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플린트시의 납 수돗물 사례와 시사점

        민정은 한국수자원공사 2016 저널 물 정책·경제 Vol.27 No.-

        2016년 1월 미국 미시간주 플린트시의 수돗물에 대한 심각한 오염 사태가 사회적, 정치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사건이 발생한 플린트시는 인구 10만 규모의 공업도시로 빈곤층 비율이 41.6%로 경제적으로 어려워 시의 재정문제가 심각한 도시이다. 플린트시의 수질오염의 원인은 2014년 비용절감을 위해 식수원을 플린트 강으로 바꾸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물맛이 이상하거나 몸에 두드러기가 났다는 시민들의 제보가 계속되었고 조사 결과 5세 이하 아동의 혈중 납 수치가 1년만에 2배 가까이 증가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오염된 강물을 노후화된 수도관으로 끌어다 쓰면서 기준치 이상의 납 성분이 검출된 것이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미국 플린트시의 수돗물 납 노출의 발생 원인과 경위, 그에 따른 시의 대응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우리나라의 건강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플린트시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강의 설계 방안 연구

        민정호(Min, Jung-Ho)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1 No.-

        ‘교양’ 과정에서 글쓰기를 배운 유학생이라도 ‘전공’ 과정에서의 학술적 글쓰기는 어렵다. ‘교양’ 과정에서 배우는 ‘학술 담화규약’이 텍스트의 ‘형식’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텍스트의 ‘내용’에서는 필자의 ‘비판적 리터러시’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 비판적 리터러시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의 설계 방안을 밝혔는데, ‘읽기 내용’은 유학생에게 친숙하고, 학습 욕구가 강한 ‘한류’로, ‘읽기 자료’는 한류 관련 ‘신문 기사’로 선정했다. 이때 ‘읽기 방법’으로 ‘CDA’를 적용했고, ‘강의’는 읽기와 쓰기가 융합된 학술적 과제의 특징을 고려해서 ‘신문 기사를 읽고 쓰기’, ‘발표문을 읽고 쓰기’라는 ‘읽기․쓰기’가 통합되는 방향으로 구성했다. 또한 15주차 강의내용과 1차시 수업 예시를 제시하고, 이 강의의 교육적 함의를 밝혔다. 이 강의 설계가 교양과 전공을 연결해서 유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를 강화시키고, 전공 과정에서 유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premised on that even for foreign students, who learn writing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academic writing in the Major Course is difficult, since academic discourse convention, they learn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has positive effect on the ‘forms’ of text, whereas the ‘contents’ of text require ‘Critical Literacy’ of writer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related to this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suggests a lecture plan, which uses ‘Hallyu’ that is familiar to foreign students and arouses a strong desire for learning, for ‘reading’ and Hallyu-related newspaper articles ‘as reading materials’. This time, ‘CDA’ is applied as ‘a way of reading’ and in the light of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ask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a ‘lecture’ is designed to integrate ‘reading and writing’, like ‘writing after reading newspaper articles’ and ‘writing after reading announcements’. Moreover, this study illustrates the contents of the fifth week lecture and the session 1 instruction by example and defines 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lecture. It is expected that if this lecture is applied for foreign students, it will help in reinforcing critical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and getting over the difficulty of writing in the major course.

      • KCI등재

        박사 과정에서 WAW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탐색 -박사 유학생의 ‘학술 논문’ 완성을 위한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민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In this study, the WAW approach is considered to have educational appropriateness in the light of situations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in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Especially, giving consideration to when foreign doctoral students should write ‘Academic Paper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Academic Papers instruction, which is helpful to this situation and apply WAW to this instruction. The early part of the instruction is to read papers of domestic researchers regarding writing and conduct reflective tasks and heuristics. The later part of the instruction is to write Academic Papers, which mirror ‘collaborative writing’. For this instruction, reflective assignments and assay design reports are midterm tasks, and final tasks are to submit Academic Papers revision plans. This instruction has significance by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WAW applicability to the doctoral training course and the actu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ails to propose the exquisiteness of the paper list and context-intens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detail. Nevertheless, it is anticipated that relevant further studies will help a learning transfer from foreign doctoral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experiences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to practical writing. 본 연구는 WAW 접근법이 학술 담화공동체에서 박사 유학생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교육적 적합성을 갖는다고 판단했다. ‘학술 논문’을 써야만 하는 박사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을 고려해서, 이때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 논문 수업을 WAW 접근법으로 설계했다. 강의 초반부에는 글쓰기와 쓰기 교육 분야의 논문을 읽고, 반성적 과제와 발견학습을 진행한다. 강의 후반부에는 협력적 글쓰기를 통해서 학위논문의 주제로 학술 논문 쓰기를 한다. 중간과제는 반성적 과제를 정리한 성찰 노트와 학술 논문 설계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이고, 기말과제는 학술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박사 교육과정에 WAW 적용 가능성과 실제 수업 설계 모형을 자세하게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논문 목록의 정교함, 맥락 집약적인 교수⋅학습 전략 등을 자세하게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서 박사 유학생이 학술적 리터러시를 확보하고 학술 논문을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박사 유학생의 학술논문 수업 설계 연구: 협력 활동과 선배 동료의 미니 강의를 중심으로

