되지 않은 조언 자가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서만 자신의 편향성에 대해서 신호를 해야 하기 때문 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편향되지 않은 조언자는 미래를 매우 신경 쓰고 편향된 조언자는 현재를 매우 신경 쓸 때 그리고 편향된 조언자의 편향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편향되지 않은 조언자는 항상 거짓 조언을 하며 편향된 조언 자는 항상 참된 조언을 하는 균형이 존재함을 보인다. 이 결과는 김지혜 외(2013) 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균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여러 가지 가능한 기타 균형들을 살펴본다. When the decision maker is uncertain about the advisor’s type, an unbiased advisor has the incentive to act differently from a biased advisor in order to signal his type. If the biased advisor tells the truth, then the unbiased advisor gives false advice to the decision maker. This is because the unbiased advisor uses only one type of message to signal his type. Specifically, I show that there exists an equilibrium in which the unbiased advisor always lies but the biased always tells the truth, if the unbiased advisor cares about the future but the biased advisor the present and the bias of the biased advisor is small enough. This result is new compared to Kim et al. (2013). Also, I find several other equilibria.

      • KCI등재

        공시비용과 독점적 정보 공개비용

        박경영(Kyung-Young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본 논문은 공시비용이 존재하고 또한 잠재적 진입기업의 재화시장으로의 진입여부에 따라 독점이윤이 상실되는 독점적 정보 공개비용이 발생할 때 최적투자액에 대한 정보를 소유한 기업의 CEO의 정보공개 전략이 사적 정보공개와 공적 정보공개에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한다. 공시비용은 기업의 CEO가 정보를 공개할 때 발생하며 독점적 정보 공개비용은 잠재적 진입기업이 재화시장에 진입할 때 발생한다. 분석결과 기업의 CEO가 특정한 조건에서 공적 정보공개채널을 통하여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특히 공시비용이 매우 클 때 사적 정보공개채널을 통해서는 어떠한 정보도 공개할 수 없는 반면, 공적 정보공개채널을 통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한편 진입비용이 큰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CEO는 사적 정보공개채널에서 더 큰 기대보수를 얻는다. 하지만 진입비용이 작은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CEO는 공적 정보공개채널에서 더 큰 기대보수를 얻는다. 그리고 투자자와 잠재적 진입기업은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되는 채널에서 더 큰 기대보수를 얻는다. I analyze the CEO’s disclosure strategies when there are disclosure cost and proprietary cost. I show that the public disclosure channel can reveal more information for some parameter values. In particular, when the disclosure cost is very large, no information can be disclosed in the private disclosure channel, but some useful information can be disclosed in the public disclosure channel. When the entrant has high entry costs, the CEO can obtain the higher ex-ante expected payoff in the private disclosure chann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rant has low entry costs, the CEO can obtain the higher ex-ante expected payoff in the public disclosure channel. And the investor and the entrant can obtain the higher ex-ante expected payoff in the more informative channel.

      • KCI등재

        기업의 자발적 공시에 관한 의사소통게임의 이론적 분석

        박경영(Kyung-Young Park),김용관(Yong-Gwan Kim),김민성(Minseong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3

        본 논문은 기업의 자발적 공시에 관한 여러 가지 의사소통게임모형을 다룬다. 기업의 공정 정보공개는 사업계획서 발행이라는 일방 의사소통으로, 사적 정보공개는 대면접촉이라는 쌍방 의사소통으로 모형화하여 분석한다. 이때 사업계획서 발행모형과 대면접촉모형의 균형에서 나타나는 자원배분이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CEO-투자자 간 대면접촉 후 기업의 CEO가 공식적인 사업계획서를 발행하는 이중 정보공개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더 많은 기업의 정보가 공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CEO와 투자자 모두의 사전적 기대보수가 증가하는 파레토 개선이 이루어진다. 이 파레토 개선은 사적 정보공개가 결합통제복권으로서의 역할을 통하여 보다 나은 균형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사적 정보공개에 앞서서 공적 정보공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균형에서 파레토 개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We analyze several communication game models of the finn’s voluntary disclosure. We model public disclosure as a one-sided communication and private disclosure as a rna-sided communication. It is shown that two single disclosure models, ether public disclosure or private disclosure, lead to the same equilibrium allo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dual disclosure model, in which private disclosure is followed by public disclosure, private disclosure plays the role of jointly controlled lottery and results in a better communication and Pareto improvement. However, this {areto improvement does not take place in equilibrium, if public disclosure precedes private disclosure.

      • 복지용구의 사용 만족도와 필요도에 관한 연구

        박경영 ( Kyoung Young Park ),김민선 ( Min Seon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에서 노인들의 복지용구 사용현황과 사용에 관한 만족도, 필요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2002년 미국작업치료협회(AOTA)의 작업치료 영역과 시행체계 (OT framework: domain and process)에서 정의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ADL)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의 분류영역에 따라 42개의 복지용구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009년 9월 3일부터 9월 20일까지 강원권 영동 북부지역에 거주하시는 65세 이상 노인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 용구와 사용에 대한 만족도, 그 외에 필요로 하는 복지용구에 대한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설문 응답자 111명 중 복지용구를 사용하는 노인은 80.2%로 나타났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에 대한 만족도는 66.7%, 지금 사용하는 복지용구 외에 다른 복지용구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78.4%로 나타났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복지용구는 틀니(39.6%), 확대경(36.0%), 허리보호대(16.2%), 지팡이(14.4%) 순으로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는 손목혈압계가 6.3%로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일상생활활동별 복지용구는 건강관리를 위한 손목혈압계 (24.3%)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전손잡이와 확대경(18.9%), 미끄럼방지매트, 실버카, 허리보호대, 돋보기 발톱깎이(17.1%) 순으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65세 이상 노인 분들은 현재 복지용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하는 것 외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복지용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주로 안전, 건강관리, 식사, 이동성과 연관된 것이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the need of assistive devices in everyday life of the elderly. Method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111 subjects over 65 years old that live in northern Yeongdong area of Gangwon-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2 items selected in ADL/IADL areas of Occupational Therapy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OTA, 2002) and we investigate whether they have used assistive devices, satisfied and needed assistive devices. Results: 80.2% of the subjects used assistive devices and 66.7% of an assistive devices user was satisfied. But 78.4% of them need another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o current assistive devices. The most used assistive devices for ADL was denture(39.6%) followed by magnifier(36.0%), back supports(16.2%), and cane(14.4%). For IAD, sphygmomanometer was 6.3%. The most needed assistive devices were sphygmomanometer(24.3%) for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Safety grip and magnifier(18.9%), non-slip mat, silver car, back supports, and toe-nail scissors with magnifier(17.1%) in daily life were needed.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most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have used or are using assistive devices, but they need another assistive devices for safety, health management, personal device for poor physical condition and mo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