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제약 기업의 국제 특허 활동 고찰: 기업 규모별 비교를 중심으로

        문희진(Hee-Jin Mun),정재은(),정소원(),최순규() 한국경영사학회 2018 經營史學 Vol.85 No.-

        최근 국제화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한국 제약 기업의 국제 경영 활동을 자세히 파악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제약 기업에게 중요한 국제 경영 활동 중 하나는 해외에서 특허를 통한 혁신의 법적 보호이기에 본 연구는 한국 제약 기업들의 1985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제 특허 활동을 특허 출원의 양적 추세, 출원 국가, 출원 특허의 기술 파급도로 나누고 기업 규모에 따른 이들의 차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한국 제약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국제 특허 출원 수를 늘리고 있는데 중소제약사들은 자원 제약으로 인해 2000년 이후부터 PCT 출원 특허들 중 선별한 것들만 국제 심사 신청을 하고 있다. 둘째, 2007년 이후 중소제약사들의 국제 특허 출원은 자원 부족과 해외 시장에 대한 부족한 지식 때문에 미국, 일본, 유럽연합, 중국에 편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제약 기업들의 미국 등록 특허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제약 중견·대기업들은 미국 특허의 양적 팽창에선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질적으론 아직 미흡하며 중소제약사들은 한정된 자원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미국 특허 성과를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국 제약 기업의 국제 특허 활동의 이해에 있어 기업 규모에 따른 자원과 해외 시장에 대한 지식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연구는 한국 중소 제약기업들의 국제 특허 활동을 도울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re has been littl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of Korean pharmaceutical firms that have established a foothold for internationalization. Because the internationally legal protection of technical knowledge is important to internationalizing pharmaceutical firms, this study examines their international patenting according to firm size from 1985 to 2013. The results are threefold. First, Korean pharmaceutical firms have continuously increase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s. SMEs have not applied all PCT patents for international examination due to resource constraints after 2000. Second, SMEs’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s are concentrated in a few countries because of the lack of resources and knowledge about foreign markets. Finally, large firms have succeeded in securing quantitatively US patents but been relatively poor in creating influential ones. SMEs show the gradually increasing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US paten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need for policies to support effective international patenting of Korean pharmaceutical SMEs.

      • 소기업의 기술 혁신 장애물과 경영 혁신 간의 관계

        문희진(Hee Jin M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경영 혁신이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지만, 소기업은 여러 제약 때문에 이 혁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힘들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소기업은 기술 혁신 활동 중에 직면하는 방해 요소들인 혁신 관련 지식 부족, 낮은 혁신 동기, 시장 상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경영 혁신을 도입함을 주장한다. 2016 한국기업혁신조사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여 세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혁신 관련 지식 부족, 시장 상황의 어려움은 조직 구조와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영 혁신 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혁신 관련 지식 부족은 조직 구조 변화와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시장 상황의 어려움은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를 야기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While the impact of management innovation on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is growing, small firms may find it difficult to actively introduce this innovation due to their own constraints. Based on 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this study argues that small firms are likely to introduce management innovation to address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low motivation to innovate, and difficult market conditions that are faced d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Three results were fou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First,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and the difficulty of market conditions affect positively the introduc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which represents change i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way in which work is performed. Second, the lack of innovation-related knowledg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uctural change. Third, the difficulty of market situ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 in the way of doing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벤처기업 투자자 지분과 인수합병 의도 간의 관계

