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화가 행정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문정욱(文晸郁)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8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1 No.3

        본 논문은 정부혁신의 수단으로 1990년대부터 도입된 ‘정보화가 행정적 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연구 질문 하에, ‘정보화의 어떠한 요소가 행정적 거버넌스의 어떠한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多국가 비교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정적 거버넌스에는 ICT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정적 거버넌스의 하위 차원인 정부효과성에는 행정정보화 및 전자정부, 그리고 ICT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제의 질에는 ICT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금까지 전 세계 국가에서 중점을 두고 강조하였던 정부 영역의 정보화 추진만으로는 정부의 질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과거 정보화의 목표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영역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한정되었다면, 이제는 초연결, 개방, 공유, 소통 등 지능정보화 사회 패러다임에 맞추어 그 목표도 산업 영역, 시민의 영역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화 목표의 확장에 맞추어 정보화 정책의 추진 방향도 전환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informatization introduced since the 1990s as a means of government innovation is embraced by countr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ormatization on the public administrative governance. Under this aim, this study puts forward a research question, “Does informatization have effects on the public administrative governance?” To give a more precise answer to this question and thorough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zation and the public administrative governance, this study develops mor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s well. Along the wa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of 190 countries in terms of informatization and the public administrative governa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2 and 2014,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n the public administrative governance using pooled cross-sectional time series data.

      • KCI등재

        국가정보화 수준이 부패에 미치는 영향

        문정욱(文晸郁)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5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8 No.1

        국가정보화는 효율성, 생산성, 민주성, 대응성, 투명성 향상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추진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투명성 확보라는 정책목표를 강조해왔다. 투명성 제고에 대한 국가정보화의 효과, 보다 구체적으로 부패 통제에 있어 국가정보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공공부문의 정보화, 즉 전자정부와 부패 간의 관계에 집중된 반면, 국가정보화의 또 다른 한 축인 민간부문, 즉 시민과 기업의 정보통신기술 활용과 인프라 등이 부패에 어떠한 효과를 야기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역의 정보화 수준만이 아닌 민간영역의 정보화를 포함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공공과 민간부문을 포괄하는 국가정보화 수준이 부패의 통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답하기 위해 국가정보화 지표와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 지표를 활용하여 국가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정보화 수준은 부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국가정보화 인프라 수준은 부패의 통제와 부의 관계를 보이며, 국가정보화의 활용 정도는 부패의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부패의 통제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보화의 활용이 필요하고, 정보화를 통해 정부를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시민과 기업의 역량을 높임으로써 정부 정책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공공영역의 부패 통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National informatization has been pursued for many different reasons such as improving efficiency, productivity, democracy, responsiveness and transparency. Among all, promoting transparency has been particularly emphasized as the goal of Korea’s informatization policies. However, the country is still lagging behind other countries in terms of corruption, which is a direct result of lack of transparency. This study starts from this observation and attempt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hat is the impact of national informatization on corruption control, which can be achieved with improved transparency, one of the main goals of informatization policies, and how does the level of national informatization, which describes the extent of informat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businesses and individuals as well as in the public sector, affects corruption control?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performs a multi-country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national informatization index, which measure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published by Transparency Internation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ational informatization and corruption,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corruption control.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on the other hand, appear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ruption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nhanced capabilities of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to monitor and check government actions based on such technologies will be the key to promoting transparency in the governmen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us will contribute to corruption control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함안군북지구(咸安郡北地區)의 지질(地質)과 동광상(銅鑛床)

        문정욱,김명환,이지헌,최충정,Moon, Chung Uk,Kim, Myung Whan,Lee, Ji Hern,Choi, Chung J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70 자원환경지질 Vol.3 No.2

