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극전선역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추계 수괴아 영양염 분포와의 관계-

        문창호 ( Chang Ho Moon ),양한섭 ( Han Soeb Yang ),이광우 ( Kwang Woo Lee ) 한국수산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4

        1994년 11월 탐양호를 이용하여 통해 극전선역의 11개 정점에서 CTD 관측과 동시에 화학적 성분들의 개괄적 분포특성을 최대 1,000m 깊이까지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 등의 수직분포를 보면 정점 C3 및 D5 남쪽으로 40~50m 두께의 표면 혼합층이 있는 대마난류표층수, 수심 50~75m 사이의 대마난류 중층수, 200m 수심 부근의 동해중층수, 수심 300m 이하의 동해고유수 그리고 혼합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영양염의 경우 표층에서의 낮은 농도는 수온약층 부근에서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그후 동해 중층수 부근의 수층에서 다소 감소가 있었으며 300m 이심에서는 규산염을 제외하고는 일정하였다. 규산염은 수심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수괴인 동해 고유수에서 Si/P의 비율이 25.16으로 가장 높은 것과도 일치하며 규산염의 재생산 속도가 다른 영양염에 비하여 느림을 보여주고 있다. N/P의 비율이 표층에서 평균 18.56으로 다른 해역에 비하여 매우 높았으며, 이는 밀도약층 부근에서의 질산염 공급이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각 정점의 밀도약층에서 계산된 수직확산계수 (K2)는 0.66~1.43 (평균 1.19)cm2/sec, 이에 따른 질산염의 공급량은 73.38~138.43 (평균 103.72) μg-at/㎡/hr로서 다른 해역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겉보기 산소이용량 (AOU)은 표층에서 낮았고 저용존산소의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증가하였다가 고용존산소의 동해 중층수에서 다소 감소가 있었으며 그후 수심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인산염과 AOU (△P/△AOU)의 기울기는 0.50이였다. 이러한 영양염 분포와 수괴의 관계는 동해 극전선역에서 영양염류의 순환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할 것이다. A synoptic survery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Sea of Korea was carried out at the 11 stations near Ullungdo in November, 1994 on board R/V Tam-Yang.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are divided into five groups; 1) Tsushima Surface Water (TSW), 2) Tsushima Middle Water (TMW), 3) E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4) East Sea Proper Water (ESPW), 5) Mixed Water (MW). In the vertical profiles of nutrients, the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rapidly near the thermocline.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the ESIW and the concentrations were constant with the depth below 300m except dissolved silicate which still increased with depth. Relatively high value of Si/P ratio (25.2) in ESPW, whick is the oldest water mass, suggests that Si is regenerating more slowly compared to other nutrients. The relatively high value of N/P ratio (18.6) in the surface layer might be related to high vertical eddy diffusivity (K2) of 1.19㎠/sec and high nitrate upward flux of 103.7㎍-at/㎡/hr, compared to the values reported in other areas.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 was very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in the TMW, but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the ESIW. The highest value of AOU occurred in the ESPW. The slpoe of P/AOU was 0.50.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masses and nutrient distribution patterns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region of the East Sea.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혁신전략 대 모방적 혁신전략의 성과효과: 상황적 관점