        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In this study, a journal article instruction was designed, in view of contexts of situations to write a journal article, which is a strange genre to foreign doctoral students.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based on capstone design, which considers theory and practice complexly. But in the light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low level of academic literacy, teem peers with the same instructor and the same thesis topic,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ith senior colleagues, who obtained a doctorate with the same thesis topic were applied. Especially, senior colleagues that got a doctorate with the same thesis topic and works in the academic world were asked to give ‘mini-lectures’ in each team to provide practical help in completing journal articles. This instruction aims to enhance foreign doctoral students’ understanding of journal articles and complete real journal articles. Also, foreign doctoral students can get qualification to write theses and above all, it is possible to expand journal articles when writing theses. The journal article instru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given that this is based on capstone design, which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in the light of ‘individuality of learners’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who are unfamiliar with journal articles, despite their high Korean language skill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instructional design would be helpful for foreign doctoral students to complete journal articles and theses successfully. 본 연구는 박사 유학생이 낯선 장르인 학술논문을 써야만 하는 상황 맥락을 고려해서 학술논문 수업을 설계했다. 수업을 설계하면서 이론과 실습이 복합적으로 고려되는 캡스톤 디자인을 반영했다. 다만 박사 유학생의 낮은 학술적 리터러시 상황을 고려해서 수업을 담당하는 강사, 논문 주제가 같은 팀 동료, 같은 논문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은 선배 동료 등과 협력 활동이 발생하도록 했다. 특히 같은 논문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고 학계에서 활동하는 선배 동료가 미니 강의를 팀별로 진행하도록 해서 학술논문 완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했다. 이 수업을 통해서 박사 유학생은 학술논문의 장르 인식을 갖고, 팀 동료들과 협력적 글쓰기로 학술논문을 완성한다. 박사 유학생은 이와 같은 학술논문의 경험을 확장해서 학위논문을 계획하고 쓸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술논문 수업은 높은 한국어 수준에도 불구하고 학술논문을 낯설어하는 박사 유학생의 학습자 개별성을 고려해서 이론과 실습이 종합된 캡스톤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이 학술논문 수업은 박사 유학생이 학술논문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고, 내재화된 학술논문 완성 경험을 통해 학위논문의 성공적인 완성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수요목 설계 - 학술적 리터러시에서의 저자성 강화를 중심으로

        민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3

        The writing subjects studied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only focuses on ‘theses’ writing; however, there are no subject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each discourse conventions. Based on this challenge, this study tried to design syllabus for academic writing subjects to enhance academic literac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rinciples of prerequisite subject formation and theoretic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y in relation to academic literacy. First, it designed academic writing subjects as prerequisite ones and then, it constructed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around the ‘authority’. In addition, it designed the ‘knowledge-skill-attitude’-centered syllabus by some states of authority: Discovery/Diagnosis, Representation, Strategy, Embodiment. This syllabus is expected to enhance the academic literacy of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above all, will help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adapt better to the academics.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강의가 ‘학위논문’에 맞춰져 있는 것을 비판하고, 대학원에 입학한 신입 유학생을 대상으로 ‘학술적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위한 학술적 글쓰기 강의를 설계했다. 이 강의를 설계하기 위해서 학술적 글쓰기에서‘저자성’의 특징을 학술적 리터러시와 연결해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수강의’로 설계했다.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 강의를‘저자성’의 ‘발견-표상-전략-구현’의 국면별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구성했는데, 이때대학원 유학생의 ‘지식’, ‘기능’, ‘태도’가 종합적으로 향상되도록 고려했다. 이 강의가 대학원 유학생이 많이 있는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서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