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사급 상사와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 간의 지시와 순응의 관계성: 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문지윤,조영하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Based on the concepts of power in organiz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order and conformity between full-time researchers with doctoral degrees and their subordinates, the contract researchers with masters’ degrees, in government-fund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method, we chose two institutes as the research site and then ha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six contract researchers who voluntarily partook in this study. At the interview, they shared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and episod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boss. Consequently, the bipartite relationship of order and conformity was revealed under three thematic categories of motivation, expert power, and leadership behavior. Specifically, we identified three following motivators that make the contract researchers to comply with orders and instructions of their bosses, full-time researchers with doctoral degrees: 1) reward and psychological compensations; 2) expert power that their bosses, professional educational researchers, own; and 3) task and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ehavior that boss has exerted upon subordinat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more consolidating his/her expert power and even adding referent power. However, job insecurity of contract researchers needs to be considered a critical facto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order and conformity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to build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government-fund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정규직 박사급 상사와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들 간의 지시와 순응의 관계성을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들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두 곳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육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박사급 상사와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 간의 지시와 순응의 관계성은 ‘동기’, ‘전문적 권력’, ‘리더십행동 유형’의 세 가지 범주 하에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들은 박사급 상사가 합법적 권력을 기반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1) 물질적, 심리적 보상과 신분안정에 대한 기대감으로부터 형성된 동기, 2) 전문연구자인 박사급 상사가 소유한 전문적 권력, 3) 인화 및 과업 지향적 리더십행동에 의하여 지시에 순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박사급 상사의 연구자로서의 자질, 역량, 책임감 등과 부하직원과의 관계 맺음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화 지향적 리더십행동은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들로 하여금 상사에 대한 존경심과 본받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하여 상사의 전문적 권력을 보다 강화해주고 준거적 권력의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비정규직 석사급 연구원들의 고용신분의 불안정성은 정규직 박사와의 지시와 순응의 관계성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간과되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요소인 것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라는 특수한 성격의 공적 조직에서 드러난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지시와 순응의 관계성이 갖는 함의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인적자원관리 및 정책의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 관계에 관한 시론적 논의

        문지윤,김병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시론적인 접근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을 협의와 광의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두 개념의 차이와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관계를 비슷하게 보거나, 완전히 포괄한 상위개념으로 보거나, 아예 독립적으로 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두 개념을 비슷하게 볼 때는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의 속성이 있고, 교사리더십에도 교사전문성의 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포괄관계는 두 개로 나타났는데 교사리더십에 교사전문성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리더십은 교사전문성이 바탕이 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전문성의 여러 영역 중에 하나를 교사리더십으로 보는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을 각각 별개로 독립적인 병렬관계로 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교사전문성은 능력에 초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능력의 발휘에 초점을 둔다는 점과, 교사전문성은 교사가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 중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교사가 학생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둔다는 점 등에 대해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현장에서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 두 개념을 비교하여 나타냄으로써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하나의 접근으로, 두 개념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과 의미 탐색: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수석교사에 관한 질적연구

        문지윤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을 탐색하는 것을 통해,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의 특징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와 교육행정가로부터 인정 및 추천받는 수석교사 1인을 심층면담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석교사는 학생들에게 진짜 배움을 위한 리더십, 교내 교사를 아우르는 리더십, 교육공동체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신뢰를 주었으며, 함께 협력하는 공동체적인 성격과 교사 개개인이 주도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힘을 갖게 하는 등의 특징을 가졌다. 아울러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의 의미는 직책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수석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통해 학생과 동료교사를 성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결과는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 모습에 대해 탐색하고 특징과 의미를 밝혀내는 것을 통해, 수석교사의 리더십 발휘에 대한 실제 및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수석교사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ster teachers and their leadership display in practice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goal, one master teacher, who was widely accepted amongst colleagues and management, was recruited for in 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study purpose.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ster teacher displayed leadership for (a) true learning; (b) colleagues; as well as (c) advance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leadership of a master teacher provided trust amongst group members, encouraged communal collaboration and allowed each and every teacher to have power to actively participate and lead. The significances of leadership display by a master teacher is that leadership display is not depended on titles, but to develop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rough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utilizing professionalism of master teacher. The study results allow the understanding of leadership display of master teacher in practice, through examining its actual display and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as well as its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중학교 교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사와 학생 간 관계적 경험에 근거하여