        문창호(Chang-Ho Moon) 한국전략경영학회 2020 전략경영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혁신 대 모방적 혁신의 두 혁신전략 유형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 두 혁신전략의 개념적인 특성 및 차이에 대해 비교 논의하고 상황적 관점에 의거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모방적 혁신전략 대비 창의적 혁신전략의 성과 향상에 더 기여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최근의 혁신 연구자들은 창의적 혁신전략과 모방적 혁신전략 모두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두 혁신전략 유형 중 어느 한 혁신전략 유형이 본질적으로 우월하지 않다는 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두 혁신전략 유형 간의 성과 차이를 상황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것이 더 의미 있어 보인다. 기존에 혁신전략 대 모방전략 그리고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기술 선도자와 후발자 사이의 성과 차이에 대한 상황적 관점의 연구가 있었지만, 기존의 어떤 연구도 창의적 혁신전략 대 모방적 혁신전략의 성과차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두 혁신전략유형의 성과 창출에 상대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으로 국제 다각화, R&D 집중도 및 조직혁신의 세 가지 요인을 채택하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기업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KIS)에서 추출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제 다각화와 조직혁신이 각각 증가할수록 모방적 혁신전략 대비 창의적 혁신전략의 성과 기여도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R&D 집중도는 두 혁신전략 유형의 성과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ased on a typology of creative versus imitative innovation strategies previous researchers identified,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regarding the two types of innovation strategy and empirically investigated what factors made more contribution to creative innovation strategy as compared with imitative innovation strategy from a contingency perspective. Recently innovation scholars have pointed out that since both creative and imitative innovation strategies possess their own merits and demerits, there is no inherent superiority of one of the two innovation strategies over the other. Thus, it seems to make more sense to examin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creative and imitative innovation strategies in a contingency framework. Although there was some research focusing on the contingency aspect of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innovation and imitation strategies and in a similar vein between technological leaders and followers,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no previous research has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effects of creative versus imitative innovation strategies. This study suggested three contingency factors of international diversity, R&D intensity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making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of those two innov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using data from Korean Innovation Survey(KIS) showed that as international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creased respectively, the use of creative innovation strategy made more contribution to firm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imitative innovation strateg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R&D intensity did not mak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two innovation strategi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두 혁신유형의 보완적 효과를 중심으로

        문창호 ( Chang-ho Moon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1

        혁신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구주제 중의 하나이고 혁신연구는 주로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전형적으로 제품혁신 및 공정 혁신을 가리키는 기술혁신은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반면, 많은 경영관리 및 조직 연구자들이 기업의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조직혁신이 종종 필요하다고 강조하지만, 조직혁신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연구자나 경영실무자 모두에게 특별히 관심 있는 한 중요한 이슈는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이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하는 지의 여부이다. 경영관리 및 기술경영 학자들은 두 혁신유형의 보완적인 효과의 중요성을 제시하지만, 그 두 혁신의 결합 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혁신에 관한 기존의 연구의 그러한 미비점과 결함을 메우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시행하고 출간한 2014년 한국기술혁신조사-제조부문의 자료와 이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에 대한 추가적인 재무성과 자료를 기반으로,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성되는 기술혁신, 조직혁신 및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안의 모델들과 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과 조직혁신 사이의 매개 관계와 상호작용 관계를 포함하는 보완적인 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 분석결과, 조직혁신이 기업성과 향상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을 구성하는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이 각각 조직혁신과 서로 다른 형태의 매개관계를 통하여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혁신은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직혁신의 완전매개를 통하여 기업성과에 긍정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정혁신은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성과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혁신의 부분매개를 통하여서도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의 상호작용 효과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의 결과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Innovation is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in diverse academic fields and the study of innovation has primarily focused on technological aspects. Technological innovation, typically referring to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has been viewed as a key factor in boosting up a firm’s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By contrast, research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relatively scant, although man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researchers emphasize that the relevant introduc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often necessary to successfully implement a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 critical issue of particular interest to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managerial practitioners is whether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complement each other in promoting a firm’s performance. While management and technology scholar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the complementary or synergistic effects of both types of innovatio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ir combined effects on firm performance has been conducted in a limited way. In an effort to fill up such deficiencies or gaps in prior research on innov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nd empirically examined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and hypothese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data from the 2014 version of Korea Innovation Survey-Manufacturing Sector and additional financial data provid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in Korea.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effects of two forms of complementarity, that is, medi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organizational innovation played a central role in enhancing firm performance and that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making up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ed firm performance respectively through different types of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firm performance but positively influenced firm performance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process innov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ed firm performance. Furthermore, process innovation promoted firm performance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 가솔린기관의 합성가스 배기분사 기술의 최적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문창호(Chang-Ho Moon),장익규(Ik-Kyoo Jang),박영준(Young-Joon Park),이성욱(Seang-Wock Lee),조용석(Yong-Seok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During a cold-start period of an SI engine, fast increase in exhaust gas temperature is very crucial to improve emission due to the enhancement of catalytic performances. Synthetic gas reformed from hydrocarbon-based fuel consists of H₂, CO and N₂. Hydrogen contained in the synthetic gas is very useful species in chemical process due to its wide flammability range and fast burning speed. In this study, ESGI(Exhaust Synthetic Gas Injection) system is used to shorten the light-off time of a three-way catalyst through combustion of synthetic gas injected in exhaust manifold, during cold-start period of an SI engine. Engine control variables such as synthetic gas injection pressure, air-fuel ratio, activation time of catalyst heating function and timings of air-fuel ratio control are varied precisely using an engin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find out the tendencies of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catalyst and harmful emissions. Optimized injection pressure and engine variables are suggested for the reduction in harmful exhaust emission.