        문희진(Mun, Hee Jin)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4

        벤처기업은 투자금 회수 수단으로 인수합병을 주로 고려한다. 이에 벤처기업 인수합병의 선행 요인에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 인수 희망 기업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주요투자자에 초점을 맞추어 투자자의 목표와 기업 내·외부 환경에 관한 인식이 기업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벤처기업의 주요 투자자의 영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지분과 인수합병 의도 간의 관계 분석이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벤처기업 지분을 소유한 임직원 가족과 외부 투자기관은 서로 상이한 이익을 실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기업 인수합병 의도와 연관이있음을 가설로 제시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2019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가 활용되었다. 1,733개의법인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임직원 가족의 보유 지분율과 외부 투자 기관의 보유 지분율이 피인수합병 의도와 가지는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직원 가족의 보유 지분율과 피인수합병 의도 간에 부의 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외부 투자 기관의 보유 지분율과 피인수합병 의도 간에 정의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Venture firms tend to consider merger and acquisition(M&A) as one of exit strategies. As a result, antecedents of venture firms’ M&A have been studied, but most of them adhere to the viewpoint of acquirers. Focusing on the seller’s side, this study argues the need to investigate the shares of major investors indicating their influence on venture firms as their goals and perceptions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se firms can influence firm decision-making such as M&A. Based on this argu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ie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external investment institutions who own shares in a venture firm tend to pursue different profit, which is related to its M&A intention. The “2019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Using information on 1,733 sample firm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s of the two major investors and M&A intention of venture firm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wo findings. Firs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s of the familie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M&A inten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s of external investment institutions and M&A intention.

      • KCI등재

        경쟁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피드백 순서와 문제 해결 경험

        문희진(Hee Jin Mun),정예림(Yerim Chung),박경민(Kyung Min Park) 한국경영과학회 2013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suggests that as receiving feedback is moved back, the effectiveness of problem-solving increases. Utilizing data from innovation contests in which a number of problem solvers compete with each other, we answer questions such as whether the order of receiving first feedback affects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and how problem-solving experi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eedback order and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Empirical result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Kaggle, an online platform for innovation contests, showed that the order that contest participants receive the first feedback increases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more prior experience of contest participants accentuates the suggested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 of receiving the first feedback and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 KCI등재

        기업 규모와 국제 출원 특허의 특성 간의 관계 : 한국 제약 산업에 대한 실증 연구

        문희진(Hee Jin Mu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7 동서연구 Vol.29 No.3

        기업의 점진적인 국제화와 이를 위한 본국의 성장 기반을 강조하던 과거 연구들과 달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국제화 방안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첨단 기술 기업의 국제화 전략을 대변하는 국제 특허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국제 출원 특허의 특성과 기업 규모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제 출원 특허의 특성으로 특허 개발에 투입된 자원의 양, 특허 개발을 위한 협력, 그리고 특허가 이전 특허들에 비해 얼마나 새로운 지식을 내포하는지를 나타내는 급진성을 제시한다. 한국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국제 특허 개발에 투입된 자원이 많을수록 해당 특허는 중소기업에 의해 출원되었을 가능성이 작아졌다. 그리고 국제 특허가 협력을 통해 개발됐거나 자사의 이전 특허들보다 급진적일수록 이 특허는 중소기업에 의해 출원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e gradual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and their growth base in home countries for this internationalization, theoretical efforts have recently been made to demonstrate how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differs from that of large firms. By focusing on international patenting representing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high-tech firm,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ly filed patents and the size of applicant firms. This study suggests thre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patents: the amount of firm resources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atents, cooperation for this development, and their radicalness indicating how much new knowledge they have in relation to previous ones. Based o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ternational patents are less likely to be filed by SMEs as more resources are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se patents. It is also found that as international patents are more radical or if cooperation i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patents, they are more likely to be filed by SM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인터넷 포탈에 대한 자원 의존성이 온라인 쇼핑몰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박경민(Kyung Min Park),문희진(Hee Jin Mun),박선주(Sunju Park),정승화(Seungwha Chung),최정혜(Jeonghye Choi) 한국경영과학회 2014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9 No.2

        It is widely confirmed that online retailers can obtain crucial resources and greater growth potential by depending on the external web portal sites as it is explained in resource dependence theory. Nevertheless, recent studies show that the effect of dependence may not always be beneficial for firms and stress the importance of finding relevant contingent factors. In this study, we identify and suggest that firms’ age and niche width strategy, whether generalist or specialist, are contributing factors on moderat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dependence and firm growth. To test our hypotheses based on the theory, we have collected monthly web traffic data of online retailers and portals from March 2000 and July 2008. The empirical results lend support to our theory of the firm age having a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n web traffic dependence. Moreover, results verified that positive effect of depending on the portals may become greater if the online retailer is a specialist in terms of niche width.