        The district investigated covers the central and southern portions of the Uiryong Quadrangle amounting to $40km^2$ in area and is bounded approximately by geographical coordinates of $128^{\circ}$ 28' $40^{{\prime}{\prime}}{\sim}128^{\circ}$ 24' 25"E in longitude and $35^{\circ}10{\prime}{\sim}35^{\circ}14^{\prime}06^{{\prime}{\prime}}N$ in latitud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drawing up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the copper ore deposits known to exist in the HamanKumbuk district with special emphasis given to the ascertainment of geological and paragenetic characteristics. The area consists chiefly of shale, sandy shale and chert, all belong to Kyongsang System of Cretaceous age. Intruded into these rocks are andesite, granodiorite, basic dikes, and acidic dikes. The mineralization which took place in the area, consists of mostly fissure-filling vein deposits, numbering several tens, with varying magnitudes. The fissures and shear zones created in rocks, such as chert and granodiorite, hosted the deposition of mineralizing vapors and/or hydrothermal solutions along their openings. The strike lengths of these veins vary from 50 to 600 meters in extension and 0.1 to 3 meters in width. Although the degree of fluctuation in width is great, it averages 0.3m. The stuctural patterns, which apparently affected the deposition of veins, are fissure patterns, trend NS to $N30^{\circ}W$, and steep-pitching tension fractures as well as normal fault pattern. Ore minerals associated with vein matters are primarily chalcopyrite and small amounts of scheelite, cobaltiferous arsenopyrite, and gold and silver intimately associated with sulphide minerals. Associated with these ore mineral are pyrite, pyrrhotite, magnetite, specularite and arsenopyrite. Gangue minerals noted are quartz, calcite, chlorite, tourmaline and hornblende. In terms of the compositions of associated minerals, the vein deposits in the district could be grouped under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Pyrrhoitite, Arsenopyrite, Gold and Silver Bearing Copper Vein (Type I) 2. Calcite-Scheelite-Copper Vein (Type II) 3. Magnetite-Pyrite-Copper Vein (Type III) 4. Tourmaline Copper Vein (Type IV) Of the four types, the first and the fourth are presently yielding relatively higher grades: of copper ores and concentrates. The estimated ore reserves total some 222,000 metric tons with the following breakdown in terms of metal contents: Name of Mines Au(g/t) Ag(g/t) Cu(%) Reserves(M/T) Kunbuk 15.92 78.69 6,074 60.498 Cheil Kunbuk - - 1.040 60,847 Haman - - 2.688 101,204 222,549 As rehabilitation of old workings and/or exploration of veins at depth proceed, additional estimation of ore reserves may become apparent and necessary.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beneficiation and upgrading of low-grade ores in the district, it would be advisable to make decisions on location, treating capacity and mill flowsheet after sufficient amount of exploration is completed as suggested in the report.

      • KCI등재

        리더의 정책의지와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

        문정욱 ( Moon Jung Wook ),왕재선 ( Wang Jaes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1

        본 연구는 2005년, 2011년, 2014년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조사시점인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에서의 공무원의 인식변화를 각 정부가 추진했던 IT정책과 그 속에 포함된 정보공유에 대한 의지와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교 결과 노무현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정보공유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와 관심이 이명박 정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이 가장 최근인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에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의 필요성과 중요성 등에 있어서는 이명박 정부에 비해서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보공유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보안상의 장애요인을 제외하고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때보다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보공유의 편익에 대해서는 이명박 정부에서보다 긍정적 인식이 더욱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정부보다 강했던 정부에서 편익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보공유의 장애요인에 대해서 약화된 인식의 변화가 당연히 편익에 대한 인식의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통령의 정보공유에 대한 의지는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킬 수 있지만 편익에 대한 인식의 제고에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2005, 2011 and 2014 on information sharing,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of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f the President Roh government,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Park government. As a result, the President Roh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Park government showed that the president' s will and interest in information sharing was higher than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information sharing was in 2014, when the President Park government was the most recen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seemed to be more positive than the President Lee administration. As far as obstacles to information sharing are concerned, the perception of obstacles is weaker than the President Roh administration and the President Lee administration, except for security obstacles. However, in terms of the benefits of information sharing,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showed a lower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of perceived cognition about the obstacles of information sharing does not lead to a rise in perception of benefit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of the president to share information may weaken the perception of obstacles, but suggests that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erception of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