      • KCI등재

        구룡재 백봉래의 경학(經學) 일고(一考) - 『대학』과 『중용』의 관계를 중심으로 -

        문창호 ( Moon Chang-h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이 연구는 구룡재(九龍齋) 백봉래(白鳳來, 1717~1799)의 경학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18세기 영정조 시대에 활동한 구룡재 백봉래는 평생 학문에 전념하며 후생을 양성한 재야학자이다. 특히 『삼경통의(三經通義)』와 『사서통리(四書通理)』는 그가 사우(師友)의 연원이 없이 사서삼경(四書三經)에 몰두하여 일생동안 연찬한 학문적 결과물이다. 백봉래는 『사서통리-대학, 중용』에서 복잡한 사상 체계를 몇 개의 중요한 개념들을 추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개념과 개념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고 조직화하여 간략하면서도 분명하게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백봉래는 『중용』과 『대학』의 관계가 배응(配應), 체용(體用), 좌우(左右), 상하(上下)가 되어 표(表)이면서 리(裏)이고 리이면서 표가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중용』의 시중(時中)과 『대학』의 혈구(?矩), 『대학』의 지선(至善)과 『중용』의 치곡((致曲), 『대학』의 <기욱장(淇澳章)>과 『중용』의 <연어장(鳶魚章)>을 서로 배응과 체용, 표리의 관계로 규정하고 설명하면서 `원중(原中)`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가 말하는 원중론(原中論)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한 근원(根原)으로서의 『대학』과 중도(中道)로써의 『중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대학』과 『중용』을 지칭하는 또 다른 개념으로 원중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학』과 『중용』을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연관지어 그 구조를 체용관계로 논하면서 하도를 본체로 삼고 낙서를 작용으로 삼는 뜻으로 『중용』을 지었고, 낙서를 본체로 삼고, 하도를 작용으로 삼는 뜻으로 『대학』을 저술한 것이라 했다. 백봉래의 경학론에서 주목되는 논리 가운데 하나가 『주역』의 괘(卦)를 이용한 해석 방식이다. 그가 『중용』과 『대학』의 해석에 『주역』의 괘를 이용하여 풀이한 것은 경서(經書)의 체계가 서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용』의 `범사예즉립(凡事豫則立)`의 `예(豫)`자와 『대학』의 `재항족의(財恒足矣)`의 `항(恒)`자가 『주역』 예괘와 항괘의 정신과 작용으로 『중용』의 `예(豫)`자는 『대학』이 예괘의 작용이 되고, 『대학』의 `항(恒)`자는 『중용』이 항괘의 작용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역리(易理)를 통하여 『대학』과 『중용』의 관계를 일관(一貫)된 구조로 회통하고자 한 백봉래는 첫째, 원중(原中)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과 『중용』에 접목시켰으며, 둘째, 『대학』과 『중용』을 하도와 낙서에 연관지어 그 구조를 체용(體用) 관계로 파악하였다. 셋째, 『주역』의 예괘와 항괘의 원리를 적용하여 『대학』과 『중용』의 표리(表裏) 관계를 설명하였다. 이 세 가지는 조선조 유학사에 유례(類例)를 찾아볼 수 없는 그만의 독창적인 논리체계이며, 백봉래 경학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thoughts of Baek, Bong Rae(白鳳來) is a person from 1717~1799 with a Pen Name of GuRyongJae(九龍齋) about Confucianism(經學). In the era of JoSeon YeongJeongJo Dynasty of the 18th century, GuRyongJae Baek, Bong Rae who didn`t have a government position was a scholar in the field who dedicated himself to lifelong learning and worked hard to train the upcoming generation. 『SamKyeongTongEui(三經通義)』 and 『SaSeoTongRi(四書通理)』 are scholastic results he concentrated on 『SaSeoSamKyung(四書三經)』 and published serially for his lifetime without teachers` and co-workers` source of origin(師友淵源). Baek, Bong Rae extracted a few important concepts from complicated system of thought in 『SaSeoTongRi(四書通理)-DaeHak(大學), JungYong(中庸)』, based on them, indicated and systematized correlations between concepts so that the meaning can be grasped simply and clearly. Baek, Bong Ra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ungYong』 and 『DaeHak』 become BaeEung(配應), CheYong(體用), JwaWoo(左右), SangHa(上下), Pyo(裏) and Ri(裏), and Ri(裏) and Pyo(裏). In other words, the outside is soon and the inside is soon outside. From these viewpoints, SiJung(時中) of 『JungYong』 and HyeolGu(?