        문지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a teacher who display teacher leadershi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eacher leadership by examining and observing displayed teacher leadership based on actual experiences from its teacher to student relationship; whilst looking into students’ perception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narrative method was administered on selected participants of the study: a teacher and his 7 student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 utilized various exciting activities during class to make it fun; ran students-oriented classes; and tried to make sincere relationships with his pupils believing that education is about touching their mind.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teacher leadership by actively engaging in classes and build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 Conclusions 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leadership is to exercise one’s influences in interactions with his/her students to help them to achieve study goals and obtain holistic development; rather than to wield it to better control them. The study results are encouraging as it shed lights on teachers with concerns with their guidance strategies as it suggested the concept of teacher leadership and how it is displayed. 목적 본 연구는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교사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적 경험에 근거하여 리더십 발휘모습과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리더십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교사와, 그의 지도를 받은 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 중 내러티브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는 연구 참여자(교사와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에 대한 인식을그들이 서술하고 있는 이야기를 통해서, 연구자가 재해석과 재구성을 통해 의미를 알아내는 연구이다. 결과 연구결과, 재밌고 다양한 활동으로 수업 아닌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이 주인공인 수업을 만들어갔으며, 교육은 마음을 만지는일이라는 사명으로 학생과 진심으로 소통하는 등의 교사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에 학생들 역시 수업에 적극 참여하고, 교사와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리더십은 학생을 쉽게 통솔하기 위해서가 아닌, 학생의 학습목표 도달 및 전인적 성장을 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상호작용속에서 교사가 영향력을 발휘하여 능동적으로 움직이게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지도를 위해 고민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교사리더십 발휘 모습을 밝혀내 줌으로써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사리더십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발휘되는가?: 중학교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 중심으로

        문지윤,김병찬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2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with which teachers obtain their teacher leadership skills and how they actually discover these skills; specifically, types of experience and contexts they go through to achieve teacher leadersh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on 8 middle school teachers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for their teacher leadership skill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ing and applying other teachers’ positive attributes and skills to oneself as well as having chances to participate in various off-campus activities have impacts on teacher leadership display. Furthermore, these teachers and their teacher leaderships were being affected by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study groups among teachers, institutional culture filled with positive spirits, constant self-reflections, being open-minded and experiences from the their own school days. Moreover,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dership display in classroom, these teachers exhibited tendencies (a) to make the most of their available resources; (b) working closely and growing together with their colleagues; (c) being affected by positive in-school teacher culture; (d) facing and overcoming obstacles on their own; (e) and coming up with original and authentic teaching styles.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study will have implications on support plan and policymaking for teacher leadership, as it discovered the background of how teacher leadership is actually displayed in real classroom context.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들이 어떠한 경험과 맥락을 통해 교사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동료교사로부터, 교사리더십이 있다고 추천받은 중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교원연수를 통해 많은 것을 얻기보다는 하나라도 배우며 다른 사람의 좋은 것을 내 스타일로 적용해보거나, 학교 밖 다양한 활동 기회를 경험하는 것이 교사리더십 발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함께 공부하고자 만든 다양한 모임과 으쌰으쌰 하는 학교 문화가 있었으며, 끊임없는 자기 성찰, 열린 마음가짐, 학창시절 경험 등 개인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수업에서의 교사리더십 형성의 특징으로는 1)교사에게 주어진 범위 내에서 최대한 활용한다는 점 2)동료 교사와 함께 성장해 나가는 모습 3)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내 교사문화에 영향을 받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4)교사 개인이 부딪혀보고 스스로 일어나고 있었으며, 5)나만의 방식을 만드는 특징이 보여졌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리더십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어 교사리더십 지원방안과 정책 수립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퍼포먼스 존재론 2.0- 재상연 퍼포먼스와 현재성의 균열