      • KCI등재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기술사업화 연구 30년 (1990-2020)

        김명순(Myungsoon Kim),손수정(Soo J. Sohn),문희진(Hee Jin Mun),강민지(Minji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4

        2000년 「기술이전법」 제정은 R&D를 통한 혁신의 가치를 더욱 강조하는 전환적 계기가 되었다. 기존의 R&D는 투입을 통한 연구조직 및 인력 양성, 지식재산 창출 등의 관점이었다면, 이 시점 이후부터는 양성된 인력, 창출된 지식재산 시장으로의 확산, 나아가 양질의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성장이 관심 대상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시점별 변화의 틀이 문헌에서는 어떻게 반영되고 어떤 시사점을 갖는가, 또한 국내외 문헌의 주제는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기술사업화를 바라보는 국내와 해외의 시각, 인식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30년의 국내외 기술사업화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고, 키워드 및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시기별 기술사업화 연구 추이와 주요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990년대 이 후 국내외 기술사업화 연구 담론은 점차 풍부해지고 있으며, 시기별 연구 주제에 시차는 있으나 유사한 방향을 가지고 전개됨을 알 수 있다. 해외 연구는 협력 또는 관계에 주목하는 반면, 해외 연구와 달리 국내는 기술이전·사업화 주체에 주목하고 해외에 비해 정부와 공공연구기관의 담론이 우세하다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Since 1960s, the transfer and diffusion of knowledge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growth opportunity for the country. To jump on the bandwagon, the Technology Transfer Act was enacted in Korea in 2000 and it served as a turning point for recognizing the important value of innovation through R&D. As it has been over 20 years since the act was implemented, we revie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ies. Through this, it w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predict the market signals of the newly designed policies and to reflect such data into actual policy designing. For this purpose, papers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ublished by Korean and foreign authors(1990-2020) have been gathered and their research keywords have been analyzed by decad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keyword become diverse since the 1990s and research trends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show some time lag, but both follow similar directions. Foreign studies are primarily interested in collaboration and relationship. However Korean papers tend to focus on players and be the dominant presence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the related discussions.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인공지능의 트렌드 분석

        정도범(Do-Bum Chung),유화선(Hwasun You),문희진(Hee Jin Mun)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오늘날, 인공지능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실제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신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어떤 이슈가 논의되고 있는지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의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LDA 기법을 통해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① 로봇·자율주행자동차 개발, ② 상담 등 고객서비스의 적용, ③ 인공지능 분야 인재 양성, ④ AI 휴먼 기술 개발, ⑤ 인공지능 기술패권 경쟁, ⑥ AI 반도체 투자, ⑦ 대통령 선거 등의 인공지능 정책, ⑧ 지역에서의 인공지능 육성, ⑨ 인공지능 언어 모델 개발, ⑩ 인공지능 서비스(솔루션) 제공, ⑪ 인공지능 윤리의 중요성, ⑫ 디지털 기업으로 도약 등과 같은 12개의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신 트렌드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의 발전 방향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spotlight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and is actually being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at the main trends of what issues are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AI using the latest news data. News data from January 1, 2021 to June 30, 2022 were collected, and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through th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2 trends were derived: ① development of robots and autonomous vehicles, ② application to customer service such as consultation, ③ training of talents in the field of AI, ④ development of AI human technology, ⑤ competition for hegemony in AI technology, ⑥ investment in AI semiconductors, ⑦ AI policies such as presidential election, ⑧ fostering AI in the region, ⑨ development of AI language model, ⑩ providing AI services (solutions), ⑪ the importance of AI ethics, and ⑫ leaping into a digital company. Based on the latest trends derived from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prepa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