矩) of 『DaeHak』, JiSeon(至善) of 『DaeHak』 and ChiGok(致曲) of 『JungYong』, < KiUkJang (淇澳章) > of 『DaeHak』 and < YeonYeoJang(鳶魚章) > of 『JungYong』 were regulated as mutual relations among BaeEung, CheYong and PyoRi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WonJung(原中)`. `WonJungRon(原中論)` shows 『JungYong』 as `JungDo(中道)` and 『DaeHak』 as `GeunWon(根原)` based on `CheonJiIn(天地人) SamJae(三才)` which means heaven, earth, and person. `WonJung` is another concept referring to 『DaeHak』 and 『JungYong』. In addition, he related 『DaeHak』 and 『JungYong』 with `HaDo(河圖)` and `NakSeo(洛書)`, discussed about the structure with CheYong relations, named 『JungYong』 as considering HaDo as BonChe and NakSeo as JakYong and wrote 『DaeHak』 as considering NakSeo as BonChe and HaDo as JakYong. One of the theories focused on Baek, Bong Rae`s Confucian Classics is the way to interpret with Koae(卦) of 『JuYeok』. He interpreted 『JungYong』 and 『DaeHak』 with Koae(卦) of 『JuYeok』 so as to try to show the system of Confucian classic(經書)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 He insisted that `Ye(豫)` of `BeomSaYeJeukRip(凡事豫則立)` in 『JungYong』 and `Hang(恒)` of `JaeHangJokEui(財恒足矣)` in 『DaeHak』 are spirit and action of `YeKoae` and `HangKoae` of 『JuYeok(周易)』, `Ye(豫)` of 『JungYong』 is action of `YeKoae` of 『DaeHak』 and `Hang(恒)` of 『DaeHak』 is action of `HangKoae` of 『JungYong』. Taking all the above into consideration, Baek, Bong Rae sought to have a consistent structure between 『DaeHak』 and 『JungYong』 through `YeokRi(易理)`. First,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WonJung(原中)` and grafted it onto 『DaeHak』 and 『JungYong』. Second, he grasped the structure as `CheYong(體用)` relations related 『DaeHak』 and 『JungYong』 with HaDo and NakSeo. Third, he applied the theories of `YeKoae` and `HangKoae` of 『JuYeok』 and explained the `PyoRi(表裏)` relations of 『DaeHak』 and 『JungYong』. Those three things can be his creative logical system that cannot be found previously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sion history and it is an important feature of Baek, Bong Rae`s Confucianism(經學).

      • 군산 주택 "頑石樓"의 건축설계 및 감리 연구

        문창호(Moon Chang-Ho)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supervision of a house in Kunsan. The contents of study is consisted of design condition, architectural programming, architectural basic planning, and supervision of construction. The major points of the house design and supervis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searching for architectural solution from the conflicts of view and orientation, compromise and utilization of site slope, pursuit of familiar appearance and dynamic interior spac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minimization of energy loss in outer wall, contract method(overhead and direct management), and regular progress meeting at site for Quality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