        문지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6

        Performance art finds its own place within the hierarchical operation of the art-historical machine, by claiming its medium-specificity based on the living body of the artist. The body is time-bound and cannot be present in multiple places at once. This particular medium- specificity is regarded as securing presentness as performance art's ontological ground.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historical performances of the 1960s and 70s have been being re-enacted in major Western museums since the 2000s. By analysing the historicized body in these re-enactment performances, whose temporality cannot be fixed within the ideological distinc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 will examine how the linear conception of time becomes ruptured. In doing so, I argue that it is in this rupture that we can articulate the new ontology of performance. 퍼포먼스 아트는 ‘미술사-기계’의 작동 속에서 예술가의 몸이라는 매체-특정성으로 인해 독립된 장르로 인정 될 수 있었다. 나아가 몸이라는 매체-특정성으로 인해 퍼포먼스는 ‘지금, 여기’라는 현재성을 존재론적 기반으로 주장했다. 몸은 여러 곳에 동시에 머무를 수 없고 유한하기 때문이었다. 이 글은 퍼포먼스의 존재론이 근거하는 현재성에 균열을 가하는 역사적 퍼포먼스들이 재상연(re-enactment)되는 현상에 주목한다. 2000년대 이후 유럽과 북미의 주요 미술관에서 급부상한 재상연 퍼포먼스를 통해 퍼포먼스의 존재론을 해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퍼포먼스의 존재론을 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특히 재상연 퍼포먼스에서 출현하는 역사화된(historicized) 몸으로 인해 어떻게 일직선상의 시간성을 파열되는지 살펴보고, 현재성에 대한 복잡한 층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퍼포먼스의 존재론을 재구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여대생의 인스타그램 뷰잉(Viewing)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문지윤,한세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agram viewing activity,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on the self-esteem of 219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Instagram viewing activity,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Instagram viewing activ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esteem through body comparison. Second, Instagram viewing activity indirectly influenced self-esteem through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Specifically, increased Instagram viewing activity corresponds to increased levels of comparing one’s body to another’s. Further, body comparison decreases body satisfaction and, ultimately, diminished levels of body satisfaction lead to a decrease in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the foundation for counseling aimed at preventing women’s eating disorders caused by decreased body satisfaction.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인스타그램 Viewing(이하 뷰잉) 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여대생 21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 뷰잉활동이 많을수록 신체비교가 증가하고 이는 자아존중감 저하로 이어졌다. 또한 인스타그램 뷰잉활동의 증가에 따라 신체비교가 증가하면 이는 신체만족도의 감소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저하된다는 결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이며 최근 그 사용빈도가 매우 높아진 인스타그램 관련 활동 중 뷰잉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 여대생의 과도한 신체비교 및 저하된 신체만족도는 개인의 심리적 부적응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나아가 개인의 심리적 부적응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사용교육 및 상담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프락시스로서 안무 - 남화연의 최승희 쓰기

        문지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0 No.40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concrete example of artistic research by analyzing the study of Seung-hee Choi conducted by Hwayeon Nam from 2012 to 2020. While historical research involves piecing together scattered puzzles, artistic research is a praxis for generating new subjectivity. Hwayeon's Nam research on Choi Seung-hee is considered artistic rather than historical because its ultimate goal is to deconstruct the originality of Seung-hee Choi, a contentious figure in Korean modern history. This study highlights that Nam Hwayeon uses the specialized term ‘choreography’ to describe her research strategy. ‘Choreography’, a technical term derived from the modern dance system, carries the etymology of writing. According to Derrida’s philosophy, ecriture (writing) is a strategy used to deconstruct the concept of origin or originality. In this context, subjectivity is a consequence that arises from various forms of writing.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concept of choreography can function as a strategy for artistic research. 예술적 연구는 무엇인가? 예술적 연구는 역사적 연구와 어떻게 다른가? 이 글에서는 시각예술가 남화연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한 최승희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예술적 연구를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연구가 흩어진 퍼즐을 맞추는 행위라면, 예술적 연구는 새로운 주체성 생산을 위한 프락시스(praxis), 즉 실천행위이다.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인 최승희에 대한 남화연의 연구가 역사적 연구가 아닌 예술적 연구인 이유는 이 연구의 최종 목표가 최승희라는 한국 근대 역사에서 문제적 인물의 원본성을 해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남화연이 자신의 예술적 연구를 안무라는 특수한 용어로 설명하고 있음을 주목했다. 근대무용 제도에서 탄생한 기술 용어인 안무는 쓰기라는 어원을 포함한다. 데리다의 철학에서 쓰기(écriture)는 서양 형이상학에서 주체 개념에 전제된 기원, 혹은 원본이라는 개념을 해체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체성은 다양한 쓰기로 인해 발생하는 사후 효과이다. 이 글에서는 남화연이 사용한 안무라는 개념을 데리다의 쓰기 개념을 빌려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안무가 예술적 연구의